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평가에 대한 자아표현욕구 충족성과 소비비전의 역할

        권민택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소비자들은 제품의 획득이라는 기능적인 동기이외에 심리적인 측면의 다양한 쇼핑동기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구매의사결정과정 모델들은 쇼핑동기가 구매로 연결되기 위해 제품 속성가치와 중요도에 대한 통합적 판단을 기초로 하여 제품을 평가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직접적인 경험이 없는 제품에 대한 구매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 제품 속성이나 제품 사용의 개인적인 신념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소비비전을 형성하여 적합한 대안을 선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제품평가 과정을 개인적·사회적 소비비전 경로로 나누어 소비자 쇼핑동기 요인이 자아표현욕구 충족성을 통해 소비자로 하여금 소비결과를 상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소비비전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 검토와 실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모험쇼핑, 만족쇼핑 요인이 개인적 자아표현욕구 충족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쇼핑, 역할쇼핑 요인이 사회적 자아표현욕구 충족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사회적 자아표현욕구 충족성은 각각 개인적, 사회적 소비비전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개인적, 사회적 소비비전은 브랜드 평가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When consumers make a purchase decision while having no direct experience, insufficient information or even when they purchase a product they are familiar with, they choose the alternative they believe suits them the best, thereby shaping consumption visions. Therefore, this research divides the process of forming an brand evaluation for a shopping center into personal and social consumption vision categories. First, it was examined that individual adventure shopping, gratification shopp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sonal self-expressive need fulfillment. Second, social shopping, role shopping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elf-expressive need fulfillment. Third, it was concluded that consumer self-expressive need fulfill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consumption vision when consumers imagine the outcome of a purchase. Fourth, it was learned that personal/social consumption vi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evaluation.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many implications for marketers and researcher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dea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스마트폰 디자인 만족속성과 소비자 감동- 삼요인 소비자 만족 모델의 적용 -

        권민택,나광진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1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product attributes fall into three factors (basic, performance, and excitement factors) which asymmetrically affect overall satisfac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offers a categorization of attribute satisfaction with smartphone design by applying Three Factor Model of Satisfaction. In order to detect the asymmetric relationships between the smartphone design satisfaction attributes and overall satisfaction, one set of dummy variables was created and used to quantify satisfiers, while another set was created to quantify dissatisfiers. Based on this recod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quantify the asymmetric effects. The research showed that among the variables whose smartphone design satisfaction attribut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overall satisfaction, the ones with high levels of satisfaction were color, function, usability, and emo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analyzed that five attributes with low satisfaction levels - form, color, texture, function and usability -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form attribute and texture attribute are identified as basic factors, color attribute, function attribute, and usability attribute as performance factors, emotion attribute and value attribute as excitement facto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arketers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satisfaction attribute which leads to the increase in consumer delight, and the decrease in the overall dissatisfaction, and then utilize them to improve product design. 최근 제품속성(기본, 실행, 감동요인)이 제품의 전반적 만족도에 비대칭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폰 디자인 만족속성을 분류하기 위하여 삼요인 모델을 이용하여 구조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디자인 만족속성 변수를 만족수준에 따라 더미변수화 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더미변수와 전반적 만족도의 비대칭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의 디자인 만족속성이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속성 만족도가 높은 변수는 색상, 기능, 사용성, 감성, 가치의 5개 속성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만족도 수준이 낮은 형태, 색상, 질감, 기능, 사용성의 5개 속성이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만족속성 유형을 분류하면, 기본요인은 형태, 질감, 실행요인은 색상, 기능, 사용성, 감동요인은 감성, 가치 속성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마케터는 소비자 감동을 유발하는 속성과 불만족 감소에 기여하는 속성을 파악하여, 제품 디자인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브랜드의 경험적 단서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 - 항공브랜드 자아표현성과 자아개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권민택,이호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최근 소비자의 감성적인 측면이 중요시 되면서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심리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브랜드 애착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브랜드로부터 사람에게 느낄 수 있는 정서적 유대감과 결속감을 인식하기 때문에 소비자 경험 단서는 소비자-브랜드 간의 정서적 유대관계의 기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브랜드 간의 정서적 유대관계에 있어 소비자의 개인적· 사회적 자아표현 욕구를 충족시키는 경험(기능적, 물리적, 인적) 단서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고, 자아표현성과 브랜드 자아개입을 매개로 하여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기능적 단서는 소비자의 개인적· 사회적 자아표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단서는 개인적 자아표현성에 그리고 인적 단서는 사회적 자아표현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개인적· 사회적 자아표현성은 이어서 브랜드 자아개입 수준을 증가시키고 자아개입은 브랜드 애착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 경험관리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Since the consumers' emotional aspect has been getting more important recently, the importance of brand attachment formed by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between consumer and brand is being emphasized. The consumers' experience clues can be a fundamental of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because consumers perceive emotional fellowship and solidarity from brands. Thus this research suggests the structural system of experience clues(functional, mechanic, humanic clues) satisfying personal, social self-expressive need fulfillment and verifies self-expression mediating brand engagement which exerts an effect on brand attachment. The result shows that functional clues of services influence to personal, social self-expressive need fulfillment. Mechanic clues influence to personal self-expressive need fulfillment, and humanic clues influence to social self-expressive need fulfillment. Also personal, social self-expression influence to brand engagement. And brand engagement is concerned with the notion that consumer can be involved, occupied, and interested in the brand. Strength of brand engagement is more likely to contribute to the intensity of brand attach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variou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in consumer experience management.

      • KCI등재

        유통경로 거래비용의 개념적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권민택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경영교육연구 Vol.27 No.3

        Transaction cost analysis, a way to specify the distribution channel governance structure, sets the analysis unit of economic exchanges as transaction and proposes in-company transaction is more favorable than the transaction through market exchanges to minimize transaction cost. It addresses that the transaction structure of the company can be varied according to whether to have specific ass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swer the questions such as; As what is the transaction cost defined among the concepts in the transaction theory proposed by Williamson(1975)? What do the previous studies theoretically describe the transaction cost like? What do the previous studies manipulatory define the asset specificity which is a core concept of transaction cost theory. When reviewing the concept of manipulatory definition of asset specificity and the concept of transaction cost, the researchers of the previous studies seem to use the concept of transaction cost proposed by Williamson(1975) without modification.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they proposed the causes of the transaction cost without defining transaction cost precisely. Therefore, it is needed to find out appropriate transaction cost analysis method for our economic structure by applying transaction cost theory to various industrial structures. The transaction cost in the transaction theory should be defined more precisely and more concretely, as in the theory it is inclusively proposed as the cost incurred by the transaction. 기업은 거래에 수반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거래를 하고자 하며, 가장 효과적인 지배구조를 탐색하게 된다. Williamson(1975)은 거래의 지배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자산특유성을 들고, 자산특유성의 중요성에 따라 지배구조가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동안 거래비용분석의 개념을 이용하여 유통경로 지배구조 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수행되어져 왔지만, 거래비용과 관련된 지난 30년간 발표된 자산특유성 개념의 분석에 의하면, 대부분의 연구들이 측정항목과 성과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통구조의 지배형태를 설명하는데, 거래비용분석의 핵심개념이라 할 수 있는 자산특유성(asset specificity)이 왜 중요한지를 재조명해보고, 기존 연구결과에서는 자산특유성 개념을 어떻게 이론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조작적 정의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재검토하였다. 또한 Williamson(1991)이 정의한 개념과 기존의 실증연구결과가 일치하는지를 검토하고, 개념간의 조작적 정의가 일치하지 않다면, 개념상의 조작적 정의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서 자산특유성과 최종성과변수와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거래에 수반되는 거래비용을 자산특유성으로 보고 자산특유성의 정도에 따라 경로구성원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며 지배구조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래비용인 자산특유성을 투자규모의 정도로 측정하지 않고 경로구성원의 체화된 지식, 대체불가능성, 매몰원가화 정도 등으로 유형의 자산보다는 무형의 자산으로 측정하고 있다. 이는 Williamson(1985)이 제시한 자산특유성의 개념적 정의와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산업구조나 지배형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에서 인플루언서와 팔로워 간의 신뢰 구축

        권민택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2

        Recently, collaborations between influencers and brands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Previous research has ignored the consequences of promotional actions on the credibility of influnecer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followers.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perceived congruence between influencers and products, as well as the impact of paid communication of content posted by influencers, on the credibility of influencers, attitudes towards influencers, and intentions to continue following them.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model,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343 Chinese followers of the social media food influencer, Dianxi Xiaoge. Firstly, followers’ perceived congruence between influencers and products had a negative effect on paid communication in social media influencer content. Secondly, followers’ perceived congruence between influencers and prod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credibility and attitude towards influencers. Thirdly, followers’ perception paid communic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redibility and attitude towards influencers. Fourthly, the credibility of the influenc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s the influencer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following. Finally, the follower’s attitude towards the influenc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following the influencer. This research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influencers and brands, which can help enhance followers’ experiences when exposed to promotions on social media. 최근 인플루언서와 브랜드 간의 협업이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홍보활동이 인플루언서에 대한 신뢰와 팔로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가 게시한 콘텐츠의 인플루언서-제품 간 지각된 일치성과 유료 커뮤니케이션이 인플루언서에 대한 신뢰를 통해 인플루언서에 대한 태도와 지속적 팔로잉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모델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소셜미디어 푸드 인플루언서 ‘전서소가’의 팔로워 343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 콘텐츠에서 인플루언서와 제품 간 팔로워의 지각된 일치성은 유료 커뮤니케이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팔로워의 인플루언서와 제품 간 지각된 일치성은 인플루언서에 대한 신뢰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팔로워의 유료 커뮤니케이션은 인플루언서에 대한 신뢰와 인플루언서에 대한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플루언서에 대한 신뢰는 인플루언서에 대한 태도와 지속적 팔로잉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플루언서에 대한 팔로워의 태도는 지속적 팔로잉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프로모션에 노출되었을 때 팔로워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인플루언서 및 브랜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ERP시스템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권민택,최경아,임용환,박영규 한국경영교육학회 2008 경영교육연구 Vol.51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much decisive ERP system is on firms. The firms for analysis among which are now in use of the system are target firms in terms of 215 model firms enforcing in Korea. I shall find out factors which are influential in ERP system centered on hypothesis based on a study model. The core in here is as follows. Firstly, I shall develop a study model through present literature concerning this paper. Secondly, I try to find out five hypothesis focused on a study. model. And next, I collected data through targeted firms using ERP system. And next, in terms of analysis of collected data, I tried to check up and prove out my hypothesis. Finally, based on analyzed results I shall discuss the outcomes resulted from my study, and show up suggestions as well as limitation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CEO's assistance, competition, maturity of information system, innovation and technical reciprocity, I shall deal with 5 variables consider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s,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s and technical environments. 3 types like user's satisfaction, system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result will be under check to measure the progress of ERP system. The achievement in this paper appears significant in CEO's assistance, competition, innovation, whereas maturity of information system and technical reciprocity is not so affirmative. This study is under aiming to help settle down information centered atmosphere successfully in terms of capturing influential factors in firm-circumstances which are decisive in the achievement of ERP system. 본 연구는 ERP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국내에서 ERP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기업 중에서 215개 기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모형을 토대로 설정한 연구가설의 검증을 통하여, ERP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와 관련된 각종 문헌검토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연구모형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5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셋째, 기존문헌을 근거로 변수의 특정도구를 개발하고, ERP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기업체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넷째,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기초로 연구결과를 논의하고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조직환경, 정보시스템, 기술환경을 고려하여 구체적으로 최고경영자 지원, 경쟁강도, 정보시스템 성숙도, 경영혁신, 기술호환성의 5개 변수를 사용하였다. ERP시스템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자 만족도, 시스템 만족도, 조직성과의 세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최고경영자 지원, 경쟁강도, 경영혁신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나, 정보시스템 성숙도와 기술호환성은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ERP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환경들을 중심으로 그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정보화가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의료서비스 정보처리에 대한 희망의 역할에 관한 연구

        권민택,김혜경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의 관여수준과 감정, 특히 ‘희망’이라는 긍정적인 감정이 의료기관 선택을 위한 정보처리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설득적 메시지를 처리함에 있어 소비자들은 항상 객관적인 처리과정을 거치는 것은 아니며, 때로는 어떤 동기로 인해서 현재의 태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특별히 지향하는 결론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평가하고 생각하는 편향된 정보처리과정에서 희망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소비자들이 의료기관 선택에 고관여일때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정보처리 과정을 거치는 반면, 저관여일때는 단순한 의사결정을 이용한 휴리스틱적이고 자동적인 정보처리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병치료에 대한 희망수준이 높을수록 소비자들은 의료기관과 관련된 정보를 탐색하고 처리함에 있어 긍정적인 정보를 찾으려는 동기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희망수준이 높을수록 소비자들은 의료기관과 관련된 정보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정보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강화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들은 관여수준이 높을 때 일반적으로 체계적이고 확장적인 정보탐색을 하므로 관여수준이 낮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정보탐색 길이가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희망수준이 높을 때에는 희망수준이 낮을 때에 비해 정보탐색 길이가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has explored the effects of a medical consumer’s involvement and hope,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 selecting a medical institution. In particular, in processing a persuasive message, consumers do not necessarily have a objective information processing.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role of ‘hope’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which shows a tendency toward on a specific conclusion by unchanging current attitude by a motive.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in selecting a medical institution a consumer in high involvement shows a systematic and strategic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consumer in low involvement shows automatic information processing. Second, the higher a consumer’s level of hope in disease treatment, the more increasing the degree of motivation which is inclined to find a positive information in searching information related to a medical institution. Third, as a consumer’s level of hope is high, he/she gives a consequence to positive information in searching a medical institution and strengthens his/her inclination to interpret the information toward positive direction. Lastly, in general, when the involvement is high, consumers search information systematically and extensively. Therefore the term of information search is lengthened compared with a low-involvement situation. In addition, when a consumer’s level of hope is high, the term of information search is shortened compared with a low level.

      • KCI등재

        브랜드 애착유형과 관계촉진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브랜드 개성의 역할

        권민택,나광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1

        최근에 소비자의 감성적인 측면이 중요시되면서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장기적인 관계구축에서 브 랜드 애착이 차지하는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소비자는 브랜드를 자신과 상호작용하 는 관계의 파트너로 지각하고 브랜드에 의미를 부여하고 정서적 관계를 이어가기 때문에 관계촉진 요인(만족, 신뢰, 몰입)과 브랜드 개성은 소비자-브랜드 유대관계의 기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애착유형이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관계에 있어 만족이나 신뢰, 몰입 등과 같은 관계촉진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의 애착유형과 관계촉진요인 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의 애착유형은 브랜드에 대한 관계촉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회피와 근심수준이 높은 소비자는 낮은 소비자보다 브랜드에 대한 만족과 신뢰, 몰입 정도가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근심과 회피 성향을 갖는 소비자는 열정적인 개성의 브랜드에 대한 만족, 신뢰, 몰입 수 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낮은 근심과 회피 성향을 갖는 소비자는 성실성 개성의 브랜드에 대한 만족, 신뢰,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With recent emphasis on consumer's emotional aspect, great importance is being placed on the role of brand attachment in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nd brand. As a consumer recognizes a brand as a partner interacting with himself, imparting meaning to and keeping a relationship with it, the relationship promotion factors (such as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and brand personality can become the foundation of consumer-brand ties.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s at what kind of effect the type of consumer's attachment has on the relationship promotion factors such as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nd brand. It also examines at how the brand personality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consumer's attachment and the relationship promotion factor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type of consumer's attachment has an influence on the brand relationship promotion factors. Consumers with high level of avoidance and anxiety, compared to the ones with lower level of the same, are shown to have lower degree of satisfaction and trust for the brand. Further, consumers with high tendency toward anxiety and avoidance are shown to display high level of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for the brand with excitement personality.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ith low tendency toward anxiety and avoidance are shown to exhibit high level of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for the brand with sincerity pers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