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대(solidarity)와 전유(appropriation)의 갈등적 역학- 포스트 콜로니얼리즘, 탈민족주의, 젠더 이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권명아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19 No.-

        이 논문은 포스트 콜로니얼리즘 이론과 젠더 이론의 상호 관계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이 논문의 근본 목적은 두 이론이 공유하는 토대의 ‘우연성’과 불확정성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은 그 자체로 비판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이론적 실천을 통해서만 이론의 비판성이 구성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또 포스트 콜로니얼리즘 이론은 경계를 넘는 이론적 실천의 하나로서 학문적, 국가적 경계를 넘는 연대를 중요한 실천 전략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여기서 연대와 전유의 차이와 경계 또한 모호한 것이 사실이다. 연대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때로는 실천적 차원에서는 이질적인 이론에 대한 전유로 전화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포스트 콜로니얼리즘 이론과 젠더 이론의 상호 관계와, 현재 한국에서 진행중인 역사 논쟁 및 문화적 경향 등을 통해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을 둘러싼 논란은 민족주의 비판으로 단일 의제화 된 담론 지형이 어떻게 손쉽게 이질적인 차이의 정치학을 전유하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또 월드컵 열풍이나 최근의 문화적 현상에서 나타나는 카니발적 내셔널리즘은 1990년대 이후 지속된 하위문화의 카니발적 성격을 민족주의/국가주의적으로 전유한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또 아시아의 여타 지역에서 이루어진 포스트 콜로니얼리즘에 관한 논쟁을 검토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이론적 논의의 지형도가 과도하게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라는 단일 의제에 집중된 것은 역사에 대한 과잉된 열기와 현재적인 이론적 실천에 대한 관심의 후퇴라는 퇴영적 현상의 결합물이라는 것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Postcolonialism is complex constitution which manifest the solidarity with the diversity kind of the politics, especially with the feminism. But the common foundation between the feminism and the postcolonialism is only contingent. In the term of “contingent foundation”, my focuss is not making specific the feminism but the making issue about the formation of the practice of the theory. In this dissertation, my main them is about the appropriation of the new, radical politics by the dominant ideological apparatus. Rethinking Colonial-Postcolonial History(2006), “Welcome to Dongmak Goel”(2005), and frenzy about the cheer of World Cup soccer game(2002) is the symptom of this kind of appropriation. I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this kind of appropriation, the complex subjectification is on act. In this subjectification, the ready made, and dominant mode of subject is remain, but in another aspect some kind of the break away from that dominant mode is also on act. With the new term, “Carnival Nationalism”, I research the characteristic property of this new type of subject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불/가능한 싱글 라이프-번역가능성과 번역불가능성 사이의 삶과 죽음-

        권명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여성문학연구 Vol.26 No.-

        There are beings who vanish in cold rooms alone without a protective layer from family or partners. They vanish not only from private life but from public spheres of career and work. Previous literature has focused on diverse socio-structural factors that make survival impossible including financial crisis, unstable employment,decreasing social welfare, the advent of Neo-fascism, etc. This paper explores the boundary of survivability and the origin and current situation of single life from the viewpoint of gender,especially focusing on the im/possible single life of women writers. The term 'single life' refers to lifestyle but also conveys 'singularity' of subject position and the nature of the existence of female writers as translator-poets (by Jacques Derrida).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single life of women from the late 1980s to now, I investigate how to theorize the political implications involved in women's choice and resolution of their lifestyles and power. In this investigation, I keep in mind also the attitudinal change over feminism in Korea. Just 20 years ago, many Korean scholars had a strong interest in gender issues and they argued, "We need more feminism!" However, nowadays, feminism is no longer the center of attention. This is the case not only in scholarly fields but also in mass media and the public sphere. The dominant perspective on feminism among ordinary people is "We've had enough!" or "No more feminism!" Yet the question “Who does ‘we’refer to in that sentence” challenges that perspective. The more critical issue to handle is from where the attitudinal change over feminism originates, especially regarding power, political position,and the representation of womanhood. 가족이나 동료 관계와 같은 보호고치가 없이, 홀로 차가운 방 속에서 소멸해가는 존재들이 있다. IMF, 고용 불안정, 양극화, 청년 실업, 사회복지의 축소, 새로운 파시즘의 도래 등 내세울 수 있는 이유들은 무수히 많다. 생존 불가능성의 사회적, 구조적 요인을 규명하는 글들은 이미 너무 많다. 따라서 이글은 생존가능성과 불가능성의 경계에 대해 이와는 조금 다른 차원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글의 주안점은 첫째로는 싱글라이프의 기원과 귀착점, 그리고 그 젠더적인 차원에 대한 규명이다. 싱글 라이프라는 용어를 통해 이 글은단지 독신이라는 삶의 방식만이 아니라, 삶의 방식의 특이성(singularity)과작가로서의 존재 방식의 특이성의 문제를 함께 사유해보고자 한다. 후자의 문제와 관련해서, 이 글에서는 특히 번역가-작가로서 여성 작가의 존재 방식의문제를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이 글에서는 여성이 싱글 라이프를 선택하는 것이 하나의 정치적 결단이었던 1980년대와 싱글 여성의 미래가 고작 “구호 대상”으로 간주되는 2011년의 낙차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 낙차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삶의 방식에 대한 선택과 결단의 정치적 함의와 이에 대한이론화의 필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는 이를 토대로, 싱글 라이프의생존 불가능성이 단지 신자유주의적 구조하의 새로운 문제일 뿐 아니라, 번역가-작가라는 특정한 존재 방식과도 관련된 문제라는 점을 고찰할 것이다.

      • KCI등재

        정동의 과잉됨과 시민성의 공간

        권명아(Kwon, Myoung-A)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서강인문논총 Vol.0 No.37

        시민성과 여기서 배제된 존재들, 그리고 사회 상태와 자연 상태에 대한 형상적 사유들은 다양한 문학 작품 속에서 만날 수 있다. 이 글은 시민적인 것의 경계라는 문제를 문학과 영화가 제공하는 형상적 사유의 힘을 매개로 다시금 생각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방법은 문학과 예술이 제공하는 형상적 사유의 힘이 시민적인 것의 경계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쟁점들을 보다 구체적인 방식으로 우리에게 전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 근대문학에서 흔히 발견되는 홍수의 메타포가 이러한 시민적인 것의 경계 구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홍수의 표상은 시민성의 영역과 여기서 배제된 다스려질 수 없는 자들 사이의 힘 관계를 상징적으로 함축하며, 이를 정동의 과잉됨이라는 차원에서 재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근대 서사에서 홍수의 표상은 정동의 과잉됨(흘러넘치는 힘)과 그 ‘힘’에 대한 불안과 공포, 그리고 이에서 비롯되는 다스려야만 한다는 당위적 요청과 관련하여 다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이러한 표상 체계에서 정동의 과잉됨은 ‘홍수’와 같은 넘쳐흘러 인간적인 것, ‘사회’, ‘시민성’의 경계를 문란하게 만들어버리는 ‘자연적인 것(자연 상태)’의 힘으로도 출현한다. 그런 점에서 홍수에 대한 공포와 ‘강’을 다스리려는 집요한 욕망은 ‘자연적인 것’에 대한 근대적 시민의 지배 욕망 뿐 아니라 ‘다스릴 수 없는 자들’을 제어하고 지배하려는 근대적 시민의 욕망과도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이는 다스릴 수 없는 자들과 시민 사이에서 벌어지는 생명을 건 투쟁이 ‘강’을 둘러싼 투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함의를 지니는 것이기도 하다. The threshold of the civic and the ungovernables is relate with that of the civic and the natural state. The imaginary thought of that threshold of the civic and the ungovernables had been produced for a long time in the work of art, especially the work of literature. This thesis focus on the rethinking the threshold of the civic and it’s topology. Especially I try to contemplate about the metaphor of the deluge as a projection of fear about the excess of the affect.

      • KCI등재

        성폭력 부정주의의 정동적 힘과 대안적 정동 생성의 ‘쓰기’

        권명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2 No.-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I’m Kim Ji-eun” as a political text that publicly testified how sexual violence negationism is organized in Korean society. After the testimony of “I’m Kim Ji-eun,” “all of us” can no longer make the same discourse, feelings, and expressions about ‘democratic mouvenent generations’ as before. The study of sexual violence negationism is not just a bitter reminder of the end of progressive politics in the ‘democratic mouvenent generations’. Rather, through the study of sexual violence negationism, we reach the birth of vivid alternative politics in which the ideology and subject of anti-discrimination politics are formed as an alternative political ideology and subject after democratization. In addition, the site of alternative politics, which cannot be returned to the existing language, is the site of the study of sexual violence negationism. 이 연구는 『김지은입니다』를 한국 사회에서 성폭력 부정주의가 어떻게 집단적으로 조직되는가를 공개적으로 증언한 정치적 텍스트로 해석하고 자리매김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이른바 ‘진보정치 집단’ 출신의 광역 단체장 성폭력 사건에 대한논의를 비판하고 이 사태를 역사적이고 이론적으로 다루기 위한 문제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부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지은입니다』를 통해 민주화 세대의 지배적 정동과 정동 정치가 성폭력을 산출하는 조직 구조를 어떻게 구성하고 재생산하는지를 밝힌다. 둘째, 진보 집단 출신 정치인 중심의 조직 구도에서 노동 구조는 신분제에 가까운 노예화에 기반하고 있음에 주목고자 한다. 이런 조직 구조는 이중 노동 시장 이론과 일치한다. 셋째, 광역 단체장 성폭력 사건은 ‘진보 정치’ 집단의 ‘노동’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와 관련이 있다. 넷째, 진보 집단의 정파주의와 민주화 세대의 정동을극단적인 진영 대립의 원인으로 살펴본다. 성폭력 부정주의 연구는 우리를 대안 정치 이념이자 주체로서 반차별 정치의 이념과 주체가 형성되는 생생한 대안 정치로 이끈다. 오래된 정동 정치를 무력화하는 대안 정동의 현장이 바로 성폭력 부정주의 연구의 현장이다.

      • KCI등재

        마음을 놓다: 안심의 어소시에이션을 위하여

        권명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9

        To think community is to think at the limit. Or we could say so, at least, if we borrow the terminology of Jean-Luc Nancy. Nancy discusses this formulation in a number different ways, but he does so must centrally in his engagement with Georges Bataille's thought – in particular, with Bataille's way of interrogating ecstasy (the ec-static, forgetting of self). In referring back to Bataille in the development of his “impossible” discussion of community, Nancy says that his intention is not to “simply draw from his stock of knowledge or his theses” but rather “to look back upon a certain limit that is our own.”I discussed the work of thinking and practicing community as the work of thinking and practicing the limit condition. I also noted that the work of imagining and experimenting with community entailed a practice of looking back at the limits of dreams for a better world as they arose within the history of “humanity,” and I described this as an event to be encounter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thesis I try to conceptualize community as the encounter that allows one to put one's mind at ease. And with this new meaning of community, I would like to go one step further and call such encounters associations of relief. In describing associations of relief – as encounters that allow one to put one's mind at ease – in terms of the struggle to control fear and anxiety, there is an overlap with Michael Hardt and Antonio Negri's discussion of “instituting happiness.” The association of relief activates the potential to transform an encounter triggering fear and anxiety into an encounter of joy. And the affect of relief produced by encounters that allow one to put one's mind at ease is the release from misery and anxiety. Putting one's mind at ease is another name for this release. Therefore, the process of putting one's mind at ease, the process of transition/traversal leading from anxiety to relief – this is a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passive to active, a process – in Nancy's words – of the extension of the psyche. 공동체(commune)를 사유한다는 것은 한계에서 사유하는 것이다. 적어도 장 뤽 낭시의 어휘를 빌자면 그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무위의 공동체』, 『코르푸스』 등에서 논의되는 무위, 분유, 단수성, 외존 등 무수한 어휘들이 실은 이 공동체와 한계라는 두 어휘를 중심으로 부려진 것이다. 낭시는 이를 여러 방식으로 논의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질문들은 공동체(commune)에 대한 바타유의 사유, 특히 엑스터시(忘我 ec(탈)-static)에 대한 바타유의 문제의식을 논하는 지점에서 발견된다. 공동체(commune)를 사유하고 실천하는 일은 한계 상태를 사유하고 실천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공동체를 상상하고 실험하는 일은 ‘인류’의 역사 속에서 진행된 새로운 세계를 향한 꿈의 한계를 되돌아보고, 또 새로이 마주치는 사건이다. 이 논문은 소진을 한계 상태의 정동으로 사유함으로써 지금, 여기에서의 공동체 실험과 사유에서 발생하는 현실적 곤경과 대면해보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또한 이러한 소진으로부터 생명의 잠재적 역량과 마주하게 되는 사건적 순간, 혹은 한계에서 더 멀리 나아감으로써 발생하는 자리들(낭시), 또 그 사건과 자리들이라는 정치적 실천과 동의어라 할 수 있는 영혼의 펼쳐짐을 안심의 어소시에이션이라는 문제 설정을 통해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안심, 행복, 불안, 공포와 같은 정동을 윤리적 차원에서 사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간 존재에 대한 사유를 거슬러 올라가서 개념을 다투는 지난한 과정이 필요하다. 이 글은 이와 같이 안심을 윤리적 차원에서 사유하기 위해 개념을 다투는 하나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