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유역 하천의 수질예측을 위한 SWAT모형과 WASP모형의 연계운영

        권명준,권순국,홍성구 한국농공학회 200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5 No.2

        Predictions of stream water quality require both estimation of pollutant loading from different sources and simulation of water quality processes in the stream. Nonpoint source pollution models are often employed for estimating pollutant loading in rural watersheds. In this study, a conjunctive application of SWAT model and WASP model was made and evaluated for its applicability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Runoff and nutrient loading obtained from the SWAT model were used for generating input data for WASP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mulated runoff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and indicated reasonable applicability. Loading for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predicted by WASP model also showed a reasonable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It is expected that stream water quality could be predicted by the coupled application of the two models, SWAT and WASP, in rural watersheds. 농촌유역 하천의 수질예측을 위해 농업비점원모형인 SWAT 모형과 하천수질예측모형인 WASP 모형의 연계운영을 실시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SWAT 모형과 WASP 모형의 연계운영을 위하여 SWAT 모형의 소유역 출구점에서의 유출량과 영양염류 유출에 관한 출력자료를 이용하여 WASP모형의 입력자료를 생성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생성된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WASP 모형을 구동하여 대상유역에 대한 일별 수질예측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2. 모형의 보정을 통하여 유출량은 일별 유출량에 대한 상관계수 0.70 ~ 0.82 수준이었으며, SWAT모형에 대한 보정 결과 영양염류의 결정계수는 0.55 ~ 0.89 수준이었다. WASP 모형의 보정에서는 결정계수가 BOD 0.99, 영양염류 0.73 ~ 0.94 수준이었다.3. 보정과정을 통해서 확립된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 전체에 대하여 SWAT 모형과 WASP 모형을 연계 운영하여 적용한 결과 비교적 타당한 결과를 도출해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염부하량의 경우 연계운영의 적용결과 비교대상기간에 BOD의 경우 결정계수(R2)는 0.97로 실측치에 매우 근접하게 나타났다. NO3-N의 경우는 0.62로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었고, T-N은 모의치와 실측치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결정계수가 0.73으로 NO3- N보다 실측치에 더 근접하게 나타났다. PO4-P의 경우에는 시기별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지만 발생량 자체가 매우 적으며 결정계수가 0.87로 실측치와 매우 근접하여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T-P의 경우는 결정계수 0.74로 나타나 실측치와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SWAT 모형을 통하여 기상과 작물생장, 토양 및 토지이용 등과 관련을 맺고 있는 비점원 오염부하량을 적정하게 추정하고, WASP 모형을 통하여 점오염원에 의한 오염과 하천 본류에서의 오염물질의 거동을 예측할 수 있었던 바, 강우유출 및 유사유출과 관련된 변수에 대하여 추가적인 보정연구가 뒷받침된다면 두 모형의 연계운영을 통해서 농촌지역에서 적정한 수준으로 하천수질예측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농촌유역 하천의 수질예측을 위한 SWAT모형과 WASP모형의 연계운영

        권명준 ( Kwun Myeong Jun ),권순국 ( Kwun Soon Kuk ),홍성구 ( Hong Seong Gu ) 한국농공학회 2003 韓國農工學會誌 : 전원과 자원 Vol.45 No.2

        Predictions of stream water quality require both estimation of pollutant loading from different sources and simulation of water quality processes in the stream. Nonpoint source pollution models are often employed for estimating pollutant loading in rural watersheds. In this study, a conjunctive application of SWAT model and WASP model was made and evaluated for its applicability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Runoff and nutrient loading obtained from the SWAT model were used for generating input data for WASP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mulated runoff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and indicated reasonable applicability. Loading for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predicted by WASP model also showed a reasonable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It is expected that stream water quality could be predicted by the coupled application of the two models, SWAT and WASP, in rural watersheds.

      • SWAT-WASP 모형을 이용한 농촌유역의 수질예측에 관한 연구

        권명준 ( Kwun Myeong Jun ),권순국 ( Kwun Soon Kuk ) 한국농공학회 199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1999 No.-

        For the assessment of the level of stream pollution, SWAT -WASP model linked with GIS was applied to a representative rural watershed and evaluated for its applicability through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using observed data. Using daily water yields, sediment yields and nutrient discharge simulated by SWAT model, WASP input file was build. Point source pollutant and water quality change in stream was considered in WASP model. For the model application, digital maps were constructed for watershed boundary, land-use, soil series, digital elevation, and topographic data of Bok-Ha watershed using GHASS. The model applic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simulated runoff was in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and indicated reasonable applicability of the model.

      • SWAT모형에서의 유출량에 대한 HRU의 영향

        권명준 ( Kwun Myong Jun ),권순국 ( Kwun Soon Kuk ) 한국농공학회 199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1998 No.-

        In many circumstances, it is infeasible to simulate the daily water yield in every land use or soil type of the watershed or river basin. These situations can be simulated in“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using a concept called“hydrologic response units”(HRU's) within a topographically-defined subbasin. Soil water balance, crop growth, nutrient cycling management, etc., are simulated for each HRU. For the watershed of Bok-ha river, the effect of HRU's in SWAT has been studied in respect to water yield. The optimum number of HRU's was 23 based in data capacity and correlation coefficient.

      • 얼굴 영상 분석을 위한 다중 모달 딥러닝 모델 연구

        손민석,권명준,김윤지,김창익 한국통신학회 2022 정보와 통신 Vol.39 No.5

        사람의 얼굴을 분석하면 신원을 특정하거나 기분,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는 영상 내의 얼굴을 분석하기 위해 얼굴 영역을 분할하는 딥러닝 기반의 기법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휴먼 생성 기술이 주목 받으면서, 얼굴 영역 분할, 깊이, 법선 벡터 등의 정보를 분석하는 기반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언급된 다중 모달정보를 분석하는 기법들이 제안되고있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휴먼 기술 발전에 따른 얼굴 영상 분석 기술의 수요에 맞추어 얼굴 영상에서 여러 분석 정보를 추출하는 새로운 다중 모달 딥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실시간으로 얼굴 영상을 분석할 수 있는 속도를 가지면서, 얼굴 영상 분석 정확도(mIoU) 측면에서 높은 성능을 보인다.

      • KCI우수등재

        카메라 시점 변환을 이용한 전이 기반 적대적 공격 기법

        김희선,권명준,변준영,김창익 대한전자공학회 202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9 No.7

        An adversarial attack is a technique to mislea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to wrong predictions by adding human-imperceptible noises to clean images. When access to a target model is prohibited, the attacker should rely on the transferability of adversarial examples. Transferability refers to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neural networks that an adversarial example crafted from one network is likely to fool other structurally different networks as well. In this setting, the adversary generates adversarial examples using a local source model and expects these images to remain adversarial for an unknown target model. This paper proposes a Camera Viewpoint Transformation to improve the transferability of adversarial examples. Th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dversarial examples should remain adversarial from any point of view. The Camera Viewpoint Transformation in the attack prevent the generated images from overfitting to the source model and hence create stronger adversarial images. Consequently, the Camera Viewpoint Transformation method showed 5.4p% superior attack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imilar existing methods. Finally, we analyze in detail the reasons for this performance improvement in terms of the number of image transformations and their randomness.

      • KCI우수등재

        적대적 공격의 전이성 향상을 위한 이미지 왜곡 기법

        손민지,권명준,조승주,김창익 대한전자공학회 202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9 No.10

        합성곱 신경망은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지만 눈에 띄지 않는 잡음이 추가된 적대적 예제에 취약하다. 적대적 예제에 대한 취약성은 보안, 안전이 중요한 분야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신경망이 상용화되기 전 취약성을 확인하여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적대적 공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타겟 모델의 내부 구조가 숨겨져 있는 상황에서는 공격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소스 모델을 사용하여 적대적 예제를 생성하고, 그 이미지가 타겟 모델도 교란하기를 기대하는 전이성 기반 공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격의 전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금까지 제안된 입력 다변화 방법은 모든 픽셀에 같은 변환을 가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전이성 향상을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입력 이미지의 각 픽셀을 재배치하여 전이성이 높은 적대적 예제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좀 더 상세히 말하면, 다양한 방향의 왜곡을 표현할 수 있는 탄성 변환을 사용하여 입력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적대적 예제가 소스 모델에 과적합되는 것을 피한다. 우리는 이미지넷 기반 여러 분류 모델에 대한 적대적 공격 실험을 통해 탄성 변환을 사용하여 적대적 예제를 생성하는 방법이 전이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인다.

      • Synthesis of silicon oxide (SiO<sub>x</sub>) anode material using sol-gel method

        이정호,양현우,권명준,김선재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Silicon has attracted plenty of attention as high capacity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because theoretical capacity of silicon (4198 mAhg<sup>-1</sup>, Li<sub>22</sub>Si<sub>5</sub>) is much higher than that of graphite (372 mAhg<sup>-1</sup>, LiC<sub>6</sub>). However, extremely huge volume change (around 300%) occurring in lithium insertion/desorption process causes poor cycle performa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ilicon oxide (SiO<sub>x</sub>) which keeps the high reversible capacity and prevents the huge volume change has been proposed. Here, we analyze and evaluate an electrochemical property of product material synthesized by cost-effective sol-gel method using SiCl<sub>4</sub> (silicon tetrachloride), ethylene glycol and diethylene glyc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