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근로자 참여와 비정규직 고용의 관련성에 관한 실증 연구

        권순식(Soon-sik Kwon) 한국노동연구원 2006 노동정책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2003년도에 수집된 한국노동연구원 사업체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근로자 참여(Employee Involvement : EI)와 비정규직 고용의 관련성에 대한 실증적 탐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근로자 참여(EI)를 사업장 근로자 참여 관행 수와 의사결정의 자율성으로, 비정규직 고용을 조직의 비정규직 비율로 구성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한 결과, 근로자 참여(EI)관행 채택수와 비정규직 비율은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나 의사결정의 자율성과 비정규직 비율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대체로 근로자 참여(EI)와 비정규직 고용, 두 변수의 관계가 대체적 관계라기보다는 보완적 관계임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근로자 참여(EI)가 이에 참여하는 정규직의 고용을 보장해 주는지에 대해 검증한 결과, 근로자 참여(EI) 관행 수는 정규직 해고와 부(-)의 관계로 나타났고, 의사결정의 자율성과 정규직 해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근로자 참여(EI)가 정규직의 고용보장에 부분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비정규직이 조직내 정규직 근로자들의 고용보장을 위한 안전판이 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비정규직비율과 정규직 해고는 예상대로 부(-)의 관계로 나타났지만 유의한 수준으로 지지되지는 않았다. 이 결과들에 기초하여 근로자 참여(EI)와 비정규직 고용이 대체관계가 아닌 보완관계로 나온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참여 관행의 도입과 실행에 대한 상황적 현실을 먼저 정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involvement and contingent work based on the survey data executed by Korea Labour Institute in 2003. Employee Involvement was proxied by the adoption number of EI practices and discretion in decision making, contingent work was proxied by the ratio of contingent worker in the workplace. For the empirical analysis, OLS, tobit, logistic regression were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doption number of EI Practice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ratio of contingent work in the workplace, but discretion in decision making and the ratio of contingent worker in workplace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adoption number of EI Practices was negatively related with lay off of regular workers, but discretion in decision making was negative but not significant. Third, the ratio of contingent worker in the workplace and lay off of regular worker was negatively related as expected, but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bove all, wh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involvement and contingent work resulted in complements rather than substitutes was discussed with some limitations.

      • KCI등재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향

        권순식(Soon Sik Kwon) 한국노동연구원 2009 노동정책연구 Vol.9 No.4

        특수형태근로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향은 이들 직종의 직업적전문성과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주요 근거가 된다. 본 연구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레미콘운전기사, 보험설계사, 학습지교사, 골프장 경기보조원)들이 응답한 자료를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성향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이론적?D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려고 시도했다. 먼저 기존 직무스트레스의 연구 흐름을 정리하고 스트레스의 직무요구-직무자원이론과 활성화(Activation)이론에 기초하여 스트레스와 이직의향과의 관계 및 조절작용을 포함한 연구 가설들을 설정하고, 이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그 결과 스트레스가 이직성향에 미치는 주 효과는 예상한 대로 정(+)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 서비스업종의 전문직 근로자들에 대한 실증연구 흐름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스트레스와 이직의향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노조가입 여부와 직무종사의 자발성을 포함했는데 이중 노조가입 유무만이 유의한 조절(완화)작용을 함을 발견했다. 이에 근거해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노조의 기능을 기존의 제도적 관점에서 탈피해 활성화이론의 관점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직업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 등을 논의했다.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re regarded as the yardstick of professionality and job security of independent contractors. This paper summarized the recent trend of job stress literature in the interdisciplinary field, and tri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independent contractors like concrete mixer driver, insurance planner, private teacher, golf game helper in korea. Subsequently,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union membership and voluntariness toward their own job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 as expected.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union membership was significantly negative, it means union membership alleviat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voluntariness toward job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empirical results, the applicability of activation theory toward union function of independent contractors was asserted. Last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비정규직 고용관리의 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권순식(Soon Sik Kwon) 한국노동연구원 2013 노동정책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비정규직 고용관리를 고용다양성, 비정규직 비율, 기존 정규직 인사관리와의 통합이란 관점으로 접근해 그 영향 요인에 대해 분석했다. 분석 자료는 2009년 기준으로 제시된 한국노동연구원 사업체 자료이다. 비정규직 인사관리의 동기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으로 상호호혜성, 옵션이론, 학습이론, 그룹관계이론 등 네 가지를 구성하고 이에 기초해 비정규직 고용관리(고용형태 다양성, 비정규직 비율, 인사관리의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설을 설정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호호혜성 관점을 반영하는 가설들과 그룹관계이론을 반영하는 가설들은 모두 지지되었고 옵션 관점과 학습이론적 관점을 반영하는 가설 등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 참여관행건수가 많은 조직은 직접고용 비정규직에게 정규직에게 부여하는 인사관리 관행과 복리 혜택 등을 부여하는 경향이 높으며 수량적 유연성 확보를 위해 간접고용 비정규직을 많이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주력제품의 경쟁정도가 높은 조직은 비정규직 인력을 많이 고용하지만 주력제품의 시장수요가 감소할 때에 비정규직 비율을 줄이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시장선도전략(Prospector)을 취하는 조직은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해 직접고용 비정규직에 대한 인사 관행과 복리의 제공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직 내 직접고용 비정규직이 증가할수록 직접고용 비정규직에 대한 인사관행과 복리의 제공 정도가 높으며 조직 내 직접고용 정규직과 유사한 직무를 하는 정규직이 있는 조직이 그렇지 않은 조직보다 직접고용 비정규직에 대한 인사 관행과 복리의 제공 정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이 결과에 기초해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 방향 등을 제시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of personnel management of contingent work. The data set put into analysis is KLI Workplace Panel publicized in 2012. Theolog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hypotheses were made based on 4 kinds of theoretical perspectives such as reciprocity, real option, learning theory, group relation theory. The contents of management of contingent work consisted of 3 dimensions(employment variety, ratio of contingent work, integration contingent work to regular work system). The results fully supported the reciprocity and group relation hypotheses, but partially supported real option and learning hypothes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lic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인적자원관리 통합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권순식(Soon-Sik Kwo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비정규직 인적자원관리를 기존 정규직 인적자원관리와의 통합이란 관점으로 접근해 그 영향 요인에 대해 분석했다. 상호호혜성, 그룹관계이론 등에 기초해 비정규직 인적자원관리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설을 설정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2007년 사업체 자료를 분석자료로 이용했으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호호혜성 관점을 반영하는 가설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으며 그룹관계이론의 관점을 반영하는 가설들은 모두 지지되었다. 가설 검증결과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 참여나 팀 위주의 작업 수준이 높은 조직은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해 정규직과 직접고용 비정규직 인적자원관리 통합수준이 높았다. 둘째 비정규직의 비율이 높은 조직이 그렇지 않은 조직보다 비정규직 인적자원관리수준이 높았다. 셋째 비정규직이 수행하는 직무와 유사한 직무를 수행하는 정규직이 있는 조직이 그렇지 않은 조직보다 비정규직인적자원관리 수준이 높았다. 본 분석 결과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혼재되어 팀 작업을 진행하거나, 혹은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서로 직무 내(외) 간 의존성이 증가하는 경우에 비정규직의 정규직인적자원관리체제로의 통합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유사한 직무를 수행하는 등 두 그룹이 상호 비교될 수 있는 상황적 가능성이 높을수록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인적자원관리의 통합수준이 높아짐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personnel management of contingent work. The hypotheses were made based on 2 kinds of theoretical perspectives such as reciprocity and group relation theory.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 with high level of teamwork oriented policy had higher integration of direct-hired contingent work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regular workers than that with low level of teamwork oriented policy. Second, the organization with high level of employee involvement had higher integration of direct-hired contingent work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regular workers than low level of employee involvement. Third, the organization with high level of contingent employment ratio to all employees had higher integration of contingent work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regular workers than that with low level of contingent employment ratio to all employees. Fourth, the organization with regular workers who do the similar jobs to contingent workers had higher integration of contingent work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regular workers than that with regular workers who do the different jobs to contingent workers. These results imply that as team becomes popular and interdependence between regular work and contingent work increases, the needs of integration of contingent work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regular workers increase.

      • KCI등재

        근로자의 공정성 지각과 조직시민행위 : 고용형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권순식(SoonSik Kwon),김상진(SangJin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05 인사조직연구 Vol.13 No.2

        This study, conducted in Korea, where there were ongoing job shortages, tried to analyze the impact of work status on worker's perceived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wo types of justice like distributive justice/procedur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which was known as extra-role behavior. The data were obtained from employees who worked for bank, library, hotel, logistics, etc., at last 216 data were put into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expected, the difference of perceived distributive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cording to work status was significant, but procedural justice was not. Second, as expec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CB was much strong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OCB. Third. as expecte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 stat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OCB was positively significa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 status was not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CB. These results means that the classical exchange theory of employer-employee relationships are useful. finally, the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고용형태(0=비정규직, 1=정규직)가 근로자의 공정성 지각과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공정성지각과 조직시민행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등을 탐색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은행과 대학도서관, 호텔, 유통업 등에 종사하는 근로자들로부터 얻은 약 216부(정규직 132부, 비정규직 84부)의 설문 데이터를 통계분석에 투입하여 분석을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고용형태에 따라 근로자의 분배공정성 지각과 조직시민행위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은 분배공정성지각과 조직시민행위참여도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절차공정성지각 정도에서는 고용형태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분배공정성과 조직시민행위의 관련 정도보다 절차공정성과 조직시민행위의 관련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기존 연구들의 주장과 비교적 일치하는 것이다. 셋째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는 예상대로 분배공정성과 조직시민행위에서만 정(+)의 방향으로 나타났고 절차공정성과 조직시민행위의 관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조직-근로자간 고용관계에서 고전적 교환이론이 아직도 유용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각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 및 함의를 논함으로써 글을 마무리했다.

      • KCI등재후보

        금불초 종(種) 및 개화시기에 따른 금불초 꽃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권순식 ( Soon Sik Kwon ),전소하 ( So Ha Jeon ),전지민 ( Ji Min Jeon ),천종우 ( Jong Woo Cheon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에서는 금불초(Inula britannica) 종(種) 및 개화시기에 따른 금불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았다. 이들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살펴본 결과, 만개한 금불초 꽃(I. britannica var. chinensis) 추출물의 경우 500 μg/mL의 농도에서 79.89%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금불초 유사종인 가는 금불초(I. britannica var. linariaefolia Regel), 가지 금불초(I. britannica var. ramosa) 및 버들 금불초(I. salicina var. asiatica)의 꽃 추출물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꽃이 만개하였을 경우 꽃 추출물 분획에서는 93.62%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봉우리 추출물 분획은 43.28%, 낙화추출물 분획은 14.11%를 나타냈다. 금불초의 종 및 개화시기를 선정 후, 추출용매, 온도, 시간을 조절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65 ℃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에서 세포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5 ~ 50 μg/mL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50 μg/mL의 농도에서 τ50이 116.1 min으로 비교물질인 (+)-α-tocopherol에 비해 1.58배 더 큰 세포 보호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PLC로 금불초 꽃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flavonoid의 일종인 quercet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65 ℃ 에탄올로 추출한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의 경우 다량의 quercetin을 함유하며, 그로 인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및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보호함으로써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extracts of different species and flowering periods of Inula britannica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The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extract (500 μg/mL) was measured in a 79.89%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ut the flower extracts of similar species (I. britannica var. linariaefolia Regel, I. britannica var. ramosa, I. salicina var. asiatica) did not show any effect 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ffects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extracts were exhibited in the order of full bloom (93.68%), bud (43.28%), and fallen blossom (14.11%). Next, we established optimum condition of extract solvent, temperature, extraction time. The extract from ethanol at 60 ℃ showed the mos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other conditions and extraction time not relevant i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extract of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on the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by using rose bengal were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5 ∼ 50 μg/mL). In particular, the extract in 50 μg/mL concentration exhibited better protective activity (τ<sub>50</sub> = 116.1 min) than (+)-α-tocopherol (τ<sub>50</sub> = 73.44 min), which is a known lipophilic antioxidant. Principle component of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was identified as quercetin of flavonoid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 of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can function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 exposed to UV radiation by scavenging free radical and <sup>1</sup>O<sub>2</sub>, and protect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It is concluded that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extract of I. britannica var. chinensis flower could be applicable to functional cosmetics.

      • KCI등재

        복수노조가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권순식(Kwon, Soon Sik) 한국노동연구원 2021 노동정책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2011년 이후 시행된 사업장 복수노조제도가 전반적인 노사관계 특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11년부터 2017년까지 4차례의 설문에 모두 응답한 유노조 사업체 중 30인 이상 사업체 261개를 추출하여 연도별 횡단면분석과 이원고정효과 패널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패널분석에서는 복수노조제도가 노조조직률을 높이지만 제1노조의 영향력을 줄일 뿐 아니라 사업장의 노사관계를 온건화하여 노사대화와 노사협상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분석에서는 복수노조 시행 초기 단계인 2011년과 2013년에는 노조조직률 상승이 제한적이었고 노사협상의 원활성, 노조의 교섭성과 등에 부(-)적 영향을 주기도 해서 복수노조의 시행 초기에는 노조의 교섭력이 제도시행으로 인해 다소 약화되었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이런 부정적 결과들은 완화되거나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2011년 복수노조 시행 이후에 불안정했던 노노관계 및 노사관계가 연도가 흐름에 따라 다소 안정화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하나 이런 안정화 기조가 향후에도 지속될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s of multiple unions on the employment relations, based on KLI(Korean Labor Institute) workplace panel data. We utilized the balanced panel data set consisted of 261 workplaces which employ over 30 workers and responded to 4 waves(each year of 2011, 2013, 2015, 2017) of survey. We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the OLS(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each year and two-way fixed effects panel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panel analysis showed that multiple unions raised union rate, reduced union concentration rate, but moderated the adversary employment relations, facilitated union-company dialogue and labor-management committee. The OLS regression results in each year showed that the initial impacts of multiple unions on union rate was not significant and multiple unions made negative impacts on the facilitation extent of union-company dialogue and negotiation as well as bargaining performance of union. But initial unstable impacts of multiple unions became moderated as year went on. The initial instability of multiple union institution was emergent, but as year went on, this instability became moderated and weakened.

      • KCI등재

        화강암 풍화층의 특성과 결빙포행

        권순식(Kwon Sun Sig) 한국지역지리학회 200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9 No.4

        한국의 화강암 풍화층은 한냉하고도 습윤한 환경에서 작용하는 결빙과 융해에 의한 특이한 구조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이들의 구조들은 일반적인 풍화가 진전된 상황에서만 발견된다. 조사지역인 대관령의 풍화층은 두껍지 않지만 결빙된 특색이 현미경관찰에서 파쇄되지 않은 채로 보존되어 있다. 특히 조립의 모래알에는 미립의 운모류와 실트 중심의 물질들이 압축되어 치밀하게 덮여 있고 풍화층 상층부에 미립물질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결빙에 의한 이동현상도 뚜렷하여 현미경하의 토립들은 미약하게 원마되어 공극과 더불어 화석화되었다. 풍화단면층에서는 사면경사를 따라 커브를 나타낸 적색의 band 현상도 관찰되었다. 본 연구결과 풍화층은 냉각과 결빙정도가 오늘날과 달랐던 한생습윤한 환경이 시차를 두고 존재했음을 시사한 고환경 즉 주빙하 조건에서 형성되었고 동시에 결빙포행이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granitic regolith and frost creep phenomena in Daegwanyung area in order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of the weathered materials and the surrounding surface, in order to point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articular complex of granitic regolith most closely resemble close of soil frost creep phenomena formed elsewhere under periglacial conditions. For this study, the writer has clarified their structure and its associated milieux, with a group of methods and techniques, field survey, micro morphological analysis, granulometry of weathered materials etc. Such facies of granitic regolith in situ with silty heterometric materials and micas are prone to be deformed by cryo suction as well as deep freezing. It was probably formed by cryogenic activity or frost creep in the periglacial climate of a very cold and humid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