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율주행 단계별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선호도

        권주영,정소연,주다영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2019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4 No.1

        As the requirement of the in vehicle infotainment service increases, the role of the in vehicle display is also expected to rise. Particularly, center information display(CID) is expected to be actively utilized, and since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display is anticipated to chang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based on the users’ perspective. However, there are limited research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user’s consciousness on the size and position of autonomous vehicle display. Her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present the preference of the center information display’s size and position on each levels of driving automation. For this, an experiment on the driving simulator was conducted using the think-aloud metho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orizontal display(12.5inch) on the top position was the most preferred in the second level of the driving automation. On level three, the participants significantly preferred the vertical display(17inches) compared to the second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which examines the user’ preference of CID using a driving simulator for the autonomous vehicle. 자율주행 자동차 내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디스플레이역할이 커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의 활용도가 증대될 것이라고 전망되며, 디스플레이의 크기 확대 및 위치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에 사용자 경험 관점에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자율주행 자동차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해 사용자 의식을 파악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 단계별로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선호도를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실험 후 설문조사 및 회상적 발성사고법(Retrospective Think-aloud)을 통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자율주행 2단계에서는 ‘상단 위치 가로형 디스플레이(12.5인치)’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율주행 3단계에서는 ‘세로형 디스플레이(17인치)’에 대한 선호도가 자율주행 2단계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양산되지 않은 자율주행 자동차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제시한 연구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메타버스를 활용한 고령자의 미래 자동차 사용성 경험 및 공간 인지 특성

        권주영,주다영 한국감성과학회 2022 춘계학술대회 Vol.2022 No.-

        가상·증강현실 산업의 급격한 성장 속에서, 현실감 및 몰입감 높은 가상의 공간이나 서비스를 고객이 경험하고 평가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Lee et al., 2020). 이러한 흐름에 따라 미래 자동차 설계의 주요 과정에서, 가상·증강현실,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하여 고객 대상 사용성을 검증하는 버추얼(Virtual) 개발 환경이 강화되고 있다 (Hyundai Motor Group, 2019; Pettersson et al., 2019). 이 방법을 통해 개발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최적의 차량 제원 확보가 가능하다. 고령자 인구가 가파르게 증가함에 따라 고령자를 위한 미래 자동차 설계가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Choi, 2021), 가상 환경을 활용한 고령자 대상 사용성 평가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2025년에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고령 운전자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차량 설계가 필요하며, 이와 동시에 미래 자동차 환경에서의 탑승 환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고령자 집단의 고객이 경험해보지 못한 환경 사용성을 평가하고 최적의 차량 제원을 확보하기 위해서, 가상 환경을 통한 기술개발이 일부 시도되고 있다. 고령자 관련 산업에서 로봇과 같은 고령친화제품에 대해 가상현실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거나, 인지적·정서적·신체적 활동 증진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그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Kim et al. 2020). 그러나 실재감, 공간인지가 중요한 미래 자동차 환경을 고령자가 가상 환경을 통해 경험하는 것에 대한 적합성 및 효과성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 유형 중 가상현실을 활용한 고령자의 미래 자동차 사용성 경험에 대한 인식 및 공간 인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가상현실로 평가할 미래 자동차 실내외 환경 및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둘째, 시나리오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미래자동차 실내외 환경을 구현하였다. 셋째, 고령자 34명 대상으로 가상현실로 구현한 자동차 실내외 환경에서의 몰입감, 공간인지, 인터랙션, 피로도, 즐거움 등의 인식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넷째, 이를 기반으로 미래 자동차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자동차를 체험하는 동안 완전히 집중하는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실재감이 높게 나타났으나, 실제 자동차 크기와 동일하게 표현된 가상환경일지라도, 자동차 크기나 재질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큰 변화가 예상되는 미래 모빌리티 환경에서 고령자의 탑승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가상현실을 통한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미래 자동차 기술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공간인지 특성을 고려하여 고령자의 실감형 경험을 극대화하는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일본 개호인재 확보 정책동향 및 시사점

        권주영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3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의료 및 복지에 대한 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 정부의 다양한 정책적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개호인력 확보 및 인력양성을 위해 일본정부와 지자체가 1) 인프라 구축, 2) 개호복지사 수학자금 등 대출제도, 3)외국인 유학생 개호인력유입 등 다양한 방면으로 전문 인력 확보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교육기관 인 대학에서도 커뮤니티케어 교육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의료, 복지, 교육에 관한 전문인재 육성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직업교육을 통해 개호전문인력을 지속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한국도 급속한 고령화와 의료기술의 진보 등 보건의료를 둘러싼 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고령자에 대한 개호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개호요구의 급증에 비해 노동 인구의 감소로 심각한 인력부족을 겪고 있는 일본의 선 경험에 비추어 보건인력 확보에 대한 정책방안의 논의가 이루어 져 할 것이다. Confronting rapid population ageing, Japanese government proposes various types of regional comprehensive care programs for elderly people. In particular, the Japanes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efforts to ensuring long-term care workforce. Among others, the government is pursuing measures to secure specialized manpower in various ways 1)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2) Loan system for long-term care worker, 3) Inflow of long-term care staff for foreign students, etc. Also, universities have trained numerous community care specialists through research centers for health care, social welfare, and specialized education. Korea is also expected to explode the demand for long-term care worker at the rapid rate of aging, a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iscuss measures to cope with it.

      • KCI등재

        일본 간호인력 수급방안정책의 시사점

        권주영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부족한 간호인력 수급방안 및 근무환경개선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방안을 모색하여, 간호의 질을 높이고 양질의 업무환경을 만들어 적정 간호인력 수급확보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와 보건체계가 유사한 일본의 간호인력 정책과 관련된 문헌 및 정부와 지자체 자료분석을 통해 실효 성 있는 간호인력 확보방안 및 지자체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본은 1974년부터 간호인력 수급정책을 마련하 여, 근무환경개선 및 잦은 이직과 퇴직으로 인한 유휴 간호인력의 재취업등의 개선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 으로 일본의 1년 미만의 신입간호사 이직율이 7.5%로 감소한 반면, 한국의 신입간호사는 33.9%로 큰 차이를 보였 다. 이를 통해, 간호인력증원도 중요하지만, 기존의 간호인력이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업무환경개선이 이루어 져야할 것이다. 지방간호사들이 이탈하지 않도록 적정한 휴식 및 간호수가를 수도권지역보다 높게 책정하는 등 제 도적인 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유휴인력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채용한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중앙 및 지자체 차원에서 다양한 인센티브 및 재정적 지원으로 독려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effective policy measures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improving the supply and demand of nursing manpower in Korea,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and creating a high-quality work environment to present a plan to secure adequate supply and demand for nursing manpower. To this end, we have looked at ways to secure effective nursing manpower through literature related to Japanese nursing manpower policy, which has similar health systems to Korea. Japan has established a nursing manpower supply policy since 1974, and is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re-employment of idle nursing personnel due to frequent turnover and retirement.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the turnover rate of new nurses less than one year in Japan decreased to 7.5%, while the rate of new nurses in Korea was 33.9%.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ways to encourage medical institutions that have actively promoted and hired idle personnel through various incentives and financial support at the central and local levels.

      •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단계 및 사용 상황 별 시트 배치 유형

        권주영,주다영 한국감성과학회 2020 춘계학술대회 Vol.20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 of seat arrangement of Autonomous vehicle so that the user does not experience discomfort due to interference between posture and interior space compon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driver’s seat arrangement type, which shows the greatest change in seat movement and placement in each level of driving automation, was analyz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lassified into levels of driving automation and usage situations. This study differs from the existing research in that it can be used to analyze the variable mechanism of the interior space of autonomous vehicle and has academic and industrial significance.

      • KCI등재

        함안이동 자산의 발전 추세 분석을 통한 상륙작전 발전 방향에 대한 정책적 제언 연구

        권주영,문호석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23 국방연구 Vol.66 No.3

        Amphibious operations have been carried out as one of the decisive operations in the history of war. For the success of the amphibious operation, ship-to-shore movement assets, such as landing boats, hovercraft, and amphibious assault armored vehicles that project troops, equipment, and supplies from sea to land, are important.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ship-to-shore movement assets based on data and analyzes changes in the paradigm of amphibious operations to present policy suggestions for amphibious operations of the Korean Armed Forces. In this study, the evolution process was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and classification models, which are data science analysis methodologies, using data by development year of ship-to-shore movement assets. In the past, existing studies analyzed landing ships moving from the mounted area to the operational area, but in this study, ship-to-shore movement assets reaching land from the sea after moving to the operational are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rend of ship-to-shore movement assets developing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and through this, a paradigm change in amphibious operations was also derived. Furthermore,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amphibious operations and the R&D and introduction of ship-to-shore movement assets.

      • KCI등재

        원격의료 추진을 위한 선결과제 및 시사점 : 일본을 중심으로

        권주영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2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원격의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의료체계가 비슷 하고 이미 시행하고 있는 일본의 원격의료에 관한 추진과정, 현황 및 과제 등을 분석 하였다. 더불어 향후 국내 원격의 료의 도입 확대를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마련과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함에 있다. 일본은 의료계에서 원격의료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함에도 원격의료 정착화까지 신중한 태도로 제도화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원격의료의 진료수가에 대한 명확한 규정 및 의료과실에 대한 책임소재에 관한 법적인 조치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원격의료의 주체에 대한 명확한 법적인 해석이 필요하며, 의사와 환자의 법적 책임과 한계에 대한 지침 및 대책을 강구하는 등 전략적 접근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In the post-corona era, telemedicine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is is the case in which it is written, in terms of this study, and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s and the Korean government. In addition, the aim is to prepare effective measures and seek policy suggestions for expanding the introduction of domestic telemedicine in the future. Although Japan has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elemedicine in the medical community, it has institutionalized it with a cautious attitude until the establishment of telemedicine.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lacks clear provisions on medical fees for telemedicine and legal measures regarding the responsibility for medical malpractice. Therefore, a clear legal interpretation of the telemedicine subject is needed, and a strategic approach is prioritized, including guidelines and measures for the legal respon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physicians and patients.

      • KCI등재

        유아시설의 안전을 위한 실내 환경계획에 대한 연구 - 학부모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권주영,하미경,변기동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6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54

        Recently, the demand for social role of childcare has been increased due to women‘s advancement into society. However, the increase of children accidents appears as an important issue due to qualitative depreciation. As the number of children accidents in early children facilities increases each year, it can be said that composition of childcare environment for prevention of accidents is urg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n environmental planning for safety and security in early children facilities. This study researched consciousness of parents for safe environment of early children facilities for this,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prevention and handling in various aspects are required to prevent accidents in early children facilities, such as 'improvement of teachers' treatment', 'strengthening of legal standard of facilities', 'safety education', 'expansion of safety consciousness', and 'improvement of facility environment'. Second, formation of concentrated safe environment should be done in classroom/nursing room, aisle and stairs. Third, ‘finishing planning’ is required for formation of safe environment. Fourth, ‘safe wall and floor finishing’, ‘surveillance of each room’, ‘outsider access control’, ‘preparation against emergency situation’, ‘falling prevention’ and ‘planning elements relevant to preparation against accident upon children’s movement activities‘ are required among planning elements for formation of safe environment in early children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