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왜관요의 백토구청(求請)에 관한 연구

        권상인(Sang-in Kwon),이기주(Ki-joo Lee) 국제차문화학회 2020 차문화ㆍ산업학 Vol.47 No.-

        본 연구는 대마번(藩)이 1639년 부산왜관에 사기번조 가마(窯)를 설치한 해로부터 1717년 폐쇄하기까지 80년 동안 사기를 번조하기 위한 각종 백토를 동래부에 구청하여 지급받은 사실에 관한 내용이다. 특히 1670년대부터 구청해온 사기토는 조선초기로부터 민간요에서 사발을 만들 때 사용했던 점토가 아니고 고령토질 백토에 집중되어 있었다. 필자는 왜관요에 지급된 백토의 수량이 지나치게 과다하였던 것에 주목하여 고찰한 결과 현재까지 학계에 알려진 역사적 내용과는 달리 대마번이 왜관 안에 번조 가마를 만든 것은 차완번조를 빙자하여 우수한 조선산 백토를 일본으로 가져가기위한 수단으로 파악하였다. 양질의 조선백토가 왜관에 대량으로 들어간 17세기후반은 큐슈 이마리(伊万里)주변지역의 가마에서 생산된 백자를 바탕으로 한 채색자기가 유럽으로 수출되던 최성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논증하였다. 구청백토수량에 관한 일본기록은 전무함으로 조선기록인『사기번조유초』『왜인구청등록』의 원전기록을 재해석하므로 이상과 같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당시 왜관요의 시설규모 및 운영상황, 왜관요 출토 도자기파편을 분석한 결과 왜관요에 지급된 대부분의 백토는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사실을 논술한 내용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fact that Tsushima built pottery kilns in Waekwan, Busan in 1639 and then requested Dongnaebu to offer a variety of porcelain clay needed to burn the pottery for about 80 years until closing the Waekwan kilns in 1717. The amount of porcelain clay requested was relatively small from the time of making kilns to the 1660s. However, the amount showed a severalfold increase from the 1670s. Especially since the 1670s, the ceramic clay requested was mainly white porcelain clay with kaolin ingredients.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amount of white porcelain clay was sent to Waekwan was excessively huge. As a result, unlike the historical facts known so far, the reason why the Tsushima intended to make pottery kilns in Waekwan seems to use excellent Joseon white porcelain clay on the excuse of making Chawan. The late 17th century was the golden age of the coloring porcelain produced in kilns around Imari, Kyushu and exported to Europe.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huge amount of high-quality white clay of Joseon was sent to Waekwan. There was no Japanese record on the over-requested white porcelain at that time. We found these new facts by reinterpreting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records of 『WaeinGucheongDungrock(倭人求請謄錄)』and 『SagiBunjoYucho(沙器燔造類抄)』. We also found that most of white clay was sent to Japan through Waekwanyo. This is supported by the analyses about the scale of facilities, operational situation of Waekwanyo, and ceramic fragments excavated from Waekwanyo.

      • KCI등재

        倭館窯에 관한 小考

        권상인(snagin gwon) 국제차문화학회 2016 차문화ㆍ산업학 Vol.32 No.-

        본 연구는 임진·정유왜란 이후 대마도번이 일본 다도계에서 명품으로 인정받아 고가로 매매되던 조선의 도자기 사발을 독점하여 일본으로 수출하기 위한 대조선 통상외교 내용을 년대별로 정리하였다. 논술의 근거는 왜란 이후 기록된『변예집요』『왜인구청등록』『통신사등록』에서 필요한 내용을 발취하고 도예가적 입장에서 원문을 의역하였으며 도자기 제작의 기술적 내용들은 필자의 의견을 추가하여 논술하였다. 논술내용은 1611년부터 1639년까지를 전기로 분류하여 조선차완 구청기간으로 설정하여 서술하였고 후기는 대마도번이 1644년 부산 왜관 내에 도자기요를 설치한 이후부터 1692년까지로 지정하였으며 도자기용 점토종류와 성분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왜인구청등록』에서는 주로 왜관요의 개요시기와 구청해 온 점토의 종류와 수량 및 생산품의 조형성에 대하여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 『통신사등록』에 기록된 대마도번의 1폭5조 조치는 왜관요에서 생산된 차완을 독점하여 일본시장에 매매하기 위한 수단이었음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정호차완에 관한 연구

        권상인(Sang-in Kwon),이기주(Ki-joo Lee) 국제차문화학회 2017 차문화ㆍ산업학 Vol.36 No.-

        정호차완의 생산지로 알려져 온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두동에서 이조초기 민간요가 성행했던 도요지를 경남발전연구원에서 시굴하였다. 본 연구는 이 시굴에서 수습된 도자기 파편가운데 정호차완 종류로 분류할 수 있는 자료들을 선별하여 분석하고 이곳이 정호차완의 생산지임을 확정하였으며 시굴을 통하여 확인 된 소성 가마 구조가 정호차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규명한 내용이다. 특히 웅천도요지 일대에 천연적으로 매장되어있는 웅천고령토와 정호차완의 태토가 동일한 재료라는 사실을 정량분석으로 확인하였고 정호차완의 외형상 미학적 특징은 웅천고령토를 태토로 사용하였을 때 그 표현이 가능하다는 사실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 였다. 정호의 조형적 특징은 거친 유약표면, 색상, 균열, 핀홀, 매화피, 소성방법, 죽절고대, 물레손자국 들이다. 이러한 겉모양의 요소들은 도요지에서 생산되는 웅천고령토가 본질이 되고 탁월한 한 도공의 차별화된 도예기법이 어우러져 공정과정에서 무작위로 조형 되었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생산연대에 대하여는 일본의 기록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정호의 도예적 조형미를 동양철학의 용어개념으로 논문 각 장의 곳곳에서 간단 명료하게 설명하여 그 아름다움을 이해 할 수 있도록 논술하였다. The G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 prospecting surveyed a Toyoji in Du-dong, Changwon-si, Gyeongnam where Mingan-yo was prevalent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and analyze those material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Jhung Ho Tea bowls among the fragments of ceramics collected in this prospecting survey. The relevant Toyoji was confirmed as a place of production of Jhung Ho Tea bowls and the fire kiln structure identified through the prospecting survey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Jhung Ho Tea bowls. In particular, the fact that Ungcheon kaolin that is naturally buried in the region around Ungcheon, Toyoji is the same material as the clay of Jhung Ho Tea bowls was confirm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fact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ppearance of Jhung Ho Tea bowls can be expressed only when Ungcheon kaolin was used as the clay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The formative features of Jhungho are rough glaze surfaces, color, cracks, pin-holes, plum flowers, firing method, bamboo node-like shape, and wheel-thrown finger mark traces. The fact that these elements of appearances were randomly 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Ungcheon kaolin was the essence and the differentiated pottery technique of an excellent potter was harmonized with Ungcheon kaolin was identified and the production age was described based on the analysis of Japanese materials. In addition, the ceramic formative beauty of Jhungho was briefly and clearly described at here and there of each chapter of this paper with the concepts of terms of oriental philosophy so that the beauty of Jhungho can be understood.

      • KCI등재
      • KCI등재

        어머니의 사춘기 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권상인(Kwon, Sang In),양지웅(Yang, Ji Wo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사춘기 자녀 양육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그 경험이 주는 의미를 깊이 있게 탐색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사춘기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세 명의 어머니이며, 2017년 6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심층 면담 및 추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삶에서 사춘기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참여자들에게 어떻게 경험되고 어떤 의미로 구성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방법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어머니의 사춘기 자녀 양육경험은 ‘맞닥뜨림’, ‘양육 가치관’, ‘이해의 과정’, ‘변화된 관계’라는 핵심적인 의미를 구성하고 있었다. 특히 어머니의 사춘기 자녀 양육경험을 관통하는 가장 핵심적인 주제는 이해의 과정이며 그 이해의 과정을 통해 어머니와 자녀라는 역할에 국한된 관계가 아니라 함께 성장하고 살아가는 협력자와 지지자로서 두 사람이 관계가 변화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밖에 부모교육 및 청소년 교육 상담에 관한 연구결과의 시사점,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ly analyze mothers’ experiences of parenting children in puber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volved three mothers who had experiences of parenting teenage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how participants experienced and organized the meanings of experiences of parenting their teenage children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e core meaning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encountering children’s puberty , ‘parenting value , ‘understanding process , ‘changed relationship . In particular, the most important theme that penetrates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a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articipants have grew into a cooperator and a supporter wit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parent education and adolescent counseling,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획 추출방식에 의한 문자인식

        조형제,권상인 東國大學校 1995 東國論叢 Vol.34 No.-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recognition system for printed multi-front Korean, Chinese and English characters. When a character is applied to the system, strokes composing the character are extracted and a set of fuzzy values are assigned to them. At the Matching stage, a fuzzy distance is used to compute the similarity between and applied character and a reference character chosen from several candidate ones. If the lowest distance for the candidates exceeds to a given threshold, the input character is registered to the references as a new character. Otherwise, the system outputs a code for the characte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fuzzy approach is quite effective to recognize the printed multi-font characters. The recognition accuracy for 14547 multi-font multi-national characters is 96.83%.

      • KCI등재

        프로프라놀롤 치료를 시행한 유아모세혈관종 1예

        이은경,정호경,김남주,이민정,보상,상인,Eun Kyoung Lee,Ho-Kyung Choung,Nam Ju Kim,Min Joung Lee,Bo Sang Kwon,Sang In Khwarg 대한안과학회 2010 대한안과학회지 Vol.51 No.11

        Purpose: To report a case of periorbital infantile capillary hemangioma treated with propranolol. Case summary: A 6-month-old girl visited our clinic for a mass on the right upper eyelid, which had been present since birth. A dome-shaped, red-purple colored mass occupying almost the entire right upper eyelid was observed, and overlying branch-shaped telangiectases were also detected. The visual axis of the right eye was partially obscured, due to the ptotic eyelid, and her ability to fix and follow was poor in the right eye.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infantile capillary hemagioma. Because amblyopia in her right eye was suspected, treatment with propranolol was initiated. After 2.5 months of propranolol treatment, the hemangioma decreased in size and volume dramatically, changed from red-purple to light red color, and softened. The ptosis of the right upper eyelid improved, as well as the ability of the right eye to fix and follow. No significant adverse effects (e.g. hypotension, bradycardia, hypoglycemia, bronchospasm, or elevated liver enzymes) were observed, except transient QTc prolongation during cotreatment with ibuprofen, due to an upper respiratory infection. Conclusions: Propranolol should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option for periorbital infantile capillary hemangioma. Further clinical studies are required to establish the optimal guidelines and long-term outcome.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1):1513-15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