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절영신화>의 재담극적 속성에 대한 고찰

        권대광(Daekwang Kwon)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7 No.-

        이 논문은 1909년 10월 14일부터 11월 23일까지 ≪대한민보≫ 지면에 연재된 <절영신화>의 재담적 속성에 대한 연구다.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의 표제와 서술층위에 드러난 연행성에 대한 연구와 텍스트의 유희적성격을 알아보고 민속극의 측면에서 재담극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특히 <절영신화>는 서술의 연행성이나 화행의 구조, 연행자와 연행공간 등의 드라마트루기가 재담극과 일치하고 있음이 주목된다.<절영신화>는 ‘골계 소설’ 혹은 ‘소설 골계’로 기사란의 유형이 혼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단순히 <소설> 란에 쓰인 ‘골계 절영신화’로 보는 관점이 아닌 <절영신화>를 하나의 작품명으로 봤으며, 골계를 내용장르적 관점에서 파악했다. 또 당시 ‘소설’의 개념이 현대의 협의적 개념이 아니었던 점을 근거로 하였다. <절영신화>는직접제시에 의한 대사의 순행에 의해 내용이 전개되고 있었으며, 서술자의 간접적 화법이 거의 드러나지 않았다. 또 이들의 대화는 긴장성의 극적 틀 안에서 전개되고 있었으며, 각 부분의 서사와 전체 서사의 틀이 변증법적인 구조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절영신화>를 당대 연희적 텍스트로 볼 수 있다.또 내용적 측면에 있어 <절영신화>는 이데올로기적 속성보다 유희적 성격이 더 짙은 텍스트다. <절영신화>에 드러난 학교나 교육, 연설회 등의 1900년대 문학의 계몽주의적 소재들은 작가의 주장이나 이념을 위해쓰이지 않았다. 이러한 점은 당대 계몽주의 담론 자체를 희화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대 토론체 텍스트들과는 다른 점이며, 따라서 유희성을 목적으로 한 텍스트로 보인다.<절영신화>는 유희적 텍스트로서 재담극과 가까운 관계를 갖고 있었다. <절영신화>는신문매체를활용한만큼 대중적 장르를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텍스트는 오락성과 의도성을 모두 갖고 있지만 적극적인 계몽•개화 의식을 갖고 있지는 않다. 오히려 대화를 재료로 한 기지의 노출과 우스갯소리가 연행 가능한 형태로 제시되어 있다는 데서 당대 재담극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고 보인다. 또한 노상을 무대로 한 열려있는 공간을 텍스트의 무대로 삼고 있다는 점과 1인 혹은 2인에 의한연행이 가능하도록 텍스트가 짜인 점, 텍스트에 내포되는 풍자적 내용과 소담적 요소들에서 재담극의 드라마투르기적 요소를 <절영신화>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이러한 점들로 미뤄볼 때 <절영신화>는 유희적 성격에 기반을 둔 연행적 장르의 기술(記述) 텍스트로 보이며, ≪대한민보≫라는 신문지면을 통해 이전부터 전래되던 재담극이 갖고 있는 해학적 전통과 대중성을 토대로 성립된 텍스트임을 알 수 있다. This is a study on Witticism facts of <Jeol-yeongsinhwa> published in≪Daehanminbo≫, 1909.10.14. to 11.23. For this study, researched Headingsand Theatralitat s of object text. And also intended to explain relationshipwith Korean old witty plays.The Heading of <Jeol-yeongsinhwa> mingled ‘Golgye novel’ with ‘Novelgolgye’. So <Jeol-yeongsinhwa> is an individual title of text but not‘<Golgye Jeol-yeongsinhwa>. And Golgye indicates the genre attributes. Italso besed on the fact that novel[soseol] was not recognized as a temporarymeaning of that. <Jeol-yeongsinhwa> developed by exchanging talking withtwo characters. There was scarcely indirect narration, and generally directnarration. Their talking progressed in theatrical tension. Each parts ofnarrative and whole text have dialectic frames. these tell <Jeol-yeongsinhwa>as an drama of those days. In aspect of substance, <Jeol-yeongsinhwa> istheatrical rather than ideological. Schools, Education and oratorical meetingswhich was common materials of 1900’s Enlightment literature were not usedfor writer’s opinions or doctrines.And <Jeol-yeongsinhwa>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Witty plays in thosedays. There was necessity to provide popular forms as a daily installment onthe Newspaper. So <Jeol-yeongsinhwa> has both entertainingness and morality, rather aggressive enlightenmental awareness. <Jeol-yeongsinhwa>has a form of playable text containing puns and jokes and witty talks. Itinforms us <Jeol-yeongsinhwa> is on the base of Korean old witty plays.

      • KCI등재

        게임 시나리오 쓰기를 통한 고전서사 교육 방안 제안

        권대광(Kwon Daekw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2

        이 글에서는 학생 참여의 고전 문학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로 게임 시나리오 쓰기를 제안한다. 게임 시나리오 쓰기는 디지털 게임의 기획 단계의 목적으로 게임이 가진 서사적 세계를 구현하는 활동이다. 게임은 중등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들에게 이미 익숙한 매체다. 이 글에서는 학습자가 해당 매체에 대해 가진 친연성을 토대로 문학 수업에서 고전문학 교육의 가능성과 방법에 대해 고찰했다. 게임과 문학교육과의 상관성은 일찍이 논의된 바 있다. 특히 에듀테인먼트 방면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뤄져 왔다. 하지만 에듀테인먼트의 논의는 학습자를 단순히 수용자 의 입장에 머무르게 할 뿐 학습자의 창작 활동에 대해서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또 기존 개발된 에듀테인먼트 게임들은 유•아동을 대상으로 한 것들이 대부분이며, 문학교육에 관련한 콘텐츠들은 거의 없었다. 게임 시나리오 쓰기를 통한 고전문학 교육은 학습자에게 해석적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이뤄지는 재창작 활동을 의도한다. 특히 게임 시나리오 쓰기는 협업에 의한 글쓰기 과정과 과정 중심적 쓰기 과정이 중요시된다. 아울러 목적 텍스트인 게임이 가진 디지털 문식성을 구현하기 위한 제반 요소들이 고찰되어야 한다. 하지만 문학교육을 위한 재창작 장면에서 기존에 논의됐던 다중적 플롯, 게임 장르의 한계적 설정, 상호작용성의 강화 등이 강조될 필요는 없다. 이는 게임 플레이가 배경하고 있는 기반적 스토리 속에 고전문학 서사를 활용하는 방법 등으로 극복될 여지가 있다. 또한, 실제적인 게임 창작에 이르는 과정 또한 GUI 기반 게임 툴로 극복이 가능하며, 교실 수업 내에서 구현할 수 있다.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서 게임 시나리오 쓰기는 ‘텍스트의 이야기성, 교수학습의 유의미성, 창작의 협동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또 이 과정을 계획하기, 요약하기, 줄거리 쓰기, 시나리오 쓰기, 평가하기의 단계로 나누어 제시했다. 계획하기는 해석과 재현 활동으로 나누어 대상텍스트에 대한 해석과 이를 게임으로 전환하기 위한 재현 계획으로 나누어 제시했다. 이후 과정은 이에 개연성을 부여하고, 공동 작문의 과정을 통해 신별 시나리오를 쓰는 활동이 유기적으로 안내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가진 고전문학과의 시공간적 거리감을 극복하고, 고전서사의 향유 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This paper proposes writing a game scenario of seeking ways to learn classical literature teaching in student participation. Writing game scenario is an activity that constructs the narrative world of the game in the design stage of a digital game. The game is already familiar narrative works for school learners.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ossibilities and method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the students’ affinity with the games.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s and literary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Especially diverse discussions have been held in edutainment. However, the discussions of edutainment have limited at the learner’s creative activity, make the students stayed in merely the audience’ s position. In addition, existing edutainment games are mostly for children, and there are few contents related to literature educatio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writing game scenario aims at recreating activities by giving the learner a hermeneutics status. In writing game scenario, the Collaborative writing process is important. And digital literacy of the digital game should be also considered.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overemphasize the multiple plots, the restriction on the subgenre’s feature, and the enhancement of interactivity. In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the writing of game scenarios should emphasize on storytelling,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cooperation of creation. The Game scenario writing in classical literature class goes through the process of planning, summarizing, plot writing, scenario writing, and evaluation. Planning is divided into interpretation and reproduction activities. The subsequent processes are suggested that the giving probability to each motif and guiding collaborative writing. Through this, we expect learners to be able to overcome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ance between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to become the beneficiary of the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명말청초 중국 소설에 드러난 경계적 공간으로서 조선의 형상화

        권대광(Kwon DaeKwang),오자봉(Wu Zifeng)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1 No.-

        이 글에서는 명말 청초 중국 소설에서 보이는 조선에 관한 관심을 탐구하였다. 당시 중국과 조선은 문인들의 교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에 대한 실체적 인식을 서사에 담아내지 못했다. 또, 문화교류가 지배계급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탓에 중국 소설의 주요 창작 계층은 조선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갖고 있지 못했다. 이 때문에 조선에 대해 제한적으로 알려진 피상적인 정보를 활용해 조선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할 수밖에 없었다. 중국 소설 속 조선은 배타적 화이론의 관념적 틀 안에서 그려지며, 중화의 주변국이자 문명 개화의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지만, 여전한 야만성을 지니고 있는 공간으로 그려짐으로써 소설 속에서 경계적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글에서 조망했던 네 작품 중 〈無聲戱〉, 〈女仙外史〉, 〈閱微草堂筆記〉에는 조선이 등장한다. 의식적인 측면에서 이 작품들은 조선에 대한 중국의 우월의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李谪仙醉草嚇蠻書〉에서 등장한 발해와 마찬가지로 이적의 무리 속에 조선을 위치시키고 있다. 조공 국가로서 조선의 실체를 국한하고, 조선인에 대한 배타적 시각을 소설 서사에서 제시함으로써 문화적 이질성을 거부했던 당대 소설 문화적 토양의 한계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소설적 경향은 명말 청초 시기 소설작품들은 당대 청나라와 조선의 교류 관계와는 별개로 조선을 화이론적 세계관 속에 위치시키고, 환상적 공간으로 조선을 만들어 냈다. 당대 조선과 청나라 사대부들의 문화적 교류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교류는 동아시아의 연대를 이끌어 내는 사회적 담론으로 성장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erception of Joseon in Chinese novel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t that time, China and Joseon could not escape from the exchange centered on poetry and literature despite the continuous exchange of literary figures. Also, because cultural exchanges were centered on the ruling class, the creative classes of Chinese novels did not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Joseon. For this reason, they had no choice but to build an image of Joseon by using the limited known superficial information about Joseon. On the other hand, the Hwa-I theoretic worldview,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rame of Chinas traditional external perception, has been positioned as a primary tool for depicting the image of Joseon in the novel. Among the four works reviewed in this article, the Joseon Dynasty appears in 〈Museong-hi〉〈Yeolmichodangpilgi〉. From a ceremonial point of view, these works show Chinas sense of superiority over Joseon, and, like Balhae, which appeared in 〈I-jeokseon chuicho hyukmanseo〉, places Joseon amid a gang of I, the outlanders. By limiting the reality of Joseon as a tribute state and presenting an exclusive perspective on Koreans in the narrative, we can see the limits of the cultural circumstance of the 17∼18c Chinese novel, which rejected cultural heterogeneity. This novel tendency in 17∼18c placed Joseon in the worldview of Hwa-I theory, independent of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Qing Dynasty and Joseon of the time, and created Joseon as a fantastic space. Despite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Joseon and Qing dynasties, it seems that these exchanges did not develop into a social discourse that led to solidarity in 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