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흔하지 않은 이름의 최고경영자와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최고경영자 특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권도균,이승혜,김양민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3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4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name uncommonness and R&D intensity while focusing on CEO ownership and CEO tenure as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various American databases such as national data on given names from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COMPUSTAT, and Execucomp.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s 2,494 (firm-year) observations from U.S. firms between 2005-2011. This study conducts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 (FGLS)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es. Findings - First, we found CEO name uncommon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R&D intensity. In other words, CEOs with unusual names prefer being distinctive by increasing R&D investments. Second, we examine the moderating roles of CEO characteristics (i.e., CEO ownership and tenure). The results show that CEO tenure strengthe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EO name uncommonness and R&D intensity.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First, this study extends the CEO characteristics and R&D literature by investigating how CEO name uncommonness affects R&D intensity. In addition, our study also supports the intitutionalization of CEO power arguments by showing that CEOs with unusual names are more likely to pursue distinctive strategies when they have longer tenure. For practical implications, our results allow the investors to better predict corporate future R&D expenses. It suggests that ceteris paribus, CEOs with unusual names, vis-a-vis CEOs with common names, are more likely to increase R&D expenses.

      • KCI등재

        기록관리 기관평가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권도균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8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Archives Evaluation System in 2008, the Republic of Korea’s archives management has undergone many changes and great development. However, there remain process problems in several operations of concerned agencies. These are made up of problems in the system itself (operation-related problem), problems in evaluation indicators, and issues in communication issue between the rating agency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the rated institutions. This study was a theorem for such status of the concept, objectives, and the indicators of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as it looked into the problems and sought improvement of the systems and indicators. The problems of the evaluation system were felt in the survey of the education field, which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and phone interviews with the Office of Education’s archives managers and researchers. Among the problems found were the assessment period, the number of indicators, evaluation process, the assessment indicators, and the best practices. Moreover, this study summarized the comments of the archives managers on what they believed are needed to improve the field. As a result, it confirmed that structural and fundamental changes in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are need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opes that an archives management business for the public institu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w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기록관리 기관평가제도가 2008년 도입된 이후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기록관리는 외적으로 많이 변화하고 발전했다. 하지만 운영과정에서 기관평가의 문제점도 많이 드러났다. 평가제도 자체의 문제, 운영의 문제, 평가지표의 문제, 평가기관인 국가기록원과 피평가기관간 소통의 문제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평가제도의 현황과 개념, 목적, 지표등에 대하여 정리하였고, 제도와 지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 교육청 기록물관리전문요원과의 면담 및 전화인터뷰를 통하여 교육청 현장에서 느끼는 평가제도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평가주기, 지표 개수, 평가프로세스, 평가지표, 우수사례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그리고 현장에서 일하는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기관평가제도에 대한 구조적이고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업무의 발전을 바란다.

      • KCI등재

        불교 업(業)사상의 현대적 의미

        권도균 아시아교정포럼 2008 교정담론 Vol.2 No.2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모니 이전시대부터 업(業)사상의 기본 원리인 인과응보나 윤회의 개념은 인도에서 존재했었다. 초기 인도사상인 리그베다나 브라흐마나시대에서 업 또는 행위의 의미는 제사의 행위를 지칭하는 것이었고, 올바른 방법으로 행한 제사 행위는 자연의 법칙과 마찬가지로 자동적으로 그 결과를 초래하게끔 되어있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이시대의 업의 개념은 철학적 윤리적인 의미를 가진 이론이라기보다는 종교적인 제사의식과 관련되어졌다. 그 후 철학적 사유가 발달한 우빠니샤드시대에서는 인간의 운명이란 업의 법칙에 의하여 윤회의 세계에서 끝없는 생사를 되풀이 하는 것으로 믿게 되었다. 또한 석가모니와 동시대인이면서 자이나교의 창시자인 마하비라의 업사상에서는 석가모니 사상과 일부 유사점이 발견되기도 한다. 석가모니의 업사상의 특징은 기존의 업사상을 윤리적 관점에서 논리적으로 해석하여 발전시킨 것이라고 생각한다. 석가모니는 우주의 모든 생명체는 업에 따라서 끊임없이 윤회하는데, 업이란 인간의 모든 행위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윤리적인 의도를 반영하여 행해진 행위만을 지칭한다. 인간의 의도에는 상대적으로 선 또는 악을 반영한다. 따라서 업은 선 또는 악인 것이다. 그러므로 좋은 업은 좋은 과보를 받고, 나쁜 업은 나쁜 과보를 받는다. 업과 윤회의 관계로 보면, 좋은 업이든 나쁜 업이든 윤회의 세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지만, 선업을 계속해서 쌓는다면 우리의 의식은 깨달음의 세계로 점진적으로 다가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석가모니는 업을 짓는 것으로서 몸에 의한 행위, 언어에 의한 행위, 마음에 의한 행위 등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 이러한 업의 기본적 생성조건은 의도적인 행위이면서 선과 악과 같은 윤리적인 행위가 결합되었을 때 업이 생성되어서 업의 결과를 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석가모니의 업사상은 기계론적이고 숙명론적인 이론이 아니라, 인간 개개인의 자유의지의 산물인 것이다. 한편 우빠니샤드나 자이나교의 윤회사상과 불교의 윤회사상과의 차이점은 다른 사상에서는 윤회하는 주체를 인정하고 있지만, 불교에서는 무아윤회(無我輪廻)를 가르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윤회는 무시무종(無始無終)으로서 시작도 없고 끝도 없는 영원한 것이어서, 완벽한 깨달음을 얻어서 해탈하기 전까지는 설령 무색계(無色界)의 신으로 태어나도 전생 선업의 과보가 다하면 다시 윤회하게 되어있는 것이다. 또한 육도 중에서 오직 인간만 해탈을 위한 깨달음이 가능한 것이다. 윤회의 원인으로는 욕애(欲愛), 유애(有愛), 무유애(無有愛) 등의 세 가지 욕망 때문인데, 이러한 욕망은 인간의 무지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한다. 논리적이고 철학적인 석가모니의 업과 윤회사상은 철저히 원인과 결과라는 인과율에 근거한 법칙이라서 엄밀히 말하면 그 누구도 그러한 인과법칙을 깰 수는 없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업사상이 한국불교에서는 지장신앙이나 아미타신앙을 통해서 따스한 인간의 감정이 개입되어지고 기복적인 한국인의 종교적 특성이 반영되면서, 인과응보나 자업자득의 법칙을 참회와 반성을 중시하는 지장신앙으로 탈피하고자 했고, 믿음과 염불을 중시하는 아미타신앙을 통해서 윤회의 법칙에서 빠르게 벗어나고자 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석가모니의 업사상을 교정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인간은 탐욕, 성냄, 어리석음이라는 세 가지 독 때문에 업을 짓고 윤회하는 것이므로 수형자 스스로 이러한 진리를 깨닫게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더 이상 죄를 짓지 않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시적인 몸의 구속도 중요하지만, 진정한 마음의 뉘우침과 참회가 더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몸과 말의 순화와 교정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음의 교정이 필요한 것이다. 업의 생성원인으로는 인간의 의지나 의도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The basic concepts of the theory of karma, such as the theory of cause and effect and saṃsāra, existed before Śākyamuni was born in India. According to the Vedic and Brahmanical traditions, karma, or action, indicates ritual action, and the action performed in the correct way automatically brings results like the law of nature. Thus, karma during these periods did not have philosophical and ethical meanings, but was used only in relation to religious rituals. In the period of Upaniṣads the philosophical thought was developed that the fate of human beings is to repeat birth and death in the samsaric world in accordance with karma. Karma in the view of Mahāvīra, contemporary of Śākyamuni and the founder of Jainism, can be found to have some similarities with Śākyamuni's. Śākyamuni's theory of karma seems to have been further developed by his peculiar ethical and logical interpretations of already existing doctrines. In his opinion, all living beings in the world wander endlessly from life to life with no particular direction according to their previous actions. The action in this context indicates not all actions but only intentional actions. The intention or volition of human beings reflects good or bad, and the action is either good or bad. Thus, good action brings good results. and bad action bad results.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karma and saṃsāra, all actions, either good or bad, cannot be free from the samsaric system. However, our thinking slowly approaches the state of enlightenment through repeated good actions. These actions are performed by body, speech and mind. Basically karma is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intention and ethical action, and the action is followed by its result. Śākyamuni's theory of karma is not a doctrine of mechanical materialism or determinism, but a product of human's free-will. In addition, the Buddhist theory of karma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s in that the former negates the existence of permanent substance such as self or soul in the saṃsāra. In terms of saṃsāra, self is everlasting without beginning or end and continues until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Saṃsāra is caused by three cravings: craving for sensual pleasure, craving for existence and craving for non-existence, which are caused by ignorance. Śākyamuni's theory of karma and rebirth is a logical and philosophical doctrine based on the law of cause and effect, and strictly speaking, nobody can break such a rule. However, this Buddhist theory has experienced transformation and change in Korea influenced by faith in Kṣitigarbha and Amitābha and by the basic Korean beliefs about religion. It seems that Koreans try to break the law of cause and effect through faith in Kṣitigarbha and focusing on confession and repentance, and through faith in Amitābha and emphasizing belief and recitation. On analysing Śākyamuni's doctrine from the view-point of Corrections, prisoners need help in recognizing the Buddhist truth that a human undergoes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repeatedly because of three poisons, i.e. desire, hatred and ignorance. Thus, though it is necessary for a criminal to stay in prison temporarily in order not to commit crime, it is more important for the criminal to have confession and repentance truly.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have corrections of the criminal's body and speech, and the corrections of mind is even more important because karma is generated by intentional action.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이름 희소성과 기업 ESG 활동: 특이한 이름의 경영자가 기업의 사회적 활동에 적극적인가?

        권도균,이승혜,김양민 한국전략경영학회 2022 전략경영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 이름의 희소성이 기업의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많은 선진국 기업에 있어 ESG 활동은 더 이상 선택사항이 아니라, 단순한 이윤 창출을 넘어서서 이해관계자 모두를 만족시키려는 기업의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필수 활동으로 여겨지고 있다. 선행 연구들은 ESG 활동을 촉진하는 주요 선행 요인으로 최고경영자의 특성에 주목하고 있지만, 그들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심리적 특성 중에서도 최고경영자의 자아 형성과 심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이름에 주목하고, 관계적 자기 이론과 사회적 학습 이론에 기반하여 이름 희소성이 기업의 ESG 활동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최고경영자의 이름 희소성과 ESG 활동과의 관계에 최고경영자의 특성(i.e., 은퇴시점에 대한 근접, 이사회 의장 겸직 여부) 및 산업 특성(i.e., 풍부성, 역동성)이 어떤 상호작용 효과를 갖는지 함께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서, 2005년부터 2012년까지의 기간 동안 제조업에 종사하는 미국 기업들의 패널데이터를 바탕으로 고정효과 패널 회귀분석(Fixed Effect Panel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최고경영자 이름의 희소성은 기업의 ESG 활동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러한 정의 관계는 최고경영자가 이사회 의장을 겸직할 때와 산업 역동성이 강해질 경우 더 강화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