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외 임신에 대한 최근 5년간의 임상적 고찰

        천민정(Min Jung Cheon),권용일(Yong Ill Kwon),유영옥(Young Oak Lew),이방현(Bang Hyun Lee),이희중(Hee Joong Lee),김찬주(Chan Joo Kim),권동진(Dong Jin Kwon),이진우(Jin Woo Lee),박태철(Tae Chul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2

        목적 : 최근 증가되는 자궁외임신에 대한 5년간의 고찰로 자궁외임신의 임상 및 역학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자궁외임신의 조기진단과 치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의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에서 수술 후 조직병리학상 자궁외임신으로 확정된 입원기록을 중심으로 임상 및 역학적인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20개의 분만당 1건 이였으며 26-30세에서 가장 많이 호발 되었다(34.4%). 과거력상 복부나 골반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42.1%이였고 난관 불임술은 14.4%이였으며 골반염이 있었던 경우가 8.3%이였다. 헤모글로빈은 10gm/dl이상이 79.2%이였고 8gm/dl이하가 4.5%이였으며 입원 당시 수축기 혈압은 100mmHg이상이 79%이었다. 마지막 생리 기간과 초기증상이 나오기까지의 기간은 6-8주가 56%로 가장 많았고 임상적 증거는 마지막 생리 후 4∼8주가 지나서 나타나는 경우가 78.8%이였는데 증상 중에서 무월경 91.7% 하복통 88.3% 질 출혈이 47.3%이였다. 난관 내에 이소성 임신이 97.1%, 난소임신 1.1%, 자궁경부 임신 0.7%, 복강내 임신에 0.9% 그리고 1례는 자궁내벽임신이었다. 복강내 출혈은 100-999ml인 경우가 59.5%이였고 1000ml이상은 37.5%이였으며 100ml 이하는 3.0%이였다. 448례 중에 개복술 229례(51.0%), 복강경 수술 219례(49.0%)이었고, 평균 재원일수는 복강경 수술 3.1일, 개복술은 5일이였다. 수술방법은 난관 절제가 87.5%, 난소 난관 절제 4.9%, 자궁각절제 6.3%, 난소 쐐기 절제술이 0.7%이었고 난소 절제술이 0.2%이었다. 복강경 수술시 개복술에 비해 입원일수가 약 2일 정도 감소되었고 합병증은 개복수술의 경우 1.7% 복강경 수술의 경우 1%정도로 측정되었다. 결론 : 자궁외임신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대한 관리와 인식이 필요하며다양한 진단방법을 통한 조기진단과 함께 보존적, 약물적, 수술적 치료방법을 시행함으로써 모체의 이환율 및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향후 임신가능성의 예후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is increasing recently. To establish the quick and accurate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cases during recent 5 years Methods : Study datas was acquired from the 448 cases of the ectopic pregnancies who were managed and confirmed histopathologically at the our hospital from Jan. 1 1995 to Dec. 31 1999. Results :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1 in 20 deliveries.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26 - 30 years of age(34.4%). A previous history of abdominal or pelvic surgery was in 42.1% and tubal sterilization was in 14.1%, pelvic inflammatory disease was in 8.3%. Hemoglobin value over 10.0 gm/㎗ was in 79.2% and below 8.0 gm/㎗ in 4.5%. Initial systolic blood pressure risen above 100mmHg was in 79.0%. The most frequent intervals between last menstrual period and the onset of symptom was 6∼8 weeks in 56.0%. The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appeared in 78.8% from the last menstrual period to the next 4∼8 weeks. In clinical symptoms, amenorrhea was encountered in 91.7%, lower abdominal pain in 88.3% and vaginal spotting in 47.3%. Ectopic gestation was implanted on the fallopian tube in 97.1%, the ovary in 1.1%, the cervix in 0.7%, the intraabdominal in 0.9% and 1 case was intramural pregnancy. Total amount of intraperitoneal hemorrhage between 100-999ml was in 59.5%, above 1,000ml in 37.5% and less than 100 ml in 3.0%. Of total 448 cases, laparotomy was done in 229 cases(51.0%) and pelvisopic surgery in 219 cases(49.0%). The mean hospital stay was 3.1 days in pelviscopy procedure and 5.0 days in laparotomy. The operative precedures were salpingectomy in 87.5%, salpingo-oophorectomy in 4.9%, cornual resection in 6.3%, ovarian wedge resection in 0.7%, and oophorectomy in 0.2%. There was no dead case in all ectopic pregnancy. Average admission period after laparoscopy was 3.1 day and after laparotomy was 5.0 day Conclusion : The cognizing of increasing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early diagnosis and early treatment is presumed to decrease mortality and increase fertility. The successful treatment and decision is a challenge to the clinician who must consider the patient's needs with appropriate tactfulness.

      • KCI등재

        자궁경부의 정상 및 종양 조직에서 EGF, TGF-α와 EGFR의 발현

        이방현(Bang Hyun Lee),권동진(Dong Jin Kwon),김찬주(Chan Joo Kim),권용일(Yong Ill Kwon),박태철(Tae Chul Park),김진홍(Jin Hong Kim),이진우(Jin Woo Lee),김도강(Do Kang Kim),남궁성은(Sung Eun Namkoo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2

        본 저자들은 자궁경부 상피 세포의 악성화 과정을 관찰하기 위하여 정상 자궁경부, 자궁경부상피내 종양과 자궁경부암 조직의 각 5예, 18예와 7예에서 면역조직염색법으로 EGF, TGF-α와 EGFR의 발현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EGF 발현 양상은 정상 조직 및 CIN의 경우 기저부에서 약한 발현이 관찰되었으며 자궁경부암의 경우는 국소적인 부위에서 중등도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TGF-α 발현 양상은 정상 조직 및 CIN I의 경우 발현이 약했으며 CIN II와 III의 경우는 경도 또는 중등도의 발현이 기저부와 간질부 하부에서 관찰되었고 자궁경부암의 경우는 국소적인 부위에서 경도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EGFR 발현 양상은 정상 조직의 경우는 중등도의 발현이 관찰되었으나 CIN의 경우 질병이 진행함에 따라 발현의 강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자궁경부암의 경우 대부분의 암세포에서 강한 발현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EGF, TGF-α와 EGFR는 자궁경부 상피 세포의 증식과 악성화 과정에 있어서 일부 관여하리라 생각되나 향후 이에 관한 실험이 좀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seeks to define the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EGF)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α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EGFR), and the relationship to the tumor progression of human cervical epithelial neoplasia. Methods :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EGF, TGF-α and EGFR immunohistochemically in normal cervix,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ms and cervical carcinomas, we used monoclonal antibodies to EGF, TGF-α and EGFR. Results :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using anti-EGF, anti-TGF-α and anti-EGFR antibodies showed weak or moderate stainings in all cases. Normal and CIN cases showed predominantly basal and parabasal expression of EGF, TGF-α and EGFR, and its expression decreased as the cells became increasingly differentiated toward the surface of the epithelium. In the cervical carcinoma EGF and TGF-α expressed weakly to moderately focally, and EGFR expressed intensely in all malignant cell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F, TGF-α and EGFR may involved in cellular proliferation of cervical squamous epithelium and have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gression of cervical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