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을 위한 진단과 전망

        권진호 한국교회사학회 2015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0 No.-

        종교개혁은 세계사적인 의미를 가진 사건이다. 루터의 종교개혁은 1517년 비텐베르크에서 95개 논제를 게시함으로 시작되었고, 2017년 비텐베르크에서 종교개혁 500주년이 세계 모든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축하될 것이다. 그렇다면 그것은 어떻게 축하되어야 하고,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이를 위한 좋은 토대가 되는 것이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 전망”인데, 이 논문에서 이것이 자세히 분석되며 이를 근거로 종교개혁의 역사적 의미와 16세기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영향력이 서술된다. 종교개혁은 여기서 네 가지 범주로 고찰된다. 먼저 세계사적인 사건으로, 그리고 종교적, 신학적 사건으로, 그리스도인의 성숙을 가져다주며 정치, 경제, 문화를 변혁시킨 사건으로 서술된다.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 전망”에는 교회, 사회, 정치, 교육 등에서 변화시키는 영향력이 잘 요약되어 23개 명제로 서술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은 특별히 기독교 교회 일치를 위한 기회이자 동시에 도전이다. 종교개혁은 근원적으로 교회의 분열을 의도한 것이 아니라 교회를 갱신하고자 한 것이었다는 것은 중요한 사실이다. 종교개혁에 대한 바른 숙고는 오히려 교회 일치를 강화시킨다.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대회는 루터교인들뿐만 아니라 모든 개신교인, 아니 모든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축하되어야 할 것이다. Die Reformation ist ein Ereignis von weltgeschichtlicher Bedeutung. Luthers Reformation begann mit dem Thesenanschlag 1517 in Wittenberg, und 2017 dort wird das Reformationsjubiläum von den Christen der gesamten Welt gefeiert werden. Wie soll das gefeiert werden? Als eine gute Grundlage für die Vorbereitung des Reformationsjubiläums 2017 wird hier “Perspektiven für das Reformationsjubiläum 2017” erörtert und aufgrund davon wird die geschichtliche Bedeutung und die Wirkungen der Reformation im 16. Jahrhundert bis in die Gegenwart beschrieben. Die Reformation wird hier als vier Kategorien betrachtet: als weltgeschichtliches Ergeinis; als religiöses bzw. theologisches Ereginis; als Förderer der Mündigkeit des Christen; als Umbruch in Politk, Wirtschaft, Gesellschaft etc. In “Perspektiven für das Reformationsjubiläum 2017” sind die verändernden Einflüssen in Kirche, Gesellschaft, Politk, Bildung etc gut zusammenfassend und thesenhaft beschrieben. Letzlich, das Reformationsjubiläum 2017 ist besonders eine Chance und zugleich die Herausforderung für die christliche Ökumene. Das Reformationsjubiläum 2017 soll nicht nur von den Lutheranern, sondern von allen Protestanen, ja allen Christen, gefeiert werden.

      • KCI등재후보

        樹谷 權의 學問傾向과 詩人精神―經世意識을 중심으로―

        권진호 동양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2 No.-

        The Academic Tendency and Poetic Spirit of Sugok Gwonbo―With an Emphasis on Gyeongseeuisik(經世意識)―Kwon, Jin-ho*攀* A research professor of Kyungsung University攀攀This study aims to reflect the poetic spirit Sugok Gwonbo(樹谷 權: 1709~1778) through the examination of his academic tendency and social poems.Sugok lived as a poor seonbi―Korean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 throughout his life. He was influenced by various academic traditions such as ① that of his own family descending from Hwasan Gwonju(1457~1505) to his father Byeonggok Gwongu(1672~1749); ② the academic influence of Galam Ihyeonil(1627~1704) and Milam Ijae(1657~1730); and ③ the pragmatic Seoyae School which emphasized utility and practice. Accordingly, he was in pursuit of practice-oriented academic tradition based on Gyeongseeuisik, in contrast to the contemporary general academic tendency of Yeongnam Namin.Especially, his critical view of the age depicted in Hansi―Korean Chinese Poetry of Sugok is considered very significant. Although only a few poems written were critical of society, most of the Yeongnam Namin in his times produced strong ideological works implying philosophical speculation. However, social poems of Sugok are considered to be excellent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considering the tendency of hansi of Yeongnam Namin.For instance, Dasan Jeongyakyoung(1762~1836) sharply criticized the various social contradictions in his social poems. Sugok was born in the region of Yeongnam 50 years earlier than Dasan. He actively wrote social poems which were rarely produced. Social poems written by Sugok reinforced the role of Hansi for social critique in the region of Yeongnam. Therefore, Sugok will be placed as an important poet in the history of 18th century Hansi. 이 논문은 樹谷 權(1709~1778)의 학문경향과 사회시계열의 시를 통해 시인의 내면에 흐르고 있는 시 창작 정신을 조명한 것이다.수곡은 평생 동안 초야에 묻혀 청빈한 선비학자의 삶을 살았다. 그런 속에서도 花山 權柱(1457~1505)와 선친인 屛谷 權(1672~1749)로 전해지는 가학적 전통과 葛庵 李玄逸(1627~1704)과 密庵 李栽(1657~1730)의 학문적 영향, 그리고 서애학맥의 실용실천중시의 학풍을 받아들여 18세기 영남남인의 보편적 학문경향과는 달리 경세의식에 기반한 실천지향적 학문경향을 추구하였다.특히 수곡이 창작한 한시에 나타난 현실비판 정신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영남남인들은 대부분 철학적 사유를 담은 이념성이 강한 작품을 창작하거나 아니면 사회현실을 비판하는 시를 창작한다 해도 몇 수에 불과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수곡의 사회시계열의 작품은 당대 영남남인의 한시경향에 비추어 볼 때 질적양적으로 단연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茶山 丁若鏞(1762~1836)은 빼어난 사회시를 창작하여 당시 사회의 여러 모순을 날카롭게 비판하였다. 수곡은 다산보다 50여 년 전에 영남지방에 태어나 산발적으로 창작되어오던 소외된 사회시계열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창작하였다. 수곡이 창작한 사회시계열의 작품은 영남남인들의 한시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수곡 자신도 18세기 한시사에 당당하게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方壺集

        권진호 안동대학교 1999 退溪學 Vol.10 No.1

        조준도는 寒岡 鄭逑ㆍ旅軒 張顯光ㆍ愚伏 鄭經世ㆍ栢巖 김륵 등 여러 선생들은 從遊하였고, 또 蒼石 李埈ㆍ敬亭 李民宬ㆍ梧峯 申之悌ㆍ五友堂 金近 등 諸公들과 더불어 道義交를 맺었다. 이처럼 폭넓은 師友관계에서 볼 때, 『방호집』은 퇴계학풍이 안동의 동남쪽 즉, 의성ㆍ청송지방으로 계승ㆍ변모되는 양상을 파악하는데 참고자료가 된다고 여겨진다. 아울러 17세기 초반 국내외적인 커다란 역사적 사건 즉, 희재 선생의 문묘종사문제ㆍ정묘호란ㆍ병자호란의 실상을 「일록」이란 문확 양식을 통해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평가받을수 있을 것이며, 전란문학적인 일기문학을 연구하는데 一助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루터의 종교개혁 찬송 “다함께 즐거워하라”

        권진호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101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Luther’s reformation hymn “Nun freut euch, lieben Christen g’mein” and its theological and historical meaning in terms of hymn as a medium of proclamation of the gospel. This hymn was one of Luther’s earliest hymns. We can find that it is, despite of hymn, a meaningful and accurate testimony of Luther’s theology (shown in Luther’s theological work). This hymn typically represents christian soteriology in line with Luther’s theology of justification. This hymn is a spiritual hymn that proclaims very clearly how a sinner comes to grace and reaches salvation. It is clear that this hymn serves as a medium of propaganda of the Reformation and the gospel. In other words, Luther’s hymn was a sung propaganda for the Reformation. If the Reformation is recognized as a ‘preaching revival movement,’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early Reformation was a ‘hymnal movement.’ The essence of evangelical faith was proclaimed through song impressively and at the same time individually appropriated. This hymn, which effectively conveyed the evangelical teachings, was a “by song proclaimed gospel” and at the same time a “Reformation hymn,” promoting and maximizing Luther’s Reformation and its teachings. “이제 다함께 즐거워하라”는, 찬송임에도 불구하고 (루터의 신학적인 작품에 나타난) 루터의 신학을 의미 있고도 정확하게 증언하고 있으며 루터의 신학의 핵심인 칭의론과 일치하여 기독교의 구원론을 전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물론 칭의라는 개념을 실제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칭의론은 찬송 전체에 내용적으로 녹아 있다. 이 찬송이야말로 죄인이 어떻게 은혜를 받고 구원에 이르게 되는지를 아주 명료하게 선포하는 영적인 찬양이다. 그런데 루터는 2-10절에서 일인칭을 사용함으로 종교개혁적인 믿음에 이른 자신의 개인적인 길을 서술하여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개인적인 체험을 이 찬양을 하는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보편적인 구원의 역사를 개인에게 적용하고 이 구원의 체험이 이것을 찬양하는 각 개인의 체험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인간의 구원에 대한 하나님의 결정에 의한 구원의 역사는 성부와 성자와의 대화, 그리고 성자와 찬송의 화자와의 대화로 서술된다. 내용 측면에서 볼 때 이 찬송은 전체적으로 칭의론을 다루고 있는 신학 작품처럼 복음을 말하는 바울 신학을 멜로디와 가사로 표현하되, 근본적으로 성서의 구절들(무엇보다도 로마서)에 대한 시적(詩的) 주석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송재松齋 이우李堣의 삶과 시세계

        권진호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7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and poetry world of Woo Lee with pseudonym of Songjae (1469~1517). He served the royal government as an official for 19 years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early 16th century. He criticized wrongs done by vassals of merits and even the king's unjust power, and expressed his honest and sincere opinions.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Jungjong, he gave the king his sin- cere and loyal opinions to correct the maladministration of the time. He was rewarded for good administration as a provincial official while away from the capital. However, in his later years, he was devoted to support- ing his parents and educating his children and nephews. This shows that he inherently had the aspiration and hope to provide the foundation of Toegye Study, the philosophy of the Lee family originating from Jinseong. In short the attitudes and roles that Woo Lee with pseudonym of Songjae showed in his service for the royal government and his family life, and his poetry writing led the way to widening the range of the intellectual history in the Andong region of the 16th century when Neo-Confucianism was not prosperous. Furthermore, they are thought to serve as standards of intellectual life. As for his writing, he was evaluated to write clearly and elegantly, and in particular, he was excellent in writing poems. The number of his poems amounts to 364 with 253 titles. Most of these poems are not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As suggested by the anthology names such as Chronicle of Doings in the Gwandong Region and Records of Returning to Farming, his writings revealed his feelings and thoughts about the landscapes and social conditions that he encountered while inspecting the region of Gwandong as administrator. The poems described elegant landscapes and unaffected daily lives as they were. 본고는 송재松齋 이우李堣(1469~1517)의 삶과 시세계를 조명하였다. 그 는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반, 19년간 벼슬에 종사하면서 훈구관료의 비행非行과 임금의 부당한 권력에 대해 직언을 하였고, 중종반정 이후로는 폐정弊政의 개혁을 위해 소신껏 충언을 다하였으며, 외직에 있을 때는 선정을 베풀어 포상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만년에는 노모에 대한 봉양과 자질子姪들의 훈육訓育에 더욱 힘을 쏟았는데, 그 이면에는 진성이씨 가학家學, 즉 퇴계학의 초석을 마련하겠다는 포부와 희망이 내재해 있었다. 한편, 송재 이우는 문장이 맑고 전아 典 雅 하다는 평을 받아왔으며, 특히 시에 뛰어났다. 그가 추구한 253제題 364수에 이르는 시문학은 철학적 함의를 담고 있는 철리시哲理詩 계통의 시는 거의 없고, 시문을 묶어 놓은 「관동행록關東行錄」과 「귀전록歸田錄」의 명칭이 암시하듯, 관찰사로서 관동지방을 순 시하며 그곳의 산수풍광과 인정세태에 대해 느끼는 심사를 형상화하거나, 고향주변 산수의 흥취와 소탈한 일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요컨대, 송재 이우가 보여준 조정에서의 모습과 가정에서의 역할, 그리고 그가 추구한 시문학은 성리학이 꽃을 피우기 전인 16세기 안동지역 지성사 의 지평을 넓혀주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종교개혁에서의 수도원 제도

        권진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ormation and monasticism, in other words, to consider how Luther’s criticism of monasticism was accepted during the Reformation and what historic results it had brought. First, I study Luther’s position on monasticism to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Reformation and monasticism. According to Luther, the monastic vow is not based on the Word of God. Rather, it is contrary to the Word, faith, evangelical freedom, God’s commandments and love, and the monastic life goes against human reason. Luther’s position and judgment against monasticism was fundamentally to refuse the claim that monastic life was a special road to ensuring salvation. Second, Luther’s criticism of monasticism rocked its foundation, which was the pillar of the medieval church, and eventually led to the collapse of the monastery. To see a specific example of such an incident, we look at the actions taken by Prince Philippe of introducing the Reformation and its stance to the monastery in Hessen. As a result of accepting Luther’s position and criticism of monasticism, monks fled monasteries in large quantities. Monasteries were dismantled by the authorities, and many were used by the authorities for other purposes. Of course, there were some monasteries that survived. Finally, the Reformation disrupted the monastic system, but the theology and piety of the monaster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uther and the Reformation. In other words, the Reformation and monasticism are not completely antagonistic but are rather close to each other in various aspects. 이 연구의 목적은 루터의 종교개혁과 수도원 제도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즉 루터의 수도원 제도 비판이 종교개혁 가운데 어떻게 수용되고 역사적으로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가 연구하는 것이다. 첫째, 종교개혁과 수도원 제도의 관계를 위해 수도원 제도에 대한 루터의 견해를 연구하였다. 루터에 따르면, 수도사 서약은 하나님 말씀에 근거하지 않고 오히려 말씀에 모순되며, 믿음, 복음적인 자유, 하나님의 계명, 사랑에 거스르고, 수도원 삶은 이성에 역행한다. 이 모든 판단은 수도사의 삶이 특별하게 구원받는 길이라고 정당화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이었다. 둘째, 루터의 수도원 제도 비판은 중세교회의 기둥이었던 수도원 제도의 근간을 뒤흔들고 수도원을 붕괴시켰다. 이러한 사건의 구체적인 예로 헤센주에서 방백 필립이 종교개혁을 도입하며 수도원 제도에 대해 취한 당국의 조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도원 제도에 대해 루터의 입장과 비판을 수용한 결과로 수도사들이 대량 으로 수도원을 이탈하는 현상들이 나타났고, 당국에 의해 수도원이 해체되고, 당국에 의해 수도원이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개혁 등이 있었다. 물론, 수도원이 유지되며 이곳에 남은 수도사, 수녀들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종교개혁은 수도원 제도를 붕괴시켰지만, 수도원의 신학과 경건은 루터와 종교개혁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다시 말해, 종교개혁과 수도원 제도는 적대적인 관계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호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한때 수도사였던 자들이 적극적으로 종교개혁에 참여하였고 또한 종교개혁을 새로운 수도원 제도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