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흰쥐에서 김치식이가 조직과 분변의 지질조성과 Apo단백 및 Thyroxi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권명자(Myung-Ja Kwon),송영옥(Young-Ok Song),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3

        흰쥐에 있어서 김치의 섭취가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지의 여부와 그 기작을 연구하기 위하여 Sprague Dawley 숫컷 흰쥐에 김치 무첨가 식이, 3%, 5%, 10%의 김치식이를 6주간 공급한 후 혈장, 지단백, 간에서의 지질조성과 분변으로의 배설능, apo단백 합 성능, 호르몬 level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혈장내 중성지질은 대조군에 비해 10% 김치섭취군에서 32% 저하하였으며(p<0.05), 혈장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든 김치농도 섭취군에서 저하하였다. 김치섭취는 VLDL분획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을 저하시켰으며(p<0.05), LDL분획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상승시켰다(p<0.05). LDL분획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김치 5% 섭취군에서 대조군 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간의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total lipid, Apo B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5%와 10% 김치섭취군에서 감소하였으며(p<0.05), 반면 분변중의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Apo A-1 농도는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김치의 섭취는 T₃ 농도의 증가를 유도하였으나(p<0.05), T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김치를 섭취한 흰쥐에 있어서 김치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보여주며, 이러한 효과는 김치의 섭취가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배설을 증가시키고, T₃의 농도를 상승시키며, apo단백의 합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kimchi has hypolipidemic effect and to know how it exerts lipid-lowering effect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with kimchi-free diet, or 3%, or 5%, or 10% kimchi diets for 6 weeks. Plasma cholesterol level was lowered in rats fed all concentrations of kimchi diets, and plasma triglyceride(TG) level was lowered in 10% kimchi diet group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significantly(p<0.05). The intake of kimchi lowered VLDL-cholesterol and VLDL-TG levels, whereas increased HDL-cholesterol level significantly(p<0.05). LDL-cholesterol level was lowered only in 5% kimchi diet group and LDL-TG level was lowered in all kimchi diet group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significantly(p<0.05). The intake of 5% and 10% kimchi diets also lowered the levels of hepatic cholesterol, TG, total lipid, and apolipoprotein B, whereas increased the levels of fecal total fat, cholesterol, TG, and apolipoprotein A-1 significantly(p<0.05). Triiodothyronine(T₃) level was elevated in rats fed kimchi diet, whereas thyroxine(T₄) level was not affected by kimchi treatment. These observations support that the intake of kimchi in rats lowers plasma and hepatic lipid levels by increasing the excretion of TG and cholesterol through feces, by the elevation of T₃ level, and by the altered lipoprotein metabolism.

      • SCOPUSKCI등재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에서 김치재료의 항산화 효과

        권명자(Myung-Ja Kwon),송영선(Young-Sun Song),송영옥(Yeong-Ok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6

        1%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에서 김치재료의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배추, 고춧가루, 마늘을 김치 담금시의 재료 배합비인 배추 8%, 고춧가루 1%, 마늘 1% 비율로 첨가하여 3개월간 사육하면서 사육기간에 따른 혈중 과산화물가의 변화 및 혈중 비타민 E 농도와 간의 항산화효소의 활성 및 항산화영양소인 비타민 E와 카로틴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LDL 산화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TBARS값은 증가하나 그 증가정도는 김치재료중 마늘이 가장 낮았다. 혈장 TBARS 및 POV의 사육기간별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배추, 고춧가루, 마늘군에서 증가수준이 감소하였고, 대조군에 비해 고추, 마늘군에서 과산화지질이 적게 생성되었다(p<0.05). 간에서의 POV 함량 및 protein carbonyl value는 대조군에 비해 김치재료군에서 낮았다(p<0.05), 혈장 비타민 E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고춧가루와 마늘군에서 높았고 간의 비타민 E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배추군과 고춧가루군에서 높았다(p<0.05). 간에 존재하는 항산화효소계를 살펴본 결과 Cu,Zn-SOD와 Mn-SOD는 대조군에 비해 배추, 고춧가루군에서 그 활성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Catalase는 대조군에 비해 고춧가루, 마늘군에서 활성이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김치담금시 사용되는 배추, 마늘, 고춧가루는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에서 항산화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동맥경화발생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LDL 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는 마늘군에서 현저하였다. The antiatherogenic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was studied in terms of antioxidative effect against Newzealand white rabbits that fed 1% cholesterol. Experimental groups was fed 8% Baechu(Brassica pekiinensis), or 1% red pepper(Capsium annum), or 1% garlic(Allium sativum) for 12 weeks. Blood samples were drawn every 2 weeks to analyze vitamin E, POV, and TBARS. Hepatic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vitamin E, and carotene concentration also were measured. Plasma TBARS and POV level were markedly lowered in both red pepper and garlic-fed rabbits(p<0.05) compared to control. Hepatic POV and protein carbonyl values were lowered in the rabbits fed kimchi ingredients compared to control(p<0.05). Plasma vitamin 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the rabbits fed red pepper and garlic compared to control(p<0.05). Hepatic vitamin 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red pepper and garlicfed rabbits compared to control. For the hepatic antioxidative enzyme acitivity, catal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d pepper and garlic-fed rabbits compared to control. Therefore, Baechu, red pepper, and garlic exert an antioxidative effect against rabbits fed 1% cholesterol for 3 months.

      • SCOPUSKCI등재

        김치 섭취수준이 중년 남성의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권명자(Myung-Ja Kwon),전진호(Jin-Ho Chun),송영선(Young-Sun Song),송영옥(Yeong-Ok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5

        조사대상자의 하루 김치섭취량의 분포는 0~454g으로 이를 4분위로 나누었을 때 1분위에 해당하는 사람은 평균 68g, 2 및 3분위에서는 각각 118, 208g, 그리고 4분위에서는 382g의 김치를 섭취하였으며, 특히 김치를 적게 섭취하는 군의 연령대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들이 선호하는 김치는 배추김치, 열무김치, 깍두기 순이었다. 김치섭취에 따라 식이섬유와 칼슘섭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단계적 변수선택에 의한 회귀분석법으로 HDL-C 농도를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김치가 선택되어졌으며 유의성은 p=0.09이었다.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김치는 HDL-C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LDL-C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비만도는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LDL-C, 수축기, 이완기혈압, 그리고 동맥경화지수에 대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5), HDL-C와는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흡연은 동맥경화지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p<0.05), 알콜 섭취량은 혈중 중성지질 및 LDL-C, 수축기혈압에 대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매운맛 선호도와는 수축기 혈압이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정상 체중을 유지하며 흡연을 하지 않고, 알콜 섭취량을 줄이는 생활습관을 유지하면서 짜지 않고, 매운맛이 적당한 숙성된 김치의 섭취는 혈중 지질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A nutrition survey regarding daily kimchi consumption and its hypolipidemic effect were carried out with 102 of healthy Korean adult men aged between 40 to 64 years old who visited hospital for physical examination. The phys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blood were examined as well as food record, preferences for taste, personal life habit, and family history of disease. Data were expressed as quartile according to kimchi consumption. The average daily kimchi consumption for 1st, 2nd, 3rd, and 4th percentile group were 68, 118, 208, and 383g, respectively. The intakes of dietary fiber and Ca were found to be increased as kimchi intake increased(p<0.05). The kimchi consumption level was selected as the determining factor for HDL-C level analyz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p=0.09). Whe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kimchi consumption and other parameters were analyzed, kimchi consum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DL-C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LDL-C(p<0.05). The preference for hot tast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ystolic blood presure. It seems that kimchi consumption is beneficial to elevate HDL-C and lower LDL-C level.

      • KCI등재후보

        김치가 노화촉진쥐 간의 유리기 생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종현(Jong-Hyen Kim),권명자(Myung-Ja Kwon),이소영(So-Young Lee),류재두(Jae-Du Ryu),문갑순(Gap-Soon Moon),최홍식(Hong-Sik Cheigh),송영옥(Yeong-Ok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는 김치가 노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AIN-76 마우스 식이에 배추, 갓김치, 갓배추김치를 각 동결건조 김치를 5%씩 첨가하여 만든 후 김치식이를 노화촉진쥐인 SAMP8에게 1년간 섭취시키면서 간의 노화관련 특성인 유리기 농도와 항산화효소계의 효소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노화촉진쥐 간의 총유리기, OH radical, H₂O₂ 그리고 TBARS 모두 가령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간에서 생성된 유리기 농도와 TBARS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김치섭취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그러나 생성된 유리기를 제거하기 위한 SOD 활성은 오히려 김치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p<0.05), catalase와 GSH-px, GSH/GSSG의 비율도 김치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김치섭취는 노화에 따라 발생되는 간의 유리기 및 TBARS생성은 억제시키면서, 이를 제거하는 항산화계 효소는 활성화시켜 노화를 억제한 것으로 생각된다. 김치종류 중에서는 배추김치보다 배추갓김치와 갓김치가 유리기 생성 억제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더욱 증진시킨 것으로 관찰되어 이는 첨가된 갓의 항산화물질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mchi intake on antiaging characteristics in liver of senescence-accelerated mouse (SAM) in terms of free radical production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Two hundred twenty SAM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fed kimchi diet for 12 months. Experimental groups were kimchi free AIN-76 diet (control) group, Korean cabbage kimchi diet (KCK) group, mustard leaf added (30%) Korean cabbage kimchi diet (MKCK) group, and mustard leaf kimchi diet (MLK) group. Amount of freeze-dried kimchi added to the diet was 5% that is equivalent to 50 g of fresh kimchi. Concentrations of total free radical, OH radical, H2O2 in the liver significantly increased as aged (p<0.05). But those free radical concentrations from kimchi diet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p<0.05). Among kimchi groups, MKCK and MLK groups showed greater inhibiting effect than KCK.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f Cu,Zn-SOD, Mn-SOD, GSH-px, catalase and GSH/GSSG in kimchi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compared to the control. In conclusion, kimchi seems to reduce free radical production and increase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se results could be a partial contributor for retarding aging. Among kimchi variety tested in this experiment, MKCK and MLK seem to have greater effect than KCK. Further study is needed to find out the mechanism of kimchi on retarding aging.

      • SCOPUSKCI등재

        In vivo와 in vitro에서 김치가 혈액성상과 면역세포배양에 미치는 영향

        김미정(Mi-Jeong Kim),권명자(Myung-Ja Kwon),송영옥(Yeong-Ok Song),이은경(Eun-Kyung Lee),윤현주(Hyun-Joo Youn),송영선(Young-Su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6

        김치의 장기간 섭취에 의한 흰쥐(Sprague-Dawley, Male)의 혈액성상의 변화와 절인 배추, 갓 담은 김치 및 숙성김치 추출물이 면역 관련 세포들의 배양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았다. 흰쥐를 이용한 in vivo 실험기간 중의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 식이효율은 대조군과 김치 섭취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김치 10%를 섭취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백혈구수, 적혈구수, 헤모글로빈함량, 헤마토크리트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 세가지 적혈구 관련 지수 MCV, MCH 및 MC-HC 중 김치 10% 섭취군에서 MCV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적혈구 분포폭(ROW)은 김치 10% 섭취군만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소판 관련 지수로는 혈소판 용적 비율(PCT)에서 모든 김치섭취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10% 김치섭취군에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김치의 섭취가 조혈기능에 관여함을 보여준다. 김치 추출물의 면역 관련 세포의 배양실험 결과, 비장세포, 골수세포 및 흉선세포에서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군에서는 세포수가 급속히 감소한 반면에 갓 담은 김치와 숙성김치군에서는 세포가 계속 자라거나 더 잘 자라도록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면역관련 조직 세포들의 배양실험에서 김치가 세포수를 유지 및 증가시킨 점으로 보아 김치는 생체가 면역작용을 함에 있어 면역세포의 성장과 분화 뿐 아니라 면역반응 자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effect of kimchi on the hemat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vivo and in vitro, respectively. To study the effects of kimchi on the hematological parameters, rats(S.D., male)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fed diets containing of 3%, 5% and 10% kimchis or kimchi free diet(control) for 6 weeks. The results of CBC(complete blood cell) tests obtained from the bloods of rats were as follows; In 10% kimchi group, the level of WBC(white blood cells), RBC(red blood cells), Hgb(hemoglobin), Hct(hematocri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those of control group(p<0.05). MCV(mean corpuscular volume), one of the red cell indices, w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nimals fed 10% kimchi(p<0.05). RDW(Red cell distritution width) and PCT(plateletcrit) was lowest in 10% kimchi group(p<0.05). To examine the effects of kimchi on immune cell growth in vitro, three types of mouse immune cells-spleen cells, bone marrow cells, thymus cells-were cultured with extracts of salted Chinese cabbage, fresh kimchi and fermented kimchi(for 1 week) for 12 or 20 days. Control was supplemented with PBS(phosphate buffer saline) excluding kimchi extract. The results of spleen cell, bone marrow cell, and thymus cell cultures showed similar tendency: control medium accelerated death of cells, extracts of salted Chinese cabbage reduced the rate of cell death, and extracts of fresh kimchi and fermented kimchi promoted cell growth.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kimchi possibly has an effect on the hematopoietic ability and increases immune cell development and growth in vivo.

      • KCI등재

        다시마 첨가 배추김치의 체중 감량 및 지질 저하 효과

        구화숙,노정숙,윤예랑,김현주,권명자,최홍식,송영옥,Ku, Hwa-Suk,Noh, Jeong-Sook,Yun, Ye-Rang,Kim, Hyun-Ju,Kwon, Myung-Ja,Cheigh, Hong-Sik,Song, Yeong-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9

        체중감량 효과가 있는 기능성 배추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호도가 우수하고 섬유소가 풍부하여 지질저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다시마를 첨가한 해조첨가 배추맛김치(이하 해조김치) 레시피를 개발하고, 잘 숙성된 해조김치를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쥐에게 공급하여 지질저하 및 비만억제 효과를 살펴보았다. 배추김치에 다시마를 20% 정도 첨가하였을 때(해조김치) 종합적인 관능평가가 가장 우수하였다. 해조김치의 숙성 특성은 일반 김치와 같이 전형적인 발효양상을 보였다. 해조김치의 비만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0% 고지방식이에 동결 건조한 김치 10%를 첨가하여 쥐를 8주간 사육하였다. 실험군으로는 고지방식이군, 대조김치군, 해조김치군 그리고 시판용 공장김치를 첨가한 J-김치군으로 하였다. 식이 섭취량, 식이효율은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김치첨가에 의한 효과를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상대적인 내장 지방량은 해조김치군(-17%), J-김치군(-11%) 그리고 대조김치군(-9%) 순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청 leptin 농도는 해조김치군(-59%)에서 감소하였는데(p<0.05), 이는 해조김치군의 지방세포의 수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함을 의미한다. 혈청 빌리루빈 농도는 해조김치군(-24%)에서 감소하였다(p<0.05). 혈청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지방군에 비해 각각 해조김치군(-51%와 -21%), J-김치군(-40%, -23%) 그리고 대조김치군(-39%, -13%)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분변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는 각각 해조김치군(49%와 71%), 대조김치군(36%, 61%), 그리고 J-김치군(32%, 65%)에서 증가하였다. 김치 종류에 따른 비만억제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해조김치의 상대적인 내장 지방량은 다른 김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렙틴, 혈청지질, 분변지질 및 빌리루빈의 농도는 김치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해조김치군의 비만억제 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면, 일반 김치에 비해 해조김치를 섭취하면 체중 감량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해조김치의 비만 억제 기전은 다시마 첨가에 의해 식이섬유소의 함량이 7% 증가함으로써 소장에서 식이지방 흡수를 방해하여 혈청 중성지방의 농도를 낮추고 이로 인하여 지방세포로 중성지질의 이동이 낮아져 복부지방 축적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A recipe for diet kimchi containing 20% of sea tangle to Korean cabbage kimchi (SK) was developed for weight reduction purpose. The fermentation process of SK showed typical Lactobacillus sp. growth pattern like other kimchis. The effects of SK on weight reduction was studied in high fat diet (HFD) fed rats (n=40). Diet groups used for the animal study were HFD, HFD supplemented either with Korean cabbage kimchi used as experimental control (HCK), or with SK (HSK), or with J-kimchi (JK) which was purchased at market (FJK). The effect of kimchi on preventing obesity in rat fed HFD was found to be obvious by means of reducing visceral fat contents and improving serum lipid profiles through enhancing the lipid excretion in the feces (p<0.05). Leptin concentration of r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kimchi consumption (p<0.05).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adipocytes in these animals were fewer than that of HFD group. The plasma bililubin concentration was lower in kimchi group than HFD, meaning that returning bile from ileum to the liver was reduced. When the observe beneficial effects of kimchi on preventing obesity were compared among kimchi groups, SK only reduced the relative visceral fat contents significantly than other kimchi groups (p<0.05). Besides this, other parameters such as plasma lipid profiles, feces lipids, leptin, and bililubin concent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ven though the most beneficial effect on these parameters was observed from SK. In conclusion, long term consumption of SK seems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prevention of obesity through enhancing the excretion of lipids in the feces. The dietary fiber content of SK was increased by 7% compared to CK when 20% of sea tangle was ad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