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명의 종류 고찰 - 역사와 유형별 종류, 논란을 중심으로 -

        권익기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82 No.-

        본고는 우리의 인명을 근본 유형의 본명과 자, 호 유형의 호와 별명, 당호, 택호, 시호, 필명, 예명, 그리고 근본·호 이외 유형의 태명과 아명, 아이디, 닉네임, 교명, 보명 등으로 나누어서, 역사적 전개과정과 유형별로 구분하여 모든 종류를 검토하면서 관련 논란 내용까지 살폈다. 1909년 민적법 시행 이후 모든 국민이 두 글자 한자 본명 등 모든 인명을 가질 수 있지만, 그 때까지도 하층과 대부분의 여성은 아명 밖에 없었다. 본명의 경명사상으로 부명인 자가 생겼고, 본명과 자의 별칭으로 생긴 호에서 당호와 택호, 필명, 예명 등이 분화되었다. 해당 생애주기에 따라서 태명과 아명을 지었고, 특정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별명과 교명, 보명도 생성되었다. 본명과 호, 별명과 같이 오랜 기간 사용 중인 인명도 있지만, 전통적인 자와 시호는 이미 사라졌고, 아명과 당호, 택호는 멀지 않아 사라질 수도 있다. 논란 내용 중 본고에서 확인된 사항은 첫째, 冠名(관명)이란 성인 이전을 제외한 이후만의 본명을 지칭하므로 본명의 동의어가 아니다. 둘째, 항렬자 사용이 일반화된 기간은 근년이면서 오랜 기간도 아니고 오래전일수록 일부만 항렬자를 사용하였기에, 본명의 전통적인 작명을 항렬자 사용 여부로만 구분하는 것은 재고해야 된다. 셋째, 당호는 두 번째로 많은 호의 작명 유형이고, 필명은 생성 요인과 작명 유형이 호와 거의 동일하므로 지나친 호의 유형 분류는 옳지 않다. 넷째, 본명에서 별명이 분화되어 다명사회가 된 후, 인명은 소멸보다 더욱 다양하게 생성 분화되었으므로 일명사회로 돌아갈 수는 없다. 다섯째, 아명은 어린 아이의 애칭일 뿐 공부상 인명이 아니므로 본명을 성인 이전의 아명과 이후의 冠名으로 구분할 수 없다.

      • KCI등재

        성명학의 학문적 정체성 검토 — 학문적 범위와 선행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

        권익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2 동방문화와 사상 Vol.13 No.-

        The nameology is very widely as ‘a comprehensive study related to family names and names’, but also is very narrowly as ‘a namingology related to destiny’, and is treated as a divination technique. However, since precedence research has increased since the 1990s and has been meeting academic requirements, the academic identity of nameology was reviewed based on this.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nameology with 10,321. However, there are only 82 academic papers and thesis in very narrow nameology, so there are not many. Although it is called the nameology, the academic field is quite narrow because it is only narrowing the scope to ‘namingology that includes interpretation of destiny-related names’. And it is not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of academic research fields. Since there are few universities, graduate schools and professors, and only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are produced, so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development of nameology in the future. In this situation, it is not easy to discuss, bu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establish an academic identity for the development of nameology. Therefore, if I propose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paper, first, the nameology should get out of the theory of destiny. Second, the academic area should be secured by expanding the scope of nameology. Third,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academic research field of nameology. Fourth, there is an urgent need for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education to nurture experts of nameology. 성명학은 ‘성씨와 이름관련 종합학문’으로 아주 넓게도 보나, ‘운명과 연관된 작명학’으로 아주 좁게도 보면서 점술로 취급되기도 한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선행연구가 증가하면서 학술적 요건을 갖추어 가고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성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검토했다. 성명학 관련 연구는 10,321건으로 상당히 많지만, 최협의성명학의 학술과 학위논문은 82건으로 많지 않다. 명칭은 성명학이지만 ‘운명연관 해명이 포함된 작명학’으로 범위를 좁히고 있기 때문에 학문적 영역이 상당히 좁고, 학술연구분야분류에도 없는 무적 학문이다. 가르치는 교수나 대학(원)도 거의 없이 석사와 박사만 배출되고 있어서 성명학의 향후 발전을 기대하기 힘들다. 이 같은 상황에서 논하기도 쉽지 않지만, 성명학 발전을 위한 학문적 정체성 정립은 필수적이다. 이에 분석한 내용을 중심으로 제언하면, 첫째 성명학은 운명론을 벗어나야 한다. 둘째 성명학의 범위 확대로 학문적 영역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성명학의 학술연구분야분류가 필요하다. 넷째, 성명학 전문가를 양성하는 대학(원) 교육이 시급하다.

      • KCI등재

        성명(姓名)에서 이름자(名字)의 불용문자(不用文字) 고찰

        권익기,김만태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4 No.-

        The disused characters are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not used in people's naming characters. The reason not to use them are mos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s meanings, and also to the name respecting philosophy and Cheukjapaja. The type of them could be classified largely as the ominous characters that people think these characters have unfortunate influence on people's destiny and the meaning disused characters with unlucky meanings and other types. All the types above belong to the disused characters in broad meaning, but the disused characters in narrow meaning are limited to the ominous characters. The disused characters in broad meaning are sometimes over interpreted as unlucky by the influence of the ominous characters which connect a name to the people's destiny passing through the period of name changing program. According to literature research, 57.4% of the total disused characters in broad meaning were available. And 42.0% of the research subjects leaders are currently using them. So it is different from the assertion of the naming academia, which is they do not use the disused characters for a name character. Since only less than 2% of disused characters in broad meaning are in use, they appear to be consistent with the assertion of the naming academia. It was a characters that was careful for naming before the name and fate were associated with name changing program in broad meaning, so the disused characters themselves are not the reason of disused. For the ominous characters in literature research, the fact that 84.0% of them are able to use, and 40.6% of the research subject leaders are at top position even they used these characters provides supporting evidence that there is no ominous character or they have no unfortunate influence to people's destiny. Because the ominous characters which are disused characters in the narrow meaning have no unfortunate influence to the destiny, so they could be used to name characters. And because the meaning disused characters and other types which are disused characters in the broad meaning are the ones people have paid attention from the beginning when they created names, they are not the disused characters in true meaning. In the conclusion, if this was analyzed by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use cases, we could say that there are no disused characters in the name. 불용문자(不用文字)는 이름자(名字)에 사용하지 않는 한자(漢字)이다. 그 근거는 대부분 자의(字意)에서 찾고, 경명(敬名)사상과 측자파자(測字破字)에서도 찾을 수 있다. 그 유형은 크게 운명에 나쁜 영향이 있다고 여겨지는 불길문자(不吉文字)와 의미가 좋지 못한 자의(字意) 불용문자, 기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광의(廣義) 불용문자는 위의 모든 유형이 포함되지만 협의(狹義) 불용문자는 불길문자로 한정된다. 창씨개명(創氏改名) 시기를 거치면서 이름과 운명을 결부 짓는 불길문자의 영향으로 광의 불용문자도 불운(不運)하다고 확대 해석하기도 한다. 광의까지 포함된 전체 불용문자는 문헌조사 분석에서 57.4% 사용 가능하고, 조사대상 지도자의 42.0%가 사용하고 있으므로 불용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성명학계의 주장과 다르다. 광의 불용문자인 자의 불용문자와 기타 유형은 2% 이하만 사용 중이므로 성명학계 주장과 일치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광의 불용문자는 창씨개명 시기, 이름과 운명이 결부되기 전부터 작명할 때 유의(留意)했던 문자였으므로 불용문자 자체가 그 원인은 아니다. 협의 불용문자인 불길문자는 문헌조사 분석에서 84.0% 사용 가능하고, 조사대상 지도자의 40.6%가 사용하고도 최고위층에 올랐다. 이는 불길문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운명에 나쁜 영향이 미치지 않음을 방증한다. 따라서 협의 불용문자인 불길문자는 운명에 나쁜 영향이 없으므로 이름자에 사용해도 된다. 광의 불용문자인 자의 불용문자와 기타 유형은 작명할 때 애초부터 유의했던 문자였으므로 진정한 불용문자가 아니다. 불용문자에 관한 문헌조사와 그 사용 여부로 분석해볼 때, 결론적으로 이름자에 사용하지 않는 한자인 불용문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주요 성명학의 작명법 비판적 고찰 -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중심으로 -

        권익기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7

        본고는 최고의 작명법을 도출하기 위해서 비판적 시각으로 문제점과 개선방향 중심으로 자의성명학과 자원오행성명학, 81수리성명학, 수리오행성명학, 발음오행성명학, 명리성명학, 한글십성성명학을 살폈다. 성명학의 문제점은 첫째 개운을 강조하지만 우리는 성명으로 개운할 수 있는지도 모른다. 성명이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정하나 적극적 개운론만 주장하면 비판과 점술에서 벗어날 수 없기에 운명론을 재고해야 한다. 둘째 각 성명학은 개운의 근원이 다르다. 수리나 주파수는 비판이 심하나 반증이 없고, 자기 옹호와 상대방 폄하만 존재할 뿐 근원 관련 연구가 거의 없어서 추가 연구가 절실하다. 셋째 길흉 분석도 문제이다. 81영동수는 수용하기 곤란하고, 오행성명학은 문제점과 이견을 잠재울 검증이 필요하다. 넷째각 성명학은 유형마다 도출된 문제점도 상당하므로 이 역시 해결해야 한다. 결국 어떤 성명학도 문제점과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기에 최고가 아니다. 살펴본 성명학뿐만 아니라 그 이외도 검증하고 개선한다면 최고의 작명법이될 수 있으므로 우리는 적극적인 자세로 성명학의 체계를 정립해야 한다 To draw the best naming method, this thesis examined jaui-nameology, jawon-ohaeng-nameology, 81-suli-nameology, suli-ohaeng-nameology, pronunciation-ohaeng-nameology, myeongli-nameology and hangeulsibseong-nameology by focusing on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The problems of major nameologies are as following: First, it emphasizes gaeun, but we cannot know whether it is possible to have gaeun. The influence of name on human beings is acknowledged but we cannot escape criticism and fortune-telling if we only insist on positive gaeunlon, so theories of destiny should be reconsidered. Second, each nameology has different foundation of gaeun. As for suli or jupasu, there are criticisms but no counterevidence, and only self-acknowledge and disparagement for others, so it is required the study on foundation of gaeun which has little previous studies. Third, the analysis of good or bad names is also problematic. 81yeongdongsu is difficult to accept and ohaeng-nameology needs verification to settle the problems and different opinions. Fourth, since each nameology has many problems deduced from each type, these should be solved, too. In conclusion, it is difficult to say which nameologiy is best because every nameology has its own problems and criticisms. If we verify and improve not only the examined seven nameologies , but also others, it can become the best naming method, so we must establish a system of nameology, with an active attitude.

      • KCI등재

        작명(作名) 관련 가정의례(家庭儀禮) 고찰

        권익기(權益棋)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8 No.-

        Family rites are performed rites by family in each important turning point of family members. Even though it is known as Gwanhonsangje, traditionally, there is also Tonglye like Yusajeuggo. Today, both Suyeonlye and Jagmyeonglye are also included. Name specifically identifies a person, has identitis, and naming has the meaning of social birth.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of our lives, it has been an object of family rites from the past, so this thesis examined this. As the family rites related to naming, traditionally, there was Jagjarye included in Gwanlye. From the 1990s, Jagmyeonglye has also been carried out. Gwanlye which was the traditional coming of age ceremony included Jaseol and Jagmyeonglye of Ja. Even after Gwanlye was settled down in the early 16th century, it was carried out only by some of the upper class. Due to the early marriage and Danballyeong, Gwanlye gradually disappear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because of the strong educational feature for getting equipped with adult’s character, it was revived as coming of age ceremony in 1999. However, separately from this, after the enforcement of Minjeogbeob, Gyeongmyeongsasang and Pihwi disappeared, and along with the disappearance of ja, Jagjarye also disappeared. Jagmyeonglye is the family rites that name a Bonmyeong to a young child. The history is long enough to be recorded in Jujagarye and traditional Garyeseo. Even though it is argued to be carried out in the Joseon Dynasty, it has not been verified. From the 1990s, Jagmyeonglye was included in family rites, which has still rarely been carried out yet. Jagmyeonglye, which includes both physical birth and naming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of our lives, so it was an object of family rites. Therefore, it should be highly evaluated that Jagmyeonglye was included in family rites based on Garyeseo. For the vitalization of Jagmyeonglye, we also need modernization of Myeongcheob and detailed records of naming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름의 금기문자(禁忌文字) 고찰 – 피휘(避諱)와 불용문자(不用文字)를 중심으로 -

        권익기(Kwon, Ik-k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5 No.-

        가장 많이 알려지고 전통적인 이름 금기가 피휘이고, 일부 작명가들이 현재 이름 금기라고 주장하는 것이 불용문자이다. 피휘란 군주나 부모, 선조, 성현 등의 이름을 일상생활에서 피하여 대체하는 표현이고, 불용문자는 당사자의 운명을 나쁘게 만드는 이름에 사용하지 않는 글자이다. 불용문자는 기휘와 개자법과 유사하고 작명에만 적용되므로 피휘에 비해서 범위가 좁지만, 의미만 보면 불용문자도 이름의 금기문자이다. 피휘는 신라시대에 당에서 유입하여 1000년 이상 우리나라의 이름 금기로 역사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불길문자가 1940년 창씨개명 전후 소개된 후 100년 가까이 되었지만, 아직도 국민들이 수용하지 않아서 금기문자가 아니다. 피휘는 통상적으로 국휘와 가휘, 성휘 등의 경휘를 의미하고, 범위를 넓히면 기휘와 증휘도 포함된다. 불용문자 역시 불길문자와 자의 불용문자, 기타문자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세분도 가능하다. 길하거나 이롭지 않은 언어를 피하는 기휘가 불용문자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일부에서만 적용되었고, 불용문자의 어떤 하위 유형도 개념이나 글자 등을 보면 금기문자로 볼 수 없다. 이름의 중요성과 그 뜻 때문에 생긴 것이 이름 금기이므로 피휘와 불용문자의 근거는 경명사상과 자의이다. 후대로 내려갈수록 피휘는 금기 위반에 대한 처벌로 존재했기에 금기도 근거이나, 불용문자는 형성되지도 않았기에 그 근거는 금기가 아니다. 국휘와 성휘는 형성 후 금기 위반에 대한 처벌로 유지되다가 없어지면서 사라졌고, 가휘는 효와 조상 숭배 정신이 약해졌지만 존재하고 있으므로 현재도 일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기휘, 증휘와 같이 불용문자는 주장하는 일부 작명가들의 금기일 뿐 국민 대부분은 인정하지 않으므로 이름의 금기문자가 아니다. The most well-known and traditional Name Taboo is the Pihwi. And the current taboo that some of the name authors claiming is the Disused Characters. The Pihwi is an expression in which the names of monarchs, parents, ancestors, and sages are replaced in our daily lives. The Disused Characters are not used in names because they make a person"s fate worse. The Disused Characters’ scope is narrower compared to the Pihwi because they are similar to Gihwi and Gaejabeob and applied only to naming. But in terms of meaning, the Disused Characters are also the Taboo Characters of Name. The Pihwi was introduced from the Tang Dynasty during the Silla Period and has existed historically for more than 1000 years as Name Taboo in our country. However, although they have been nearly 100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Ominous Characters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forced the Name Change Program(創氏改名) in 1940, they are still not the Taboo Characters of Name because the people do not accept them. The Pihwi usually means Gyeonghwi of Gughwi, Gahwi, Seonghwi, and if the scope is expanded, there are also Gihwi and Jeunghwi. The Disused Characters can also be largely divided into the Ominous Characters, the Meaning Disused Characters and other characters, and can be subdivided. The concept of Gihwi avoiding characters that are beneficial or not beneficial to fate is similar to the Disused Characters, but only partially applied. No subtype of the Disused Characters, given their concept or character, can be seen as Taboo Characters. Name Taboo was created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name and the meaning of name, so the basis for the Pihwi and the Disused Characters was the name respecting philosophy(敬名思想) and the character"s meanings. In recent years, the Pihwi has existed due to punishment for violations of taboo, so the basis for the Pihwi is taboo. However, the basis for the Disused Characters is not taboo because they have never been formed taboo. Gughwi and Seonghwi were maintained because of the punishment for the violation of taboo after formation, but disappeared as the punishment disappeared. Gahwi exists despite the weakened spirit of filial piety and ancestor worship, so it is still maintained in part. However, the Disused Characters such as Gihwi and Jeunghwi are taboo claimed by only a few of name authors, and most of the people do not recognize them, so they are not the Taboo Characters of Name.

      • KCI등재

        『동문선(東文選)』의 인명설(人名說) 고찰 - 이름과 이름짓기를 중심으로 -

        권익기(Kwon, Ik-k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8 No.-

        한문 산문체인 설의 한 유형인 인명설은 이름을 지은 후 그 뜻을 풀이하여 실천하면서 살 것을 당부하는 문학 작품이다. 인명설은 도입과 뜻풀이, 당부의 세 부문으로 형식화되어 있고, 관례의 한 의례로 명자설이 자리 잡았기 때문에 양이 많고 널리 알려져서 인명설을 대표한다. 『동문선』에는 고려후기 <경보설>부터 조선초기 <산은설>까지 약 200년 동안 13명의 명자설 26편, 호설 8편, 자설 3편, 본명설 2편 등 총 39편의 인명설이 실려 있다. 『동문선』의 인명설을 이름과 이름짓기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째 자·호가 널리 사용되기 전 본성으로 당사자를 특정한 것과 이름관련 글이 문체로 600년 성행한 것 등에서 이름의 중요성이 드러난다. 둘째, 명자설을 보면 본명에 연관하여 자를 짓고 있으므로 본명과 자는 짝이 되는 이름 유형이다. 셋째, 여말선초 당시 이름짓기 유형은 한자자의밖에 없다는 주장과 달리, 음양과 주역, 도가사상, 모습과 사실, 행동, 소리 등도 활용되고 있다. 넷째, 이름관련 전통적 개념인 항렬자와 피휘, 선호문자, 형제간 순서 등이 인명설의 이름에서 나타난다. 다섯째, 명자설이나 자설 중 한 편도 관례 시에 짓지 않았고 관례보다 인명설이 먼저 정착하였으므로, 관례 시에 자를 짓고 설하였다는 것은 인정할 수 없다. 여섯째, 인명설의 작명 노력과 개명 성행 등을 보면 여말선초 당시 이름에 의한 개운론은 민속적 바탕 문화였음도 확인된다. 일곱째, 인명설은 이름 자체보다 이름의 뜻 해석이 주였으므로 고명사의는 인명설의 핵심이지 이름이나 이름짓기의 핵심으로 볼 수 없다. Inmyeongseol, a type of Seol(說) which is a genre of Chinese character prose styles, is a work of literature. Inmyeongseol is formalized into three categories: introduction, definition, and request. Since it was established as on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Myeongjaseol is widely known and represents it. There are total 39 works of Inmyeongseol in 『Dongmunseun』 including 26 works of Myeongjaseol, 8 works of Hoseol, 3 works of Jaseol, and 2 works of Bonmyeongseol by 13 people for 200 years from <Kyeongboseol(敬父說)>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to <Saneunseol(散隱說)> in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results of research of 『Dongmunseun』 focusing on the name and naming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name is identified in the prevalence for more than 600 years of Inmyeongseol, referring to a specific person by clan seat and surname before the widespread use of Ja(字) and Ho(號). Second, Myeongjaseol of Inmyeongseol is the type that Bonmyeong(本名) and Ja make a pair because Ja is mostly related to Bonmyeong. Third, unlike the assertion that a type of naming was only Hanjajaeui(漢字字意)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Yin-Yang, Zhouyi, taoist thoughts, appearances and facts, behaviors, and sounds were utilized in it. Fourth, Inmyeongseol of 『Dongmunseun』 are analyzed traditional concepts related to the name such as Hangnyeolja(行列字), Pihwi(避諱), preferred characters, and sibling orders. Fifth, it is not acceptable to be known for naming and explaining of Ja at the coming-of-age ceremony. This is because they did not name of Ja during the coming-of-age ceremony and Inmyeongseol was settled before the coming-of-age ceremony. Sixth, Inmyeongseol"s naming efforts and several renaming have found that Gaeunlon(開運論) by name was culture based on folk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Seventh, because Inmyeongseol focuses on interpreting meanings of name rather than themselves, Gomyeongsaeui(顧名思義) is thought to be the core of Inmyeongseol, not name or na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