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기술 도입의 만족 유형에 따른 수요기업의 연구역량과 성과에 관한 연구

        권태혁,서일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8 지식재산연구 Vol.13 No.3

        Although the inwar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widely accepted as an interactive process between the technology provider and purchas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echnology purchaser derived from the internal assimilation process remained void.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public licensing technology by analysing demander’s satisfaction level. First, we segmented the satisfaction patterns of firms through the Latent Class Analysis(LCA). Then,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R&D employee ratio was substitutional to the technology outsourcing performance, on the while R&D investment ratio was found to be complementa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urpose of outsourcing public technology might be focused on short-term cost-saving effects. Therefore, more bespoke and specific commercialization policy needs to be considered to improve beneficiary firm’s technology capabilities. 지적 자본의 축적과 혁신을 통한 기술진보가 경제적 성과창출의 동인이라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기업 내부는 물론 외부지식 확보가 경쟁력 향상을위한 핵심 전략으로 고려되고 있다. 수요자 입장에서 외부기술 도입은 지식의 내재화를 통해 기술적 역량으로 전환되고 경제적 성과로 연계됨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성과의 다면성, 기술 내재화 과정에 대한 통제의 어려움 등으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을 도입한 기업들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자체역량과의 관계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공공기술이 시장에서 활용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공공기술사업화 실태조사를 기반으로총 3,129건의 기업데이터와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한다. 공공기술 이전기업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과정 전반의 만족도를 기업의 성과로 보고, 기술의도입과정과 성공여부 등 정성적인 성과에 관한 설문응답 결과를 잠재층 분석(Latent Class Analysis)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반응변수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한 결과 기술도입에대해 연구개발 투자집중도는 보완적 관계를, 전담비율은 대체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공공기술 도입 목적이 단기적인 비용절감 효과에집중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 장기적인 기업의 내재적 역량 향상을 위해 향후 보다 세분화된 사업화정책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판데믹 충격이 연구협업 네트워크와 연구성과에 미친 영향

        권태혁,최호철,박은미,서일원 한국기술혁신학회 2022 기술혁신학회지 Vol.25 No.6

        While significant studies have add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network, the resilience of research performance in response to the exogenous impact derived from the collaboration network has not received the due attention it deserves.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corona pandemic to the research collaboration pattern and the volatility of the research performance networks. This research categorize three patterns of collaboration (active in-person group, paper-based collaboration group and balanced group) from a national research institution . The impact of the corona is measured by examining the network similarity index (DeltaCon) between the pre- and post-corona pandemic in 2020. The comparison demonstrates that small number of dominant groups collaborate with more narrow groups increasing the clustering index. It also implies that the balanced type of collaboration is more resilient to the impac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mplimentary research strategy between human-based and paper-based collabor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strategy streams by revealing the core mechanism of research collaboration. 연구활동에서 협업은 조직 외부로부터 지식을 유입하고 자원을 확보하는 수단이자 전략이다. 연구 주제의 복잡성이증가하고 융합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연구협업의 구조적인 특징이 성과에 미치는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는 판데믹이라는 외생적인 충격이 가해졌을 때 협업의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가특허와 논문으로 대표되는 성과네트워크에 미친 영향에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화학분야 출연연을 대상으로 협업의 유형을 세 가지(인적교류가 활발한 집단, 문서기반 협력 비중이 높은 집단, 균형있는 집단)로 도출했다. 각 유형별 대표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공저자(논문), 공동출원(특허) 네트워크를 구축한 뒤 판데믹 이전과 이후의네트워크 유사도 지수(DeltaCon)를 비교함으로써 판데믹 충격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외생적인 위험이 도래할 경우 영향력있는 집단을 중심으로 군집성이 증가하는 협업전략을 선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충격 전/후의변화가 가장 적은 그룹은 인적교류와 문서기반의 공식적인 협업을 균형있게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협업방식은상호보완적인 전략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Smart geophysical characterization of particulate materials in a laboratory

        권태혁,조계춘 국제구조공학회 2005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An International Jou Vol.1 No.2

        Elastic and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used to gather important information about particulate materials. To facilitate smart geophysical characterization of particulate materials, their fundamental properties are discussed and experimental procedures are presented for both elastic and electromagnetic waves. The first application is related to the characterization of particulate materials using shear waves, concentrating on changes in effective stress during consolidation, multi-phase phenomena with relation to capillarity, and microscale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The second application involves electromagnetic waves, focusing on stratigraphy detection in layered soils, estimation of void ratio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and conduction in unsaturated soils.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shear waves allow studying particle contact phenomena and the evolution of interparticle forces, while electromagnetic waves give insight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uid phase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 KCI등재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한 한-EFTA간 제약 산업 상호인정협약 체결의 경제적 효과 분석

        권태혁(Tae-Hyuk Kwon),이상원(Sang-W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상호인정협약(MRA)은 무역기술장벽(TBT) 극복을 위한 WTO 틀 내의 중요한 정책수단이다. MRA의 경제적 효과와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인터뷰와 간단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거나 MRA체결을 통해 면제되는 제품의 심사비용이 명확하고 계량분석이 가능한 데이터가 축적된 정보통신산업 등에서 제한적으로 계량 분석을 통해 비용절감 효과와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모두 MRA 체결이 긍정적 경제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제약 산업의 MRA체결에 대해 직접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FTA와의 GMP 실사 면제 MRA체결의 경제효과를 비시장재의 가치 추정 방법인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제약 기업을 대상으로 EFTA권역과의 MRA 체결 의의와 효과를 설명하고, 가상의 시장을 설정하여 GMP 실사 면제에 대한 연회비 형태의 지불의사를 이중경계양분형질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를 Hanemann(1984)이 제시한 효용차이모형을 통해 중간값 WTP와 절단된 평균 WTP를 산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체기업의 경제효과를 산출한 결과 연간 최소 70.3억에서 최대 약 158억의 경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n MRA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policy tool within the WTO for overcoming technical barriers to trade. A number of studies on the economic impact of MRAs have demonstrated their positive economic effects. However,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MRAs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since analysis has been limited to industries as a whole or certain industries where some data were accumulated.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economic impact of MRAs for GMP inspection exemption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through the Conditional Valuation Method (CVM), a valuation technique for non-market goods. Pharmaceutical companies were asked whether or not they were willing to pay for the Korea-EFTA MRA through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DBDC) questions. The final WTP was estimated using the utility difference model developed by Hanemann (1984). As a result, annual economic effects o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were estimated to be between KRW7.03 billion to KRW15.8 billion.

      • KCI등재

        제약기업의 지식재산권 지원정책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에 관한 연구 ―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를 중심으로

        권태혁 ( Kwon Taehyuk ),서일원 ( Seo Ilwon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1 지식재산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시장의 제약분야 기술혁신 선도기업의 이윤을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가 기업의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제약산업은 연구개발 투자규모가 크고 기술 집약적인 산업이며 연구개발 성과가 지식재산권 형태로 보호되기 때문에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어 진입장벽이 높다. 그러나 동시에 특허등록 후 제품출시까지의 기간이 길고 기술이 공개적으로 명문화되기 때문에 합성의약품의 경우 후발 의약품을 빠르게 복제하여 특허침해의 판단에 앞서 시장출시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존재했다.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는 이러한 고위험/고수익 형태의 제약산업 구조하에서 기업의 기술혁신 다이내믹스를 유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 일환으로 오리지널 의약품과 퍼스트 제네릭을 생산하는 선도그룹 기업의 이익을 일정 기간 보장하는 제 도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도를 통해 기술 선도기업의 이윤을 보장하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인 부가가치 창출에 긍정적인 효과로 기여하는지에 관해 639개 제약분야 기업의 재무회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파악한다. 성향점수매칭기법을 활용해 선도그룹(제도활용그룹)과 비활용그룹을 비교한 결과 연구개발투자비용 측면에서는 선도그룹이 연구개발비용과 인력 보유 수준에서 더욱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당기순이익과 영업이익 측면에서 모두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선도그룹의 인당 부가가치는 제도 비활용그룹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혁신기업에 대한 이익 보호 제도는 부가가치를 통한 사회적 가치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whether policy tools that ensure the profits of technology innovation companies can act as a driving force that creates market innovation. In the technology-intensive pharmaceutical industry,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size is extensive,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rotect R&D performance, which raises the entry barrier for latecomers. As for synthetic drugs, however, publicly stipulated technology makes it easier for latecomers to manufacture generic drugs. The pharmaceutical patent-regulatory approval linkage system plays a role in maintaining market innovation dynamics under the high-risk, high-profit pharmaceutical industry by ensuring the interests of leading companies which develop original drugs and their first generics for some time. The study used 639 pharmaceutical companies’ financial data to find out whether these policy tools contribute to corporate added value. After utiliz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he study found out that leading companies, which applied the policy, had greater R&D expenses, more skilled manpower, and higher net income and operating profits. In addition, leading companies’ value added per capita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ompanies which did not utilize the policy. This shows that policy tools that protect the interests of innovation companies are playing a positive role in contributing to firm’s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