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속적 부대역 양자화와 인간 시각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알고리듬

        권성근,권기구,반성원,박경남,하인성,권기룡,이건일,Gwon, Seong-Geun,Gwon, Gi-Gu,Ban, Seong-Won,Park, Gyeong-Nam,Ha, In-Seong,Gwon, Gi-Ryong,Lee, Geon-Il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39 No.2

        본 논문에서는 연속적 부대역 양자화와 인간 시각 시스템을 이용한 웨이브릿 기반의 디지털 워터마킹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듬에서는 웨이브릿 변환을 이용하여 영상을 4-레벨로 분해한 후, 가장 낮은 레벨에 속한 최고주파 부대역들을 제외한 모든 부대역들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중요한 계수들을 선택한다. 기저대역에 대한 시각적으로 중요한 계수들은 계수값들의 크기를 기준으로 선택하고, 고주파 부대역에 대한 시각적으로 중요한 계수들은 연속적 부대역 양자화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고주파 부대역에 속한 시각적으로 중요한 계수들은 각 계수들이 인간의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 시각 시스템을 고려하여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크기로 워터마크를 삽입하고, 기저대역에 속한 계수들은 화질 열화가 일어나지 않는 범위로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본 워터마킹 알고리듬의 성능 평가를 위한 모의실험에서 이 알고리듬이 기존의 알고리듬보다 비가시성과 견고성에서 모두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A wavelet-based digital watermarking algorithm is proposed that uses the successive subband quantization and human visual system (HVS). After an original image is decomposed into 4-level by the discrete wavelet transform, perceptually significant coefficients (PSC) of each subband excluding the lowest level subband are utilized to embed the watermark. PSC of the baseband ate chosen according to their amplitude and they are slightly modified to embed the watermark by a conventional embedding method. By the successive subband quantization, PSC of the high frequency subband are chosen and slightly modified according to the HVS. We test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atermarking algorithm by computer simul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watermarking algorithm produces a better invisibility and robustness than the conventional algorithm.

      • 블록 분류와 반화소 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한 웨이브릿 변환 영역에서의 계층적 고속 움직임 추정 방법

        권성근,이석환,반승원,이건일,Gwon, Seong-Geun,Lee, Seok-Hwan,Ban, Seung-Won,Lee, Geon-Il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9 No.2

        반화소 단위 움직임 추정(half pixel accuracy motion estimation, HPAME)과 블록 분류(block classification)를 이용한 계층적 고속 움직임 추정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기존의 MRME(multi-resolution motion estimation)알고리듬보다 우수한 화질을 유지하면서 계산량 및 비트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제안한 알고리듬에서는 다해상도 영상에 대한 움직임 추정 시 고주파 부대역의 움직임 추정에 기준 움직임으로 사용되는 기저대역의 움직임 벡터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하여 HPAME을 행한다. 그리고 고주파 부대역에서는 기저대역에서의 HPAME로 인한 계산량 및 비트량의 증가를 보상하기 위하여 움직임 추정이 필요한 블록들에 대하여서만 선별적으로 미소 움직임을 추정한다. 이때 고주파 부대역에서의 미소 움직임 추정의 수행 여부는 대응되는 기저대역 블록의 움직임 벡터 특성과 블록 분류에 따른 클래스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제안한 알고리듬의 성능은 컴퓨터 모의 실험 결과로부터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fast multi-resolution motion estimation(MRME) algorithm. This algorithm exploits the half-pixel accuracy motion estimation(HPAME) for exact motion vectors in the baseband and block classification for the reduction of bit amounts and computational loads. Generally, as the motion vector in the baseband are used as initial motion vector in the high frequency subbands, it has crucial effect on quality of the motion compensated image. For this reason, we exploit HPAME in the motion estimation for the baseband. But HPAME requires additional bit and computational loads so that we use block classification for the selective motion estimation in the high frequency subbands to compensate these problems. In result, we could reduce the bit rate and computational load at the similar image quality with conventional MRM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was confirmed by the computer simulation.

      • 블록 분류와 적응적 필터링을 이용한 후처리에서의 양자화 잡음 제거 방법

        이승진,이석환,권성근,이종원,이건일,Lee, Seung-Jin,Lee, Seok-Hwan,Gwon, Seong-Geun,Lee, Jong-Won,Lee, Geon-Il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8 No.4

        본 논문에서는 블록 분류와 적응적 필터링을 이용하여 블록 기반 부호화에서의 양자화 잡음을 제거하는 후처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블록 분류, 적응적인 블록 간 필터링, 및 블록 내 필터링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각 블록을 8x8 DCT 계수 분포에 따라 7개의 클래스로 분류하고, 인접한 두 클래스 정보에 따라 적응적인 블록 간 필터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에지 블록으로 분류된 블록에 대하여 에지맵을 이용한 블록 내 필터링을 수행한다. 실험결과로부터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객관적 화질 측면에서는 유사하지만, 주관적 화질 측면에서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postprocessing algorithm for quantization effects reduction in block coded images using the block classification and adaptive filtering.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classification, adaptive inter-block filtering, and intra-block filtering. First, each block is classified into one of seven class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8$\times$8 DCT coefficients. Then each block boundary is filtered by adaptive inter-block fitters according to the block classification. finally for blocks which are classified into edge block, intra-block filtering is perform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gives better results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from both a subjective and an objective viewpoint.

      • 가변 블럭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효율적인 다분광 화상 데이터 압축

        반성원,김병주,석정엽,권성근,권기구,김영춘,이건일,Ban, Seong-Won,Kim, Byeong-Ju,Seok, Jeong-Yeop,Gwon, Seong-Geun,Gwon, Gi-Gu,Kim, Yeong-Chun,Lee, Geon-Il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8 No.6

        본 논문에서는 가변 블럭 벡터 양자화를 이용한 효율적인 다중 분광 화상 데이타 압축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공간적으로 가장 낮은 분산을 가지고 다른 대역과 상관성이 가장 큰 기준 대역을 웨이브릿 영역에서 가변 블럭 벡터 양자화를 행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각 대역은 웨이브릿 영역에서 기준 대역으로부터 영역별 예측을 통하여 대역간 중복성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원 화상의 웨이브릿 계수와 예측 영상의 웨이브릿 계수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오차 가변 블럭 벡터 양자화를 행한다. 실제 원격 센싱된 인공위성화상데이타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부호화 효율이 기존의 기법에 비하여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efficient multispectral image compression using variable block size vector quantization (VQ). In wavelet domain, we perform the variable block size VQ to remove intraband redundancy for a reference band image that has the lowest spatial variance and the best correlation with other band. And in wavelet domain, we perform the classified interband prediction to remove interband redundancy for the remaining bands. Then error wavelet coefficients between original image and predicted image are residual variable block size vector quantized to reduce prediction error. Experiments on remotely sensed satellite image show that coding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