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울산과 나주에서 채집한 배나무 검은별무늬병균의 ergosterol 생합성 저해제 5종에 대한 감수성 저하
권수민,여무일,최세훈,김건웅,전경진,엄재열 한국식물병리학회 2010 식물병연구 Vol.16 No.1
In Korea, EBI fungicides which are highly effective for control of pear scab and rust but of high risk for development of resistance have been frequently sprayed by majority of pear growers. To detect any possible resistance or reduced sensitivity in the field strains of scab fungus to five EBIs, ifenoconazole, fluquinconazole, flusilazole, fenarimole and hexaconazole, sensitivity tests were conducted with fungal specimens collected in Ulsan and Naju where scab usually occurs and EBIs have been intensively sprayed for many years. As the strains for which EC50 values of the EBIs were largely shifted from those of base-line were occasionally found, the resistant or less sensitive strains were supposed to be distributed. In the activity test for the EBIs by artificial inoculation, in which EBI-treated pear leaves on the potted seedlings were inoculated with fungal spores collected in the two regions, development of resistances to EBIs were confirmed. Since the fungal spores collected at 4 and 2 orchards in Naju and Ulsan, respectively, produced much higher disease incidence on the leaves treated with hexaconazole than those on the untreated control, those fungal specimens were determined as esistant to hexaconazole. Similar results were also obtained with two specimens from Ulsan for flusilazole.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배 재배 농가에서는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의 방제를 위해 저항성 발달위험이 높은 EBI를 빈번하게 사용해 왔다. 검은별무늬병이 상습적으로 발생하고 EBI를 오랫동안 사용해 온 울산과 나주에서 검은별무늬병균을 채취하여 difenoconazole, fluquinconazole,flusilazole, fenarimol 및 hexaconazole의 5종 EBI에 대한 감수성을 검정했다. EBI를 함유하는 배지상에서 EC50 값이 base-line의 평균값 보다 크게 높아진 균주가 산발적으로 발견되었으므로 감수성 저하 또는 저항성 균주가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런데 포트에 재배한 배나무묘목에 5종의 EBI를 권장사용농도로 살포하고 3시간 동안 풍건시킨 후, 울산과 나주에서 채취한 포자를 직접 인공 접종한 결과, 울산의 5필지 중 3필지와 나주의 4필지 모두에서 채취한 균은 hexaconazole을 처리한 나무에서 무처리보다 더 높은 이병엽율을 보였으므로 그들 포장에서 채취한 균주집단에는 이 약제에 대해 고도의 저항성을 갖는 것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 울산의 두과수원에서 채취한 균은 flusilazole에 대해서도 같은 반응을 보였으므로 역시 그 약제에 대해 저항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권수민,천해인,김소담,배소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3 No.1
본 연구는 국내 발달성 난독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온 동향을 분석하고, 읽기 및 쓰기 영역을 세부 영역으로 나누어 난독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논문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검색된 논문을 제외기준에 따라 선정하여 총 37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시, 난독 집단의 읽기 쓰기 특성을 해독,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철자 및 작문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각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발달성 난독 집단의 읽기 및 쓰기에 대한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성 난독의 특성과 관련된 연구는 모든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작문 영역의 연구는 미미하였다. 또한 초등 1~4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대상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연구의 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검사도구의 경우 표준화검사가 비표준화검사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달성 난독 집단은 공통적으로 일반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난독 집단 내에서도 어려움을 가지는 영역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여 수행력을 살펴본 연구가 다수 있었으며, 각 영역별 수행력을 과제유형, 채점 및 분석 단위를 고려하여 다방면으로 난독 집단을 살펴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난독 집단의 읽기 및 쓰기 특성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여 살펴봄으로써 현재 난독 집단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난독 집단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추후 임상가 및 연구자가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권수민,김상목,전찬욱 한국물리학회 2017 Current Applied Physics Vol.17 No.1
CdS buffer layer of varying thickness ranging from 23 to 58 nm deposited at different substrate temperature were prepared as n-type junction partner for thermally grown Cu(In,Ga)Se2 and two-step chalcogenized Cu(In,Ga)(S,Se)2 photovoltaic absorber films and the effect of deposition temperature and time on the CdS growth behavior and solar cell performance were evaluated. High deposition temperature resulted in a thicker CdS layer and more importantly lower density and shallower depth of open voids, which attributed to the improved open-circuit voltage and fill factor due to reduced interface recombination. The solar cell efficiency of thermally grown absorber saturated at about 30 nm thickness of CdS, while that of chalcogenized absorber gradually increased with CdS thickness up to 60 nm without significant loss of short-circuit current den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