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체험전시관의 체험전시유형에 따른 전시연출 분석연구

        권순관(Kwon Soonkwa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1

        유비쿼터스는 2005년부터 사회전반에 걸쳐 미래생활을 만들어가는 가장 핵심적인 디지털언어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건립중인 신도시들은 유비쿼터스 도시 즉 U-City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킹기술을 앞 다투어 도시의 컨셉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유비쿼터스는 이제 컴퓨팅기술이라는 공학적 개념을 넘어 공간요소로 주거공간 사무공간 의료공간 문화공간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선행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타 공간에서의 유비쿼터스 기술과 공간의 접목은 실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되고 있는 연구 중 전시공간과 유비쿼터스와의 연계논문은 희소한 상태이며 전시공간은 미래기술을 홍보하는 장소라는 측면에서 연구성과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유비쿼터스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유비쿼터스 발전상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전시공간에서의 효과적 전시와 발전방향을 분석하기에는 디지털전시관 분석이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5년 이후에 개관된 유비파크 디지털파빌리온 투모로우시티를 선정하여 체험전시유형을 기본으로 디지털전시연출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0%이상이 참여형과 반응형 전시매체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몰입형이나 감각형의 적용이 거의 없는 상태였다. 또한 조사한 세 곳의 콘텐츠는 매우 유사한 아이템과 매체방법을 선택하고 있었으므로 이에 특성화 전략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디지털전시관은 터치에서 RFID카드로 대체되었을 뿐 일차적인 참여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향후 건립되는 디지털체험전시관은 실제적이고 실증적인 체험전시연출이 필요하다. Recently Ubiquitous has been the most key digital language making future life of the society since 2005. To reflect this trend new cities U-City based ubiquitous cities that are being recently built are scrambling to have networking technology as urban concepts. Ubiquitous is now applied to living space office space medical space and cultural space as space factors beyond engineering concept called computing technology and accordingly precedent studies on them are being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Ubi-Park Digital Pavilion and Tomorrow City that have opened since 2005 analyzed interaction changes and differences in digital exhibition based on experiential exhib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more than 50% use participational and reactive exhibition media and immersive and tangible one is hardly applied. In addition as to items three exhibitions have similar contents so characteristic strategies are required. In conclusion digital exhibit halls are only changed from finger touch to RFID card but they still don't get out of the primary experience type. Digital-related exhibit halls to be built future need intensive and empirical experience exhibition methods like the practical ubiquitous technology application in other space.

      • 공기 중 바나듐 2가 이온 산화에 의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의 내구성 영향 분석

        권순관(Kwon, Soonkwan),김한성(Kim, Hansu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바나듐 3, 4, 5가 이온은 공기 중에서 안정하지만, 바나듐 2가 이온은 쉽게 산화된다. 그러므로 바나듐 2가 이온이 담겨져 있는 음극 탱크가 공기와 접촉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충전 중 음극 탱크에 공기가 침투되면, 바나듐 2가 이온은 3가 이온으로 산화되기 때문에 음극과 양극의 전해질에 불균형을 초래한다. 이러한 불균형은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 용량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 중 2가 이온 산화에 의한 전해질의 불균형 현상을 쉽게 보여주기 위해, 공기노출과 차단조건에서 충방전 중에 발생한 음극과 양극의 바나듐 이온 상태변화량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기노출 조건에서 음극의 충전 시, 충방전 cycle이 진행 될수록 바나듐 2가 이온의 양이 현격히 줄어들었지만, 공기차단 조건에서는 2가 이온의 양이 공기노출 조건보다 훨씬 더 적게 줄어들었다. 즉, 공기차단 조건에서는 바나듐 2가 이온이 3가로 산화되지 않아서 음극의 충전 후 바나듐 3가에서 2가로 전환되는 양이 공기노출 조건보다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충방전 10th cycle을 진행해 본 결과, 공기차단 조건에서는 충방전 용량감소가 거의 없었지만 공기노출 조건에서는 현격한 충방전 용량 감소를 보였다.

      • KCI등재

        과학전시 측면에서 본 인터랙티브 매체의 유형별 사례조사

        최보아(Choi Boah),권순관(Kwon Soonkwa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4

        과학은 자연 및 첨단과학의 원리와 정보 전달의 목적으로 단순히 전시에 의존하는 수동적 기능이 아닌 능동적인 상호작용의 전시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전시하는 국내 과학관의 경우 아직도 단순한 과학물 중심의 일방적 지식전달에만 치중하고 있으며 전시물을 만져보거나 간단하게 조작하는 정도의 체험전시로만 이루어져 있다. 이는 더 이상 관람객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여 과학관의 재방문을 유도할 수 없게 만든다. 이제 단순한 볼거리만을 제공하는 과학관이 아닌 관람자와 매체 간에 상호작용성을 개입시켜 진정한 지식발견의 장으로 탈바꿈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과학전시의 올바른 이해와 국내외 과학관에서 활용되고 있는 인터랙티브 전시매체들을 유형별로 사례조사·분석하여 과학전시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우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른 첨단매체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며 다음으로 오감을 적극 활용하여 관람객의 흥미를 유발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많은 프로젝트 제작단계에서부터 예술가 디자이너 공학자 인문학자 등 많은 분야의 전문 인력들이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획기적인 인터페이스와 창조적인 전시물을 만들어내 야 할 것이다. 결국 좋은 아이디어 다양한 기획 그리고 적절한 기술이 알맞게 융합된다면 과학전시의 활성화 뿐 만 아니라 과학대중화를 이루는 데에 큰 보탬이 될 것이다. A science exhibition has shifted to be interactive in an active form from merely being passive with a view to delivering principles and information about nature and cutting-edge science. However Korean science halls that have offered nature and science exhibits have focused on the unilateral delivery of simply scientific exhibit-oriented knowledge and allowing visitors to experience exhibits by touching or simply manipulating them. This does not provoke visitors' interest in exhibits any more and eventually it fails to attract their revisits to science halls. Now it is time to transform science halls into a true place for discovering knowledge by introducing interactivity between visitors and media instead of merely offering something to se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correct understanding of science exhibition as well as a right direction for science exhibition through case studies and analyses by the type of interactive exhibition media that have been utilized at science halls at home and abroad. With that aim it would be necessary foremost to actively utilize the latest media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ies and to attract visitors' interest in media to willingly employ the five senses. Furthermore professionals in diverse fields involving artists designers engineers and scholars in the humanities are anticipated to produce an unprecedented interface and creative exhibits by participating in many projects in person beginning with the project design stage. Provided that good ideas various types of planning and affordable technologies blend in harmony this will be effective not only for promoting science exhibitions but also for popularizing science.

      • KCI등재

        체험위주의 생활밀착형 전시 공간디자인에 대한 연구 -서울시립과학관 어린이 체험공간을 중심으로

        노이경 ( Yikyung Noh ),권순관 ( Soonkwan Kw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Seoul Science Center is the first city science museum that the city of Seoul has established to help youth understand basic science and popularize science. It is a dynamic and changing exhibition plan, serving as a hub for Seoul's science and culture axis and as a center for exhibitions specialized in basic sci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visitors, the distribution of the audience of the youth, the main target floor, was high, but the number of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you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exhibition for children who occupy a large number of visitors while maintaining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centered on youth. Children have a characteristic of understanding and learning knowledge through experience rather than visual exhibition, and they have scientific curiosity with various phenomena that they experience through everyday lif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ive experience for children by presenting the design of life-friendly space for children in Seoul Science Center.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xperience and life-friendly exhibitio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direction of design was set. Next, the design basic plan was established through regional analysis of Seoul Science Center, analysis of exhibition visitors and SWOT. Based on this, the detailed exhibition storyline and detailed exhibition space were planned. First, the students were led to popularization of science by reinforcing science contents in daily life, and the audience was expanded to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econd,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experience for the target group expand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lanned hands-on experience so that direct experience exhibition can be done. In the case of hands-on experience, it was possible to display the connection with other organizations by planning as a mobile science exhibition. Third, the area of exhibition room other than permanent exhibition room was secured and the experience area of science center was expanded to increase differentiation from other facilities. Through this, the scope of the science center was expanded as a comprehensive science center that can accommodate local cultural needs. (Conclusion) Various expansion changes such as expansion of experience age, strengthening experience exhibition, and daily life of science using life-friendly science were attempted, and the potential of the science center was expanded through this. Through such various expansional changes,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 revisit of the science center and further expand the base of science and popularize science.

      • KCI등재후보

        FGI 및 사용자 선호도 분석을 통한 물문화관 시설 개선 계획 - 한강문화관을 중심으로 -

        권순관 ( Kwon¸ Soon-kwan ),노이경 ( Noh¸ Yi-ky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0 전시디자인연구 Vol.17 No.2

        우리나라의 경우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여러 종류의 댐을 건립하였으며, 물의 중요성과 댐건설의 타당성을 홍보하기 위해 물문화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물관련문화관들은 홍보 콘텐츠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관람객 인식변화, 사업 홍보의 목적은 충족시켰다. 하지만 문화적 콘텐츠의 비율이 낮아 지역민들에게 문화 활동을 제공할 만큼의 전시 구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문화관으로서의 구실을 하지 못하여 방문객 수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물문화관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준공 6년 경과에 따라 노후화된 한강문화관의 내부 리뉴얼을 통해 물문화관의 활성화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현장조사, 시설운영담당자와 유사 기관 전문가들의 그룹 인터뷰, 방문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방문객의 정확한 니즈(Needs)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본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세부적인 시설 개선 및 전시계획 수립을 통해 수변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문화관을 디자인함이 연구의 목적이다. In Korea, various types of dams have been buil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nd a water culture center is operated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water and the feasibility of dam construction. Most of these water-related cultural centers were made up of promotional contents, thus satisfying the purpose of changing audience perception and promoting business. However, as the proportion of cultural contents is low, the number of visitors is decreasing because the exhibition structure is not organized enough to provide cultural activities to local residents. Therefore, it is the time when various changes are needed to revitalize the water culture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s to revitalize the water culture center through the internal renewal of the old Han River Cultural Center after 6 years of completion. Through field surveys, group interviews with facility management personnel and experts from similar organizations, and visitor surveys, we intend to identify the exact needs of visitor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a water culture hall that can promote waterfront revitalization by setting the basic design direction and establishing detailed facilities improvement and exhibition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