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 사상의 접점(I) -현실적 존재(vastu, actual entity)를 중심으로-

        권서용 ( Seo Yong Kwon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0 화이트헤드 연구 Vol.20 No.-

        다르마키르티(法稱,600-660)는 7세기 인도불교철학자이다. 그는 ``경량부의 인과적 지각``과 ``디그나가의 논리학``을 토대로 불교인식 논리학을 구축한다. 다르마키르티는 현실적 존재(vastu)의 본질을 찰나멸(ksanikatva)과 인과적 효과성(arthakriyakaritva)이라 한다. 화이트헤드(白頭,1861-1947)는 20세기 영국의 과정 철학자이다. 그는 ``파악이론``과 ``연장이론``을 근거로 유기체 철학을 체계화한다. 화이트헤드는 현실적 존재의 본질을 찰나멸(momentariness)과 인과적 효과성(causal efficacy)이라 한다. 이 논문은 다르마키르티의 현실적 존재(vastu)와 화이트헤드의 현실적 존재(actual entity)를 비교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다르마키르티의 크사니카트바는 화이트헤드의 찰나멸에 해당하고, 다르마키르티의 아르타크리야카리트바는 화이트헤드의 인과적 효과성에 해당한다. 다르마키르티의 현실적 존재(vastu)와 화이트헤드의 현실적 존재(actual entity)는 세계를 구성하는 궁극적인 실재적 사물이다. 현실적 존재를 넘어서 더 실재적인 어떠한 존재도 없다.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에 의하면 현실적 존재의 본질은 ``변화``가 아니라 ``찰나멸``이다. Dhrmakirti(法稱, 600-660) was a Buddhist Philosopher of India in 7th Century. He systemizes the epistemological logics of Buddhism on the background ``causal epistemology of Sautrantika`` and ``logics of Dignaga.`` He insists that the essence of vastu be ksanikatva and arthakriyakaritva. Whitehead(白頭, 1861-1947) was a Process Philosopher of England in 20th Century. He systemizes the organic philosophy on the background ``the theory of prehension`` and ``the theory of extension``. He insists that the essence of actual entity be momentariness and causal efficacy. This paper compares Dharmakirti`s vastu with Whitehead`s actual entity. In other words, Dharmakirti`s vastu corresponds to Whitehead`s actual entity. Dharmakirti`s ksanikatva corresponds to Whitehead`s momentariness. Dharmakirti`s arthakriyakaritva corresponds to Whitehead`s causal efficacy. Vastu and actual entity is ``the final real thing of which the world is made up. There is no going behind vastu and actual entity to find anything else furthermore real` in the world. Dharmakirti and Whitehead insist that the essence of vastu and actual entity not be ``change``, but ``momentariness``.

      • KCI등재

        화이트헤드의 파악(prehension)과 다르마키르티의 인식(pramāṇa)에 관한 비교연구

        권서용(Kwon, Seo-Yong) 한국인도학회 2017 印度硏究 Vol.22 No.2

        이 논문은 화이트헤드의 사유체계와 다르마키르티의 사유체계를 비교한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이 지향하는 것은 화이트헤드의 파악과 다르마키르티의 인식의 유사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째, 화이트헤드의 파악의 의미와 다르마키르티의 인식의 의미, 둘째, 화이트헤드의 파악의 구조와 다르마키르티의 인식의 구조, 셋째, 화이트헤드의 파악의 생성과정과 다르마키르티의 인식의 생성과정을 비교하여 그 유사성을 확인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화이트헤드의 파악과 다르마키르티의 인식은 존재나 존재의 속성이 아니라 관계(연기) 혹은 관계성(연기성)이라는 측면에 공통의 접점이 있다. 또한 화이트헤드의 파악의 구조와 다르마키르티의 인식의 구조는 파악하는 주체와 인식주체(능취형상), 파악되는 여건과 인식대상(소취형상), 주체적 형식과 인식(결과)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는 측면에서 공통의 접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화이트헤드의 파악은 객체적 대상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며 다르마키르티의 인식도 이전 찰나의 여건들에 의해 생성된다. 이런 측면에서 두 사유체계는 공통의 접점이 있다. This paper compares the thought systems of A. N. Whitehead and Dharmakīrti. In particular,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ehension of Whitehead and the pramāṇa of Dharmakīrti.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meanings, the structures, and the processes of creation of Whitehead’s prehension on the one hand, and Dharmakīrti’s pramāṇa on the other. The meanings of Whitehead’s prehension and Dharmakīrti’s pramāṇa have much in common in that both focus on the relation (緣起) or relativity (緣起性), rather than on the property of existence or existence itself. In addition, there is a common point of view in that the structure of Whitehead’s prehension and the structure of Dharmakīrti’s pramāṇa consist of three components, that is, the prehending subject and grāhya (能取形相), the prehended object and grāhaka (所取形相), and the subjective form and pramāṇaphala. Finally, like Whitehead’s prehension which is generated by the objective datum, Dharmakīrti’s pramāṇa is also generated by the circumstances of the momentary past. In this respect, the two thought systems have a common point of contact.

      • 아뢰야식의 구조에 관하여 -『대승기신론』의 체상용을 중심으로-

        권서용 ( Kwon Seo Yong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6 密敎學報 Vol.17 No.-

        논문은 『대승기신론』의 체상용을 중심으로 아뢰야식의 구조를 살피는 것이 목적 이다. 주지하다시피 소승불교의 교과서가『구사론』 이라고 한다면, 대승불교의 교과서는 『대승기신론』이라고 할수 있다. 아뢰야식에 국한해서 말한다면 『대승기신론』의 아뢰야식은 유식사 상의 아뢰야식과는 달리 진망화합식이다. 우선 여래장에 의지하는 아뢰야식은 不生不滅하는 마음이기 때문에 일법 계이자 대총상이며 법문의 體로서만 존재하며, 相과 用은 무규정 [無相]이며 무작용[無用]이다. 다음으로 심생멸로서의 아뢰야식은 이중적 양상을 띠는데, 첫 번째 양상은 심생멸 속에서의 불생불멸하는 아뢰야식은 眞如를 體, 如來藏을 相, 선한 인과를 낳는 힘 [大慈悲行]을 用으로 구성된다. 두 번째 양상으로 心生滅 속에서의 生滅하는 아뢰야식은 다시 두 가지 양태를 띤다. 하나는 不覺에 의지하여 객관의 존재방식으로 전개되는 아뢰야식은 無明業相을 體, 주관의 양상인 能見相과 객관의 양상인 境界相을 相, 分別을 用으로 구성된다. 또 하나는 마음에 근거한 意와 意識에 의지하여 주관의 존재방식으로 전개되는 아뢰야식은 業識을 體, 주관의 양상인 轉識과 객관의 양상인 現識을 相, 分別을 用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대승기신론』의 아뢰야식은 중층적 구조를 띠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大乘起信論]’s structure of Alaya vijnana. Contrary Vijnapti matra[唯識]’s alaya vijnana,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大乘起信論]’s alaya vijnana is 眞妄和合識. In other word,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大乘起信論]’s alaya vijnana is divided into alaya vijnana of mind -world of Suchness [心眞如] and mind-world of changeableness [心生滅]. This alaya vijnana of mind-world of Suchness [心眞如] is regards One dharma dhatu [―法界] to essence, non―character[無相]to character, non-function [無用] to function. That alaya vijnana of mind -world of changeableness [心生滅] assumes dual aspect. In the first aspect, unchangeable alaya vijnana of mind-world of changeableness [心生滅] is regard world of Suchness [眞如] to the great essence, tathagata garba [如來藏] to the great character, good casual efficacy to the great function. In the second aspect, changeable alaya vijnana of mind-world of changeableness [心生滅] is regard 無明業相 and 業識 to essence, 能見相ㆍ境界相 and 轉識ㆍ現識 to character, vijnana to function.

      • KCI등재

        의상과 화이트헤드

        권서용(Kwon, Seo-Yo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2

        이 논문은 한국불교 승려인 의상과 서양의 과정 철학자 화이트헤드 사상의 비교연구이다. 특히 이 논문은 의상의 화엄철학과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이 논문은 의상과 화이트헤드의 존재론적 개념인 법과 현실적 존재, 관계론적 개념인 연기와 과정, 종교론적 개념인 불과 신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두 사유체계는 실체적 사고를 비판한다는 면에서 유사하지만, 존재론상에서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즉 전자는 현실적 존재와 현실 세계는 환영이라 생각하지만, 후자는 그것을 실재라고 생각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종교론적 개념인 의상의 불과 화이트헤드의 신은 둘 다 현실적 존재라는 점에서 유사하고 아울러 ‘관계성의 구체적 사실’이라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This Paper compares the korean buddhist Ǚisang with the western philospher Whitehead. Especially, this paper compares the hwayen(華嚴) philosophy of Ǚisang and the organic philosophy of Whitehead.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ontological concept’s dharma(法) of Ǚisang and actual entity of Whitehead, the relational concept’s yongi(緣起) of Ǚisang and process of Whitehead, the religious concept’s Buddha(佛) of Ǚisang and God of Whitehead. These two speculative systems are similar in that they together try to criticize the substantial thought. Meanwhile these two speculative system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ontology. The former thinks that actual entity and actual world is maya(幻), on the contrary, the latter thinks that actual entity and actual world is reality. The religious concept’s Buddha(佛) of Ǚisang and God of Whitehead are are similar in that they together are actual entity and they both are considered as ‘the concrete fact of relatedness’

      • KCI등재

        원효와 화이트헤드사상의 접점에 관한 비교연구

        권서용(Kwon, Seo-Yo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5

        이 논문은 한국불교 스님인 원효와 서양의 유기체 철학자 화이트헤드사상의 접점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원효의 일심철학과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이 논문은 원효와 화이트헤드의 존재론의 근간을 이루는 일심과 현실적 존재, 관계론의 핵심이 되는 연기와 과정, 종교론의 중심이 되는 불과 신의 유사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이 두 사유체계는 연기와 과정을 기반으로 실체적 사고를 비판한다는 면에서 유사하다. 다음으로 원효와 화이트헤드는 전통철학에서 궁극적 근거로 제시하는 제1실체나 신 혹은 아트만을 부정하면서 자신들의 비실체철학에 맞게 새로운 궁극적 존재를 제시한다. 궁극적 존재를 원효는 일심이라 하고 화이트헤드는 현실적 존재라 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궁극적 존재인 일심이나 현실적 존재가 존재하기 위해서 다른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절대적 존재가 아니라 모든 것은 다른 어떤 것과의 관계에서만 존재하는 의존적․연기적․과정적 존재라는 점에서 두 사유체계는 공통의 접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종교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절대적 존재이다. 두 사상가 모두 숭고한 존재로서 불과 신을 인정한다. 그러나 전통종교에서 말하는 전지전능하고 불멸이며 절대적인 존재로서의 불이나 신을 인정하지 않는다. 원효는 불을 오히려 일심의 한 양상으로 파악하며 화이트헤드는 신도 하나의 현실적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고 파악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ntacts between Wonhyo, a Korean Buddhist monk, and Whitehead thought, an organic philosopher of the West. In particular,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Wonhyo’s philosophy of unity and Whitehead’s philosophy of organ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imilarity between fire and whitehead, which is the core of the ontology of reality, the act and process which is the core of the relationship, and the similarity between fire and god, which is the center of religion. These two thought systems are similar in that they criticize substantive thinking based on acting and process. First, these two thought systems are similar in that they criticize substantive thinking based on dependent origination and process. Next, Wonhyo and Whitehead deny the first substance, God or Atman, which is presented as the ultimate basis in traditional philosophy, and present a new ultimate existence in accordance with their non-reality philosophy. The ultimate existence Wonhyo is One mind and Whitehead is Actual entity. Next, in order that existence of this ultimate existence, One mind or Actual entity, is not an absolute existence that does not require another existence, but that everything is a dependent, process existence existing only in relation to another. Finally,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religion is absolute existence. Both thinkers acknowledge Buddha and God as noble beings. However, it does not recognize Buddha or God as an omnipotent, immortal, absolute being in traditional religion. Wonhyo sees Buddha as an aspect of unity and Whitehead is common in that it sees that God is only one real existence.

      • KCI등재

        원효의 불확정[不定] 원리와 법칭의 선험적 원리에 관한 연구 - 원효의 『판비량론(判比量論)』 11절을 중심으로 -

        권서용 ( Kwon Seo-y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진나 논리학 특히 추론인의 체크 리스트인 구구인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동일한 추론인을 근거로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추론대상을 귀결한다는 역설의 문제를 낳고, 두 추론인이 바른 추론인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추론대상을 확립한다는 이율배반을 발생한다는 것이다. 진나 이후의 불교 논사들 특히 원효와 법칭이 진나의 논리체계에서 발생하는 역설과 이율 배반을 어떻게 극복해 갔는가 하는 것을 탐색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하는 것이다.’라는 미망사학파의 논증에 대해 불확정 추론인을 갖는 추론이라고 비판하는 추론도 마찬가지로 불확정의 추론인을 갖는 추론이기 때문에 정당한 비판이 아니라고 원효는 비판한다. 이렇게 어떤 세계관과 문법체계에 기반 한 추론의 부당성을 논증하기 위해서 다른 세계관과 문법체계에 기반 한 추론을 제시한다고 해도, 바른 추론의 결과 내지 대상을 도출해 내지 못하는 부당한 추론인의 오류를 범한다고 원효는 보았던 것이다. 한편 어떤 논리의 부당성을 논증하는 논리 자체도 궁극적으로는 오류를 범한다는 불확정성의 원리를 표방하는 원효와는 달리, 법칭은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무상한 것.’과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하는 것’이라는 역설과 ‘소리는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무상한 것.’과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하는 것’이라는 안티노미는 논리적 관계를 통해서 해결할 수 없으며, 오히려 추론을 구성하는 두 개의 항 즉 추론인과 추론대상이 기반하는 현실적 존재 사이의 본질적 결합관계라는 선험적 원리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상향(bottom-up)식의 논리를 ‘논리의 논리’로 그 타당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언제나 불확정[不定]의 오류를 범한다고 경계한 사상가가 원효였다면,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하향식(top-down)식의 논리의 존재론적 근거를 통해 논리적 관계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 사상가가 법칭이었다. 이런 측면에서 둘은 같은 지점에 시선을 두면서 다른 길을 걸어갔다고 할 수 있다. The problem in Dignaga’s logic, especially the check list of a table of nine inferences, is the problem of the paradox that it leads to incompatible Logical consequence based on the same logical reason, and although both logical reason are mutually compatible, And to establish an object of reasoning that can not be don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aradox and antinomy of Buddhist post Dignaga, especially Wonhyo and Dharmakirti. Wonhyo criticizes the argument that “the sound resides because it is heard,” which is not valid reasoning, but the reasoning is likewise irrelevant. In order to argue the unfairness of reasoning based on a certain worldview and grammar system, even if it suggests reasoning based on other worldviews and grammatical systems, Wonhyo have seen. On the other hand, unlike Wonhyo, who argues the principle of uncertainty that ultimately makes a mistake, The rule is that the paradox that “the sound is the sound because it is heard” and “the residence because the sound is the sound” and “the sound is made because it is made” and “the sound resides because it is heard” The antinomies can not be solved by logical relations, but rather they can be solved by the a priori principle of the intrinsic coupling between the two terms that constitute reasoning, that is, the reasoning and the reality based on the object of reasoning. While Wonhyo believes that the attempt to secure the upward logic from the logic of logic to the logic of logic always fails to make an uncertainty, Dharmakirti, on the ontological basis of logic from top to bottom. In this respect, the two walked the other way, gazing at the same spot.

      • KCI등재

        다르마키르티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 비교연구 - 아포하(apoha) 이론과 언어게임(game) 이론을 중심으로 -

        권서용 ( Kwon Seo-y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6

        서양의 철학이나 인도의 정통육파철학은 이성(붓디)을 중심으로 세계를 파악하려는 이성중심주의가 주류를 이룬다. 이성(붓디)은 개별 사물의 차이성을 인식하는 기제가 아니라 개별 사물들의 동일성을 파악하는 수단이다. 동일성에 대한 인식은 개별자들 속에는 하나로 묶을 수 있는 본질이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하지만 다르마키르티와 비트겐슈타인은 궁극적 실재는 이성(붓디)에 의해 파악되는, 동일성을 본질로 하는 보편이 아니라 자기차이성을 본질로 하는 개체만이 존재한다는 입장을 공유한다. 다르마키르티는 언어의 본질 혹은 기능을 디그나가와 마찬가지로 타자부정으로 파악하는 아포하론을 계승한다. 하지만 그는 부정의 대상으로서의 타자를 존재로서의 보편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인과적 효과성을 결여한 것, 동일한 결과를 낳지 않는 것, 바라는 목적을 성취시키지 못하는 것, 착오로 인해 증익(가탁)된 것 등 활동하는 작용으로 간주하여 부정(apoha)을 어떤 문맥에서 사용하는가, 무엇을 대상으로 사용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의미가 표현된다는 언어사용의미론에 입각하여 언어지시의미론을 포섭하는 아포하론을 완성한다. 비트겐슈타인에 의하면 언어는 단지 대상을 지시하는 협애한 도구가 아니라 우리의 일상의 언어공동체를 구성하는 무수히 많은 언어게임에 참여하여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의미가 생성된다고 하는 언어게임이론을 제시한다. 의미론으로 말하면 언어게임이론은 언어의 의미는 그 사용에 있다고 하는 언어사용의미론으로 귀결된다. 결국 의미론의 관점에 입각해 본다면, 디그나가의 아포하론과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그림이론은 언어지시의미론을 공유하고 있고, 다르마키르티의 아포하론과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이론은 언어사용 의미론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존재한다. 다르마키르티와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와 의미대상 사이의 관계는 전자가 인위적 관계를, 후자는 본질적 관계를 주장함에 따라 서로 견해를 달리하지만,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이론에 이르게 되면 다르마키르티와 비트겐슈타인 두 사상가 공히 언어와 의미대상과의 관계를 인위적 자의적 관계로 파악하고 있다. In Western philosophy and Indian orthodox philosophy of six, rationalism, which tries to grasp the world centering on reason (buddhi), is the mainstream. Reason (buddhi) is not a mechanism for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objects, but a means to grasp the identity of individual objects. Recognition of identity presupposes that within individuals there is an essence that can be united. However, Dharmakīrti and Wittgenstein share the position that the ultimate reality is not the universal, which is understood by reason (buddhi), but only individuals with self-difference as the essence. Dharmakīrti inherits Apohavāda, which understands the essence or function of language as negative negativity, just like Dignāga. However, he does not regard the other as an object of denial as a universal being, but lacks causal effectiveness, does not produce the same results, fails to achieve the desired purpose, and has gained profits due to error. Based on the semantics of language use, which means that various meanings are expressed according to the context in which apoha is used and what the object is used as an active action, the apoha theory is completed. According to Wittgenstein, language is not just a cooperative tool to designate objects, but suggests a language game theory that meaning is created by using language by participating in a myriad of language games that make up our everyday language community. In terms of semantics, language game theory results in language use semantics that the meaning of language lies in its use. In the end, based on the point of view of semantics, Dignāga’s Apohavāda and Wittgenstein’s theory of language painting share the meaning of language instruction, and Dharmakīrti’s Apohavāda and later Wittgenstein’s language game theory share the meaning of language use There is a similarity in that there is.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Dharmakīrti and the previous Wittgenstein’s language and semantic objects, the former argued for an artificial relationship, and the latter insisted on an essential relationship. Both are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meaning object as an artificial and arbitrary relationship.

      • 원효와 법칭의 만남과 대화

        권서용 ( Kwon Seo-yong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7 불교 철학 Vol.1 No.-

        법칭과 원효는 둘 다 대승불교의 사상가들이다. 무명의 세계에서 깨달음의 세계로 운반해 가는 수레가 밖에 있는 경·율·논이라는 삼장(三藏)이 아니라 삼장에 대해서 신심을 일으키는 그 자신의 마음이라고 깨닫는 것이 바로 대승인 것이다. 법칭은 큰 수레를 인간 자신의 바른 인식이라고 보았으며 원효는 중생자신의 마음인 일심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공통의 접점이 있다. 법칭은 인식이란 궁극적 차원에서는 하나의 획기적 전체로서 생기자마자 소멸하는 찰나멸하는 존재이지만 무명에 의해 미혹된 어리석은 자들의 세계인 세속적 차원에서는 상분과 견분 그리고 자증분이 객관적으로 실재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진나의 3분설을 해설한다. 원효는 ‘자증분은 심분에 포함되기 때문에 즉체능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하여 ‘심분에 포함된다.’는 동일한 논증인에 의해 두 개의 상반된 주장이 성립하게 되어 4분설을 주장하는 논증식의 논증인 자체가 부정의 오류를 범하기 때문에 자신의 주장이 옳다고 확정할 수 없다고 논박한다. 따라서 원효는 4분설이 성립할 수 없음을 논증하면서 소극적 간접적으로 진나의 3분설을 옹호한다는 점에서 법칭과 식의 구조에 대한 인식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이다.’와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무상이다.’라는 이율배반의 문제에 대해 법칭은 개념과 개념의 포함관계나 논리적 관계라는 관점을 가지고 접근할 때는 항상 오류를 범할 수 밖에 없음을 간파하고, 이러한 이율배반의 문제를 존재와 존재의 본질적 결합관계라는 존재론적 관계라는 관점에서 해결하고 있다.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이다.’라는 성론사의 논증식에 사용한 논증인 자체가 ‘일체는 무상’이라는 세계관에 입각한 불교도의 입장에서 보면 불공부정의 논증인이 되어 그 주장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없다고 원효는 비판한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들리는 것이라는 논증인’ 그 자체가 부정인이 아니라고 옹호하는 성론사의 에피고넨에 대해 ‘들리는 것이라는 논증인’이라는 메타언어로 구성되는 논증식 자체도 부정의 오류를 피할 수 없다고 원효는 비판한다. 따라서 법칭은 이율배반의 문제를 존재론적 관점에서 이율배반의 해결을 천착해 들어갔다면 원효는 이율배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언어게임이나 논리게임은 그 차원을 달리하면서 계형(type)을 높여가더라도 결국에는 불공부정(不共不定) 즉 주장의 타당성을 확정할 수 없는 불확정의 원리가 관철된다고 보았다는 점에서 법칭과는 다른 길을 걸어갔다고 볼 수 있다. Both the Dharmakiti and Wonhyo are the thinkers of Mahayana Buddhism. It is the Mahayana that realizes that the wagon which carries to the world of enlightenment from the world of ignorance is his own mind which is devoted to the three branches, not the three branches of light, The Dharmakiti saw the Mahayana as the right perception of man himself, and Wonhyo has the one Mind in that he grasped it as his own mind. The Dharmakiti states that recognition, as an epochal whole in the ultimate dimension, disappears as soon as it is born, but it appears to be objectively present in the secular level, the world of foolish people who are deceived by obscurity. Wonhyo argues that the two arguments are constituted by the same argumentator as "the fact that the incremental is included in the heart, so it does not need the symptom, He argues that the argument of the expression itself can not be determined to be right because it makes an error of the wrong. Therefore, Wonhyo argues that the quadrature can not be established, and advocates the triad of Dignaga indirectly and negatively Dharmakiti is about the inclusion of concepts and concepts, and the logical relationship, which means that they always make mistakes when approaching them. And the problem of this kind of problem is solved in terms of the ontological relation that is the essential combination of existence and existence. From the Buddhist viewpoint, which is based on the world view that "All flows," the argument used in the argumentation of the Sungrang's claim that "the sound is heard is resident" is a demonstration of unjustified injustice. Wonhyo criticizes that he can not. The argumentation itself consisting of the meta-language of 'the argument that it is heard' about the epigonen of the Vaisesika who advocates 'the argument that it is heard' of the criticism itself is not the negation. Therefore, if Dharmakiti has sought to resolve the problem of antinomy from the ontological point of view, Wonhyo will not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antinomy even if the language game or logic game increases its type while varying its level, It can be said that the principle of indeterminacy which can not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laim has been carried out.

      • KCI등재
      • KCI등재

        < 기획논문 2 > 불교와 서양사상의 접점과 그 변용 :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 사상의 접점(3) -지각의 종류와 구조를 중심으로

        권서용 ( Seo Yong Kw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3

        논문은 다르마키르티의 사유를 화이트헤드의 사유와 비교한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이 지향하는 것은 다르마키르티의 지각과 화이트헤드의 지각의 유사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비실체적 존재론에 기반 하여,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는 지각의 이론을 구성한다. 달리 말하면 다르마키르티는 무아와 연기에 기반 하는 한편, 화이트헤드는 유기체와 과정에 근거한다. 또한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는 현상적으로 기술된 지각이 아니라 인과적으로 설명된 지각 이론에 기반 한다. 현상적 기술은 선재하는 주체가 대상을 파악하는 주객인식론이다. 인과적 설명은 주체가대상에 의해 구성된다는 객주인식론이다. 다음으로 다르마키르티에 의하면 지각은 4종으로 구성된다. 즉 감관지각, 의근지각, 자기인식, 요가행자의 직관이다. 화이트헤드에 따르면 지각은 2종으로 구성된다. 즉 인과적 효과성의 양태로서의 지각과 현시적 직접성의 양태로서의 지각이다. 다르마키르티의 4종의 지각은 화이트헤드의 2종의 지각에 대응된다. 특히 다르마키르티의 4종의 지각 가운데 의근지각은 화이트헤드의 현시적 직접성의 양태로서의 지각에 상당한다. This paper compares Dharmakirti``s thought with Whitehead``s thought. Specificall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y between Dharmakirti``s perception and Whitehead``s perception. Standing on the basis of non substantial ontology, Dharmakirti and Whitehead establish the theory of their perception. In other words, Dharmakirti stands on the basis of Anatma and dependent origination, meanwhile Whitehead stands on the basis of organization and process. Next, Dharmakirti and Whitehead have not phenomenally described the perception, but causally explained the perception. Phenomenal description is subject-object epistemology that the existed subject apprehended the object. Causal explanation is object-subject epistemology that the subject is composed of object. Next, accordingly to Dharmakirti, perception is composed of the forth kinds: sense perception(indriya pratyaksa), mental perception(manasa pratyaksa), self cognition(svasamvedana pratyaksa), mystic perception (yogi pratyaksa). Accordingly to Whitehead, perception is composed of the two kinds: Perception in the mode of causal efficacy, perception in the mode of presentational immediacy. Dharmakirti``s forth kind`` perception corresponds to Whitehead``s two kinds`` perception. Especially, among the forth perceptions of Dharmakirti, mental perception(manasa pratyak.a) corresponds to Whitehead``s perception in the mode of presentational immedi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