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금 방식에 대한 현실과 개선방안

        권순민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가천법학 Vol.3 No.2

        Legislation and policy making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prisoner and the resocialization of them are very tardy. Moreover, even the already enacted provisions are not abided by in practices. Considering a variety of institutions protecting the suspect, the accused and the criminal victim,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prisoners are under a unreasonably poor condition. According to ADMINISTRATION AND TREATMENT OF CORRECTIONAL INSTITUTION INMATES ACT, convicted prisoners shall be placed in solitary confinement and non-solitary confinement is to be exceptional. Nevertheless, the usual type of the confinement in practice is non-solitary, prisoners being exceptionally placed in solitary confinement only when it is needed. The lack of correctional facilities, national finance, and manpower makes non-solitary confinement common in the correctional institutions. The portion of solitary confinement amounts only about 3% of entire confinements. Even if a prisoner is placed in the solitary confinement, it is mostly for the purpose of safe guard. Under the overcrowded non-solitary confinement, prisoners enjoy little privacy and the places of confinement degenerate into place for learning the skills of new crimes amongst prisoners. This frustrating reality is harmful to the order in the correctional institution and incapacitates the ideology of resocialization. Compared to international rules and the laws of other nations, the current way of confinement is found to lag behind any other country. Overcrowded confinements should be reduced immediately. The size of space guaranteed to a prisoner should be legally prescribed in the short term and classified treatment is to be enforced thoroughly. Current provision that non-solitary confinement's standard is 3 people or more is meaningless to the protection of the prisoners' rights and fulfillment of correction. Furthermore, various community-based treatments need to be cultivated. 수형자의 인권 보호와 재사회화를 위한 입법과 정책 개발은 매우 더디다. 오히려 이미 법정화되어 있는 사항들도 실무에서 준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형사사법체계의 피의자, 피고인, 범죄피해자 등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들과 비교해보면 그 열악함이 더욱 실감난다.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수형자들의 구금은 독거수용이 원칙이고 예외적으로 혼거수용이 인정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혼거수용을 전제로 예외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독거수용 시킨다고 할 수 있다. 즉 현실적으로는 행형시설의 미비 · 국가재정의 취약·인적자원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대부분 혼거수용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독거실 비율은 3%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독거수용도 계호상 독거수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과밀한 혼거 수용은 수형자에게 최소한도의 사생활도 보장하지 못하고 구금장소는 범죄학습 장소로 전락하게 된다. 이러한 현실은 오히려 교정질서를 해치고 재사회화 이념을 무력화시킨다. 국제준칙이나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서도 우리의 구금방식이 매우 낙후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과밀수용은 시급히 해소되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수형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장소의 크기가 법적으로 규정될 필요가 있으며, 철저한 분류처우가 시행되어야 한다. 혼거수용은 3인 이상을 기준으로 한다는 현행 규정은 수형자 인권보호와 교정이념 실현에 무의미하다. 또한 다양한 개방처우가 개발․시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강제채뇨의 적법성과 영장주의 그리고 절차조건

        권순민 한국형사정책학회 2019 刑事政策 Vol.31 No.2

        Investigational Compulsory urination is to a method of investigation that forcibly release urine from a person’s body through a catheter. Compulsory sampling has been a question of whether it can be allowed as a method of investigation that harms human dignity, given that it brings about personal encroachment, such as humiliation, along with physical pain. The Supreme Court's case confirmed that forced recruitment should be deemed to be allowed in accordance with due process if it is deemed inevitable for criminal investigations. Even if the acceptability of forced sampling is recognized, the procedural conditions should also be strictly applied and complied with in proportion to the gravity of the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of forced sampling. However, while the Supreme Court says that the legal nature of forced sampling is the nature of confiscation, search and disposal, it is also possible to seize and search by means of a single warrant. These Supreme Court's position is believed to result in the embodiment of primacy. It would be said that allowing mandatory investigations into a person's internal body, such as forced sampling, cannot be allowed by a judge to create an in-vitro investigation warrant, which is not currently in place under the current law, or a warrant for the collection of body fluids. 강제채뇨는 도뇨관을 통해 사람의 체내에서 뇨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수사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강제채뇨는 신체적 고통과 함께 굴욕감과 같은 인격적 침해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인간의 존엄을 해치는 수사방법으로 허용될 수 있는지 문제가 되어왔다. 최근에는 이론적 논의에 머무르지 않고 대법원 판례를 통해 강제채뇨는 범죄 수사를 위해서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적법한 절차에 따라 허용된다고 보아야 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강제채뇨의 허용성을 인정하는 경우에도 강제채뇨의 기본권 침해의 중대성에 비례하여 절차조건도 엄격하게 적용 및 준수되어져야 한다. 그 결과 범죄혐의가 명백한 경우에 한정되어야 하고 다른 기대 가능한 수사방법이 없을 때 보충적으로만 사용되어져야 하며 의료인이 의료방법에 따라 시행하여야 한다. 다만 대법원은 강제채뇨의 법적 성격을 압수‧수색과 감정처분의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하면서도 압수‧수색 단일 영장에 의해 압수‧수색의 방법으로도 가능하다고 한다. 강제채뇨의 기본권 침해의 중대성이나 직접적인 수권 규정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같은 대법원의 입장은 영장주의를 형해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생각된다. 물론 이러한 판례의 입장은 긴급한 경우 사후영장을 활용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강제채뇨나 강제채혈의 경우 사후영장을 활용할 수 없는 입법의 불비에 대한 불이익은 체액의 강제채취를 위한 입법 이전까지는 시민이나 피의자가 아니라 형사사법이 부담하여야 한다. 의료인에 의한 시행을 조건으로 하여 압수‧수색영장 하나로 강제채뇨와 강제채혈과 같은 사람의 신체 내부에 대한 강제조사를 허용하는 것은 법관이 현행법상 없는 체내조사영장 혹은 체액의 채취를 위한 영장을 창설하는 것으로 허용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고속축중기를 활용한 과적단속시스템의 과적 억제효과 분석

        권순민,정영윤,이경배 한국도로학회 2012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4 No.5

        PURPOS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verloading control effectiveness of enforcing overweighted vehicles using HS-WIM (High-Speed Weigh-in-Motion) at main lane of expressway. METHODS : To analyze the weight distribution statistically, HS-WIM system should has an appropriate weighing accuracy. Thus, the weighing accuracy of the two HS-WIM systems was estimated by applying European specifications and ASTM (American Standards for Testing and Materials) for WIM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accuracy test, overweight enforcement system has been operated at main lanes of two expressway routes in order to provide weight informations of overweighted vehicle in real time for enforcement squad. To evaluate the overloading control effectiveness with enforcement, traffic volume and axle loads of trucks for two months at the right after beginning of the enforcement were compared with data set for same periods before the enforcement. RESULTS : As the results of weighing accuracy test, both WIM systems were accepted to the most precise type that can be useful to applicate not only statistical purpose but enforcing on overweight vehicles directly. After the enforcement, the rate of overweighted trucks that weighed over enforcement limits had been decreased by 27% compared with the rate before the enforcement. Especially, the rate of overweighted trucks that weighed over 48 tons had been decreased by 91%. On the other hand, in counterpoint to decrease of the overweighted vehicle, the rate of trucks that weighed under enforcement limits had been increased by 7%.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it is quite clear that overloading has been controll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enforcement.

      • KCI등재

        현대적 의미의 피해자 보호와 재정신청제도의 개선방안

        권순민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가천법학 Vol.8 No.4

        최근에는 범죄 피해자에게 당사자에 준하는 정도의 참여권을 인정하여 야 할 뿐만 아니라 형사절차를 범죄자 확정과 응징 과정에 그치지 않고 피해자가 범죄로부터 받은 정신적․심리적 충격과 상처를 치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이념이 제시되거나 적용되기도 있다. 이 논문은 다양한 이익과 원칙의 충돌 사이에서 방황하는 재정신청제도를 현대 형사소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는 범죄 피해자 보호라는 가치와 이익을 기 준으로 다시 재구성해 검토한다. 재정신청제도는 본질적으로는 범죄 피해 자 개인의 고소권과 재판청구권 그리고 재판진술권을 위한 구제제도이면서 이와 함께 사회적으로 검찰의 공소권 행사의 적절한 통제라는 의미도 함께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피해자를 소극적으로 보호하는 차원에 서 벗어나 현재처럼 형사절차에서 피해자가 적극적으로 당사자로 참여하 여 자신의 견해를 주장하는 방안이 모색되는 상황에서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대해 제3의 기관이 충실한 조사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재정 신청제도는 피해자의 활발한 절차참여를 전제하는 현대적 의미의 피해자 권리보호에 필수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재정신청제도는 피 해자의 참여권과 의견진술권을 보장하여야 하며 철저한 증거조사가 가능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입법적으로 재정법원의 강제조사권한에 관한 내 용과 범죄 피해자가 재정 신청인으로서 재정신청절차에 참여하여 의견진술 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규정을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a problem of present petition system for adjudication in victim view. According to current Criminal Procedure Law, A person who lodged a complaint with a right to such complaint may, if he receives a notice of non-prosecution from the public prosecutor, file a petition for adjudication to find whether such disposition is properly made with the High Court having jurisdiction over the venue where the district public prosecutor's office to which the public prosecutor belong is situated. The court shall render a ruling to institute public prosecution, if it is held that the petition has a ground. In this case, The chief public prosecutor of the relevant district public prosecutor's office or of its branch office shall assign a public prosecutor to take charge of the case and the assigned public prosecutor shall institute the public prosecution accordingly. This is applied to the criminal victim as one of complainant. However, This system is not enough to protect for criminal victim in the sense of modern because examination for of evidence is poor for finding the fact and prosecutor actually prosecute and maintain the case in the court. There are instance where prosecutor don’t even demand a penalty against defendant. This reality in criminal justice may provoke criminal victim’s secondary damage and distrust of criminal justice. Therefore this system have a lot of things needing to be improved. High Court’s examination for adjudication have to be faithful and prosecution and its maintaining in court have to be served by attorn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