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MBTI를 활용한 성장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권윤희,김정남 지역사회간호학회 2002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3 No.2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elf growth program through MBT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 A randomized controlled pre-post test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24 nursing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12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for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junior nursing stud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n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 at K university located in Daegu,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8 to April 1, 2002. The MBTI self growth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one developed by Shim and Kim(1997). The 12 experimental group students received the group self growth program through MBTI for 15hours, while the 12 control group students received no treatment, except a series of tests. The Korean version MBTI test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verifi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by Kim and Sim (1990). Chan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measured using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 developed by Schlein and Guerney (1971), and modified by Lee and Mun (1982). Career identity was measured using the My Vocational Situation developed by Holland, Daiger and Power (1980), and revised by Kim (1997).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 10.0 program, through which the 2 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examined. Results : 1)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the self growth program through MBTI will obtain a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5.295, p=.031, Interaction; p=.000). 2)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the self growth program through MBTI will obtain a higher career identity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28.575, p=.000, Interaction; p=.000).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dy planned self growth program through MBTI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 조선 여성이 누린 삶, 內的 自我境界의 體現 - 혜원의 「傳神帖」으로 보다

        권윤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2

        인간의 자아경계는 개인마다 지향하는 바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이를 체현하는 방법도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이를 추구하며 사는 것은 누리는 삶을 영위한다고 여긴다. 곧 긍정을 지향하고, 또한 자기가 원하는 추구하는 삶이기 때문이다. 삶을 긍정하는 자세는 21세기의 시대정신이다. 내적 자아경계의 체현은 곧 긍정의 지향에 따른 결과이며, 이는 결국 행복으로 나아가게 하여준다. 자아경계의 체현은 보람 있는 삶을 도모함으로써 가능하다. 시대를 앞서간다는 것은 이와 같은 기존의 통념에서 벗어나야 가능하다 특히 이는 우리 옛 선인들이 활동하였던 조선시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시기는 특히 성리학적인 사상체계 속에서 문인사대부가 중심이었던 시기였다. 이 시기는 사회생활이 여러 가지 제약이 있음은 역사를 통하여 알 수 있다. 특히 여성의 입장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혜원 신윤복(?~?, 이하 ‘혜원’)의 「전신첩」에는 우리 선인들이 누렸던 여러 풍류의 모습이 담겨있다. 여기에는 풍류의 현장에 진출하여 도모했던 삶이 다양하게 드러나 있다. 이는 곧 누리는 삶이다. 즉, 노동이 아니라 예술이었으며, 피동이 아니라 갈고닦은 재능을 바탕으로 한 능동적인 사회참여였기 때문이다. 이는 시대에 앞서 삶의 현장에 진출한 모습이다. 곧 시대에 앞서가며 원하는 삶을 도모하였던 조선 여성의 자아 체현의 모습이다. 이를 통하여 자신의 내적인 자아경계를 체현하였다.

      • KCI등재

        운임(雲林) 예찬(倪瓚)의 사상(思想)과 그의 문인화(文人畵) 경계(境界)

        권윤희,Kwon, Yun He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4

        예찬은 중국 원말 사대가의 한 사람이다. 그는 이민족의 지배를 받은 시대적인 환경하(環境下)에서 자신의 독특헌 예술세계룰 구축하였다. 그의 화론인 흉중일기(胸中逸氣)는 동양 전통사상인 유(儒), 불(佛), 선의(禪) 영향으로 이루어진 정신적인 산물이다. 일기사상(逸氣思想)은 도가적(道家的)인 청담(淸淡)이나 허무(虛無), 무위사상(無爲思想)의 영향으로 문인(文人) 사대부(士大夫) 사이에 일어난 자연에 대한 새로운 자각이다. 이는 세속을 초월하여 일어났으며 남종 문인화(文人畵)의 이론적인 토대가 되었다. 예찬(倪瓚)의 일필(逸筆)은 흉중(胸中)의 일기(逸氣)를 그리는 방법이다. 이는 그가 오랫동안 노력하고 실천한 가운데 얻어진 문인화 경계이다. 예찬(倪瓚)은 생활의 체험 속에서 깨달은 선의(禪) 오경(悟境)으로 시서일체(詩書一體), 시선일치(詩禪一致)의 높은 경지를 실현하였다. 그의 예술정신은 흉중일기로 대변되는 탈속원진(脫俗遠塵), 일소부주의 고답(高踏), 시서일체(詩書一體)의 높은 경지를 표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는 원말(元末) 명초(明初)의 화단에 독창적인 문인화(文人畵) 세계를 구축하였다. Ye-chan(倪瓚) is one of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Yuan. He built his own unique art world under the rule of the times under the rule of immigrahts. His theory of painting, i-ch'i(逸氣) in the heart, is a spiritual product made up of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oriental thoughts such as Confucian scholar(儒), Buddhism(佛), and Zen Buddhism(禪). The i-ch'i is a new awareness of nature that has arisen between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under the influence of freshness(淸淡), emptiness(虛無), non-action(無爲). This is beyond the mundane world and became the theoretical basis for literati painting. The i-pi(逸筆) of Ye-chan is a method of drawing the i-ch'i in the heart. This is the boundary of his literati painting obtained through his long efforts and practice. Ye-chan realized the high ground of unity of poem and calligraphy(詩書一體) and unity of poem and Zen(詩禪一致), which he realized in his daily life.His artistic spirit expressed the high level of staying away from being clean(脫俗遠塵), doing not stay in one place(一所不住), and unity of poem and calligraphy(詩書一体). Through this, he built a unique world of literati painting in the Art World of the late Yuan and early Ming dynasty.

      • KCI등재

        21세기, 이 時代人이 짓는 한시의 미학적 가치- 溪山 權丞根 漢詩文學의 審美境界-

        권윤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3

        According to science technology development, information society has progressed rapidly in the 21st century. Our consciousness and tradition have become entangled in the tide of Westernization. Therefore,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was neglected, and Chinese poetry literature was naturally neglected. This led to the abundance of material civilization, however, from the mental aspects, the daily life of modern people became insecure. There is a poet who has lived a lonely life of creation of Chinese poetry in this era. He is a Geasan Kwon Seung Geun(1940~) who writes only poem while being friends with nature. His Chinese poems were revealed through life experiences in nature, which is inspiring sympathy. The origin of his theme is nature. The poetry obtained from nature is rustic simple and pure. Therefore His poems have the style and taste of nature. The Chinese poetry literature of Geasan has been embodied the elements of self-interest, self-satisfaction, self-contentment and living in free at his literatue. On its basis, his Chinese literature has aesthetic boundary of remaining aloofness(自然而然的 超然)·rambling talk, living peacfully and play around with leisure·(閒遠物遊的 閑淡)·deviation rhyme of vividly and beautifully(生趣淸遠的 逸韻) The aesthetic boundary of Chinese poetry of Geasan can be seen as having a depth. This is the aesthetic boundary of Chinese poetry written by this generation in the 21st century. 21세기는 과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정보화 사회가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므로 우리의 의식과 전통은 서구화의 조류에 휩싸이게 되었다. 따라서 한문이나 한자의 교육 등도 경시되어 자연스럽게 한시문학도 경시되거나 소외되게 되었다. 이는 물질문명의 풍요를 가져오게 되었으나 정신적인 면에서는 항시 쫓김이나 불안정함이 상존하게 하였다. 이러한 시대 조류 속에서 漢詩 창작의 외길 인생을 걸어 온 시인이 있다. 그는 향리에서 자연과 벗하면서 독특하게 한시만을 짓는 溪山 權丞根(1940∼, 이하 ‘계산’)이다. 그의 한시는 자연에서 삶의 체험을 통하여 드러났기 때문에 공감을 일으켜주고 있다. 그의 시상의 발원은 자연이며, 자연에서 얻은 詩情은 곧, 순박과 순수이다. 그러므로 그의 시는 자연스러운 멋과 맛이 담기게 되었다. 계산의 한시문학은 自娛의 미학요소·自樂의 미학요소·自滿의 미학요소·自適의 미학요소가 그의 문학에 체현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 그의 한시문학은 自然而然的 超然·閒遠物遊的 閑淡·生趣淸遠的 逸韻의 심미경계를 띄고 있다. 이와 같이 계산 한시의 심미경계는 심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21세기, 이 시대인이 짓는 한시의 심미경계이다.

      • KCI등재

        儒家 文人藝術의 寫意的 發顯處 : 文人畵

        권윤희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4

        A painting means a combination of color and line. A literati painting is a genre of a painting but on condition that the one who draws the literati painting must have learning and good character. A poem, handwriting and a drawing harmonized in a literati painting that has spirituality. And it is a kind of hobby enjoying with chinese ink. And it is characterized that it is moderate in using chinese ink and put much emphasis on meaning drawing. So confucian literati art pursues harmony between art and morals, art and philosophy. Pursuing harmony between art and morals is to stay aesthetic delight status through cultivating one’s moral character and establishing one’s personality. So confucian literati art could exist together. And pursuing harmony between art and philosophy means intention for metaphysical truth based on the proper way. The proper way means constant justice or natural principal. So it can be said that confucian literati art intends metaphysical virtue. Confucian literati art is characterized by meaning-drawing and it is well expressed in the literati paintings. This is the special property of a literati painting.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a literati painting comes into existence by using a metaphor. A confucian literati express himself through personified natural things such as Japanese apricot flower, orchid, chrysanthemum, bamboo and fine tree. Through personifying natural things they wants to imitate the natural things virtue. By using a metaphor being material for the literati paintings shows meaning of confucian literati. second, a literati painting expresses mostly through putting emphasis on spirit. Because confucian literati ́́s system of thinking based on putting emphasis on principle has characterized by pursuing aesthetic metaphysics and is expressed by meaning drawing. third, poem, handwriting, and painting are put together in good harmony. Usually confucian art are expressed by poem, handwriting, and painting, but especially a literati painting can show its beauty by perfect harmony with poem, handwriting, and painting. So a literati painting is characterized by using a metaphor, putting emphasis on spirit, harmony in poem, handwriting, and painting. So it can be said that confucian literati art is expressed mostly in a literati painting. 文人은 학문에 뜻을 두며 이를 평생 궁구하는 사람이다. 특히 유가의 문인은 학문을 닦아 인격을 발양하고 성인을 이상으로 삼고 군자와 선비가 되는 것을 지향한다. 그들은 자신의 수양과 학문을 통하여 인간의 본성을 바탕으로 한 유가의 문인예술을 창조하였다. 유가 문인예술은 예술과 도덕의 합일·예술과 철학의 조화를 추구함이 특징이다. 예술과 도덕의 합일 추구는 덕성을 함양하고 인격의 완성을 통하여 최고의 심미적 열락경계에 머무르기 위한 것이며, 예술과 철학의 조화를 추구함은 常理에 바탕을 두고 형이상의 진리를 지향하기 위함이다. 이는 유가의 문인예술이 形而上의 가치를 지향하는 근거이다. 그러므로 유가는 도덕과 철학이 항시 예술과 함께 생활 중에 이루어짐으로서 삶의 이상향을 추구한다. 따라서 유가 문인예술의 특징은 예술과 도덕·예술과 철학이 대대와 상보로 합일과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가 문인의 寓意는 比德性‧重神似性‧詩書畵 調和의 방법으로 나타난다. 比德性은 군자가 됨을 지향함으로 자연물에 덕성을 부여하여 이를 의식적으로 닮고자 하는 바람이다. 또한 중신사성은 모사가 아닌 정신성을 보여주는 사의의 특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술장르가 문인화이다. 문인화는 대부분 유가 문인의 인품과 학문을 전제로 하며 餘技에 의한 墨戱와 惜墨으로 인한 神似의 기법으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러한 이유로 문인화는 유가 문인의 寓意를 드러내는 대표적인 예술장르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 ADHD 아동을 위한 Kiphard 심리운동 6단계 모델이 주의산만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권윤희,이숙정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2 발도르프교육연구 Vol.4 No.1

        이 연구에서는 주의산만 유아에게 키파드의 심리운동 6단계 모델에 의거한 심리운동 놀이를 적용하여 대상 유아의 행동문제에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K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명을 대상으로 선정한 단일대상연구로써 유아의 행동을 관찰 한 후 대상유아의 실태와 현행수준을 파악하였다. 연구 설계는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예비관찰을 통해 대상유아의 행동문제 유형을 자리이탈 행동, 과제이탈 행동, 타인방해 행동으로 규정하였고, 중재는 행동문제 유형별로 각각 9~18회기의 심리운동 놀 이와 관찰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운동 놀이가 주의산만 유아의 행동문제 감소와 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유아기에 있는 아동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활동으로써, 교육현장의 다른 활동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가 문인예술에 나타난 선비정신의 특질 - 조선조 유가 문인의 문인화를 중심으로 -

        권윤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유가의 문인은 자신의 성정을 수양하고 학문을 바탕으로 한 인본주의를 예술로 승화시켰다. 그들은 지고 와 지선의 삶을 추구하며 예술을 통하여 열락의 경계에서 삶을 향유하였다. 유가 문인의 예술은 주로 문인화를 중 심으로 나타났다. 시서화가 어우러진 문인화는 문인의 인품과 학문을 전제로 한다. 이는 보통 餘技와 墨戱·惜墨으 로 인한 神似의 기법을 바탕으로 한다. 유가 문인예술의 지향은 寫意性의 追求·精神性의 追求·유·도가미학의 혼융 추구에 있다. 이는 유가 문인예술이 존재하는 이유가 학문을 바탕으로 한 그들의 고매한 정신세계에 있었기 때문 이다. 조선조 유가 문인의 선비정신은 우선 절의는 절개와 의리 그리고 충절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의병활동 과 구국을 위한 강학활동, 성정을 자연과 함께 한 풍류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즉, 선비의 節義·忠節·義兵·講學·風 流등이 조선조 선비들의 정신경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이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문인화에 담겨진 화제이다. 여기에 유가 문인의 흉중을 바로 읽어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비정신의 미의식은 풍류·충절·실학· 애민·의리·사랑 등에서 그 미학을 새겨볼 수 있다. 선비정신의 예술적 구현을 위한 예술의 심미체험은 주로 감성지 능에 의한 심미의 체험과 개인의 성향에 따른 심미체험이 있다. 이는 우리의 여러 문인화에서 살펴볼 수 있다. 따 라서 조선조 유가 문인예술에 드러난 선비정신은 정신 지향성이었으며 여유 지향성이었다. 나아가 사의 지향성과 실득 지향성이 있어 선비정신의 특질이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The art of the Confucian literati‘ was mainly centered on literati‘ painting. Literary paintings combined with poem-writing-painting are based on the literary characters and studies. This is usually based on the technique of Shensi(神似) caused by a hobby accomplishment, enjoying the chinese painting and cherishing with chinese painting. The Confucian literati‘ cultivated their own character and sublimated humanism to art based on studying. They sought the life of supremacy and supreme gentleness, and enjoyed life on the boundary of pleasure through art. The aim of the Confucian literati‘ arts lies in the pursuit of expressing the artist's inner world, spirit, and the combination of the Confucian and the Taoism, Because of literati‘s spirit based on learning, the Confucian literati‘ arts still exist. The aesthetic of Sunbi Spirit is mainly in the customs of Sunbi, the loyalty of Sunbi, the Silhak(實學) of Sunbi, and loving of the people of Sunbi. We can find honor and loyalty in the Sunbi spirit of the Confucian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observe the loyal troops, the hard work for the country, and the Pung-ryu with nature. In other words, the Sunbi honor, loyalty, loyal troops, pursuit of study and the Pung-ryu show the spirit of the Confucian literati‘ of Joseon Dynasty. The aesthetic of the Sunbi spirit is in Pung-ryu, loyalty, Silhak, loving of the people etc. The aesthetic of experience of art is mainly bas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 by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inclination. The aesthetic sense actually shows Pung-ryu, loyalty, Silhak and love etc. We can see it in many of our literary paintings. Therefore, the Confucian literati‘ painting in Chosun Dynasty were the intentionality of the mind and the intentionality of the spare. Furthermore, it has directivity of expressing the artist's inner world, directivity of substance, so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nbi spirit are diverse.

      • KCI등재

        朝鮮 後期 湖南地方 兩班家屋의 審美境界 고찰 - 전북 장수의 權熙文 家屋을 中心으로 -

        권윤희,김귀석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우리 가옥은 우리만의 특징과 철학을 담고 있다. 조선 후기의 양반가옥으로 권희문 가옥은 250여년의 기간을 두고 중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 가옥은 누대에 걸친 가옥 주인의 사상과 철학등의 심미이상을 보다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가옥 사랑채의 당호인 嶷汪棲는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嶷·汪’은 자연의 요소 이며, ‘棲’는 더불어 살아감을 상징한다. 이는 自然美學의 境界·人間美學의 境界이다. 自然美學의 境界는 嶷·汪의 美學 으로 隱秀하고 淸麗함이 특징이며, 人間美學의 境界는 棲의 美學으로 凝神과 淸氣함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권희문 가옥의 심미이상은 삶의 이상을 추구하고 지향함에 있다. 朝鮮後期에 湖南地方에 조성된 다른 양반가옥의 심미경계 도 이와 같은 심미 이상을 담고 있음을 유추하여 볼 수 있다. Houses contain our own characteristics and philosophy. As a Yangban hous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ouse of Kwon Hee-moon was constructed over 250 years to the present. Therefore, this house can more objectively examine the aesthetic ideals, such as the thoughts and philosophies of the house owners across the generations. The name of Sarang-Chae is Ui-Wang-Seo(嶷汪棲), it shows thoughts and philosophies symbolically. Ui(嶷)·Wang(汪) mean the elements of nature, and Seo(棲) symbolizes living together, It is aesthetics of Nature, aesthetics of Human boundary. Aesthetics of Nature boundary is aesthetics of Ui(嶷)·Wang (汪), so it is clear and fine. Aesthetics of Human boundary is aesthetics of Seo(棲), so it has meditation and purity. As such, the aesthetic ideal of Kwon Hee-moon's house pursues the ideal of life. Through the aesthetic boundary of the house of Kwon Hee-moon, we can understand the aesthetic boundary of Honam Yang-ban House in the Late Chosu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