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프리카의 발전국가모델에 대한 연구: 동아시아 국가와의 비교

        권영승 한국세계지역학회 2022 世界地域硏究論叢 Vol.40 No.4

        This study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achieving high economic growth in Africa and the East Asian model, and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 states in Africa through comparison. Today, African states share many similarities with the developmental states of East Asia in the past, and express their willingness to follow the development experience of East Asia. However, in the past, developmental states in East Asia did not follow the Western and Japanese models as they were, but made successful developments by applying th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Developmentalism contributed to growth in East Asia, but inequality between classes remains a serious problem to this day. Considering the diverse ethnic composition and long colonial experiences of African states, the follow-up of the East Asian model is likely to lead to other problems, such as increased corruption. African states need to consider the limitations and side effects that have emerged in East Asian states through flexible "application" rather than "reconstruction" existing models. 본 연구는 아프리카 지역에서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하는 국가들이 동아시아 모델과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가지는지 분석하고, 상호 비교를 통하여 아프리카 발전국가의 특성 및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오늘날 아프리카의 일부 국가들은 과거 동아시아의 발전국가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며, 동아시아의 발전 경험을 뒤따르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하지만 과거 동아시아의 발전국가들은 서구와 일본이라는 모델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각 국가의 특징에 맞게 적용함으로써 성공적인 발전을 이루어 내었다. 또한 동아시아에서 발전주의는 성장에 기여했지만, 계층 간 불평등은 오늘날까지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다양한 종족구성과 오랜 식민지 경험을 고려해 볼 때, 동아시아 모델의 답습은 부패 등 다른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상존한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기존의 모델을 ‘재현’하는 것이 아닌, 유연한 ‘응용’을 통하여 동아시아 국가들에게서 나타났던 한계점과 부작용을 숙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아프리카 SIDS의 관광산업 회복과 시사점

        권영승,김성수 한국아프리카학회 2023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68 No.-

        COVID-19 has been a major disaster for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SIDS) around the world. Most SIDS are heavily dependent on tourism for their economies, and are characterized by small domestic markets and low levels of export diversification. African SIDS have demonstrated efforts to address the crisis at the national level, and some are on the road to recovery faster than expected.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proposals for tourism recovery in SIDS and analyzes the adequacy and limitations of the policies implemented by SIDS in Africa. In particular, Mauritius, a country that has successfully recovered its tourism industry,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to explore the pathways for SIDS in Africa to move towards tourism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to external shocks. The COVID-19 pandemic reminds African SIDS that tourism recovery must be accompanied by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코로나19는 전 세계의 SIDS(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군소도서개발도상국)에게 커다란 재앙으로 다가왔다. 대부분의 SIDS는 국가 경제가 관광산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내수시장이 협소하고 수출의 다각화 수준이 낮은 특징을 보여 왔다. 아프리카의 SIDS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위기를 타개하려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일부는 예상보다 빠르게 재건의 길로 나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SIDS의 관광산업 회복을 위해 국제사회가 제시하는 방안들을 살펴보고, 아프리카의 SIDS가 시행하고 있는 정책의 적절성과 그 한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관광산업 회복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있는 모리셔스를 사례 국가로 선정하여, 아프리카의 SIDS가 관광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복원력 향상으로 나아가기 위한 경로를 탐색하였다. 코로나19의 대유행은 아프리카 SIDS에 관광산업의 회복과 함께 지속 가능한 발전계획이 동반되어야 함을 상기시킨다.

      • KCI등재

        부룬디의 저발전 원인에 대한 연구

        권영승 한국사회역사학회 2019 담론 201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부룬디가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저발전에 머무르게 된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부룬디는 2000년 ‘아루샤 평화협정(APRA: Arusha Peace and Reconciliation Agreement)’으로 인한 권력 분점(Power-Sharing)의 정치제도를 도입하였다. 하지만 현재의 부룬디는 국제사회의 기대와는 달리 경제발전이 도태되고 정치사회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지역적인 특수성 및 역사적 환경에 주목하였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민주화의 이행 이후에도 여전히 비공식적 정치제도인 신가산제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국가들은 지대추구의 ‘중앙 집중화(Centralization)’ 정도와 ‘계획기간(Time Horizon)’의 차이에 따라 네 가지 하위체제로 유형화될 수 있으며, 각 유형에 따라 경제발전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대추구행위의 차이에 따라 부룬디를 분류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부룬디는 국제사회의 합의에 따른 권력 분점으로 내전이 평화롭게 종결되고 신정부가 출범했지만, 오히려 정당 및 종족의 분절화로 사회 갈등이 심화되고 경제계획은 안정적으로 시행되지 못하였다. 결국 부룬디는 지대추구의 분권화와 일관되지 못한 시행이 이루어지는 ‘경쟁적 후견주의(Competitive Clientelism)’의 형태를 띠고 저발전에 머무르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underdevelopment in Burundi. In 2000, Burundi embraced power sharing in its governance upon Arusha Peace and Reconciliation Agreement(APRA). Contrary to expectations, however, Burundi is still going through political chaos, suffering from economic underdevelopment. This study focuses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Sub-Saharan Africa. In Sub-Saharan Africa, Neopatrimonialism often prevails as an informal political system even after democratization. “Centralization” and “Time horizon” of rent-seeking categorize these African countries into four type of sub-systems. It was observed that each sub-system leads to a different level of economic growth. Thus, Burundi were categorized into a type of Neopatrimonialism based on their rent-seeking behavior. In Burundi, “Power-Sharing” suggested by international society ended its civil war in peace, and it was followed by the birth of its new government. However, the new government failed to execute stable economic plans. Burundi suffered from segmenta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tribal conflicts. Burundi is categorized as “Competitive Clientelism”, characterized by decentralization in rent-seeking behavior and underdevelopment.

      • KCI등재

        글로벌·다문화 사회의 통일의식: N세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권영승,이수정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nification consciousness of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so-called the ‘N-generation’ in the global/ multicultural age. By employing ‘focus group interview’ as a research method, it examines these students’ unification consciousness in context, and the process in which unification discourses are formed. These are difficult to find out through existing researches based on survey. Discourses of ‘unification’ as a ‘sacred national goal’ is losing its hegemony in South Korea especially among young generation.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ew’ unification consciousness among them. It is worthwhile to analyze them especially because they will develop into the major unification consciousness that South Koreans will share hereafter. The following are findings of this research. ‘N generation’ university students of South Korea consider ‘unification’ more in terms of practical issues, not in terms of a ‘historical right’ or ‘national wish.’ Rather, they tend to discuss ‘unification’ with the issues of ‘social conflict,’ ‘economic gains and losses.’ Unification is mostly considered in terms of the idea of profit that brings advantages to the whole Korean peninsula. The students are also very negative about the idea of ‘rapid unification,’ worrying about potential social disorder and economic damages. This signifies increasing repulsion and indifference about ‘real unification’ among this gen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 현재 ‘N세대’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통일의식을 질적 연구방법론의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기존의 여론조사로는 파악하기 힘든 내면 의식 및 쟁 점, 담론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흔히 일반적인 여론조사에서 대다수의 국민들이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하는 것 은 통일이라는 어휘가 가지는 일종의 당위성이 내면 의식 속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통일의 당위성이 청년 세대들을 중심으로 차차 약화되고 있는 상황과 더불어, 이러한 현상을 촉진하는 원인으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글로벌· 다문 화 현상에 주목하였다. 과거 세대보다 자신의 의식에 솔직하고 기존의 통일 교육으로부터 자유로우며, 북한을 단지 한반도 주변국 중 하나로 인식하는 경향성이 있는 N세대의 등장은 분단 이후 지속되어 온 당위성에 의한 통일의식에 균열을 일으키 고 있다. 기존의 여론조사와 같이 통계로 결과를 표출하는 양적 연구가 아닌, 개인의 의식을 보다 심도 있게 다루는 질적 연구는 청년 세대들이 가지고 있는 보다 솔직한 통일의식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서울시 내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N세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론의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지금의 대학생들은 이미 상당 부분 기존의 통일 당위성에서 벗어나 있었으며, 민족적 감정이 아닌 통일 이후에 발생할 사회적 갈등과 경제적 득실, 그리고 한반도의 발전 가능성 등 현실적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통일의 필요성 여부를 사고하고 있었다. 즉, 이제 통일은 점차적으로 한반도 전체에 이득을 가져다주는 실리의 관념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더 이상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 아닌, ‘우리의 소원은 통일로 인한 한반도의 발전’이라는 담론으로 새로이 전환되는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또한 N세대 대학생들은 통일의 실현에 대하여서는 상당한 거부감을 동반한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거부감은 주로 통일이 조속히 이루어질 경우에 닥쳐올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손해에 대한 우려와 맞닿아 있으며, 결국 이러한 우려가 보다 자기주장에 솔직한 N세대들에게서 강하게 표출되면서 실질적인 통일에 대한 거부감 및 무관심이 증대되는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 KCI등재

        ‘발전형 가산제’로의 이행에 대한 연구: 르완다 사례 분석

        권영승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9 국제지역연구 Vol.28 No.3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Developmental Patrimonialism,’ a system in which authoritarianism and economic development coexist, and analyz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se new national forms. Rwanda succeeded in stabilizing its one-party system and consolidating its society after the civil war. The new Rwandan government’s state management and development programs have both contributed to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stabilization of the regime. In Rwanda, the hierarchical power structure from the center does not differ much from the features that have emerged in existing Neopatrimonialism. However, Rwanda had political elites who shared the perception that the rent-seeking was fully absorbed into the center and that long-term development plans could contribute to maintaining the regime. These factors were the fundamental cause of Rwanda’s transition to Developmental Patrimonialism. However, Developmental Patrimonialism has inherent instability due to social inequalities, poverty, and the repressive social order. This is based on the fact that existing authoritarian traits remain strong politically. It should be reminded again that this strategy has brought many poverty and side effects together in the past. 본 연구는 권위주의와 경제발전이 공존하는 체제인 ‘발전형 가산제(Developmental Patrimoni- alism)’의 특성 및 이행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새로운 국가 형태가 갖는 의의 및 한계를 분석하였 다. 대표적인 발전형 가산제 국가인 르완다는 내전 이후 빠르게 일당체제의 안정화와 사회통합에 성 공하였다. 르완다 신정부의 수직적인 국가 운영과 개발 프로그램 등은 경제발전과 정권의 안정화에 모두 기여하였다. 르완다에서 중앙으로부터의 위계적인 권력 구조는 기존 신가산제 국가들에서 나 타났던 특징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르완다는 국가가 주도하는 지대추구가 중앙으로 온전히 흡수되었고, 장기적인 발전계획이 체제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는 정치엘리 트들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조건들은 르완다가 발전형 가산제로 나아갈 수 있었던 근본적 원인이 되었다. 하지만 발전형 가산제는 그 이면에 감추어진 사회적 불평등 및 빈곤의 잔존, 억압적인 사회질서 등으로 인하여 불안정성을 내재하고 있다. 이는 정치적으로 기존의 권위주의적 특성이 여전히 강하 게 유지되고 있는 것에 근거한다. 이러한 발전 전략은 과거에도 많은 빈곤과 부작용을 함께 가져왔 다는 점을 다시금 상기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