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서울의 호구 변동과 인구기록의 특성 - 한성부 호구 자료를 중심으로 -

        권기중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논총 Vol.47 No.-

        Gwangheungchang, the number of his servants surged to 100 or more. Another house of family that held a high-rank position owned only a couple of servants for his family. The head of the remaining house worked for Gyeongajeon of Ijo as a Seori, but he owned only a small number of servan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Finally, the study delved into the census changes of Seoul in the 19th century, finding that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per house made an overall decrease from the previous periods. Lee Gwang-jae was recorded as Jijungchubusa in all of seven census terminals with his son recorded in the same house as a government official. Despite their records, the number of servants at his house was under ten. Jeon Hyo-an, who was an official at Hyeminseo, possessed more servants than other houses in the 19th century. His father was also an official at Hyeminseo. There was no remaining servant at his house in 1858, which seems closely related to the rapid reduction of servants since the middle 19th century, which phenomenon was observed even in the family register of Cha Gyeong-cheol that was examined last in the study. He left a census terminal in 1825~1882. Even though there was no big change to the scope of his position, there was no single servant recorded in his census terminal in 1854. As mentioned earlier, it seems like the outcome of changes to the recording style of family register. 본 논문은 조선시대 서울 지역에 남아있는 호구 자료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서울 지역의 호구 변동과 인구 기록의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2장에서는 호구 기록의 시기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시기별 호당구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19세기 전반까지 호당 구수가 지방에 비해 훨씬 많았다는 사실이다. 이는 직계 가족의 수가 매우 적게 기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노비수가 지방보다 더 많았기 때문이었다. 이와 함께, 17세기 후반에서 대부분의 호가 노비를 소유한 반면, 19세기 중반 이후부터는 1명의 노비도 소유하지 못한 호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이같이 19세기 중반 이후의 개별호의 노비 소유 양상은대구부와 비교해봤을 때,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서울의 경우 19세기 중반이후 노비를 소유한 호가 소수에 불과하지만, 대구부의 경우, 상층 신분의 호는대부분 1~2명의 노비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었다. 3장에서는 동일한 호의 일련의 호구 자료를 통해 개별호가 시기별로 어떤 변화양상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17세기 후반의 경우, 조사한 2호를 모두 관료층이었으나, 가족구성에는 차이가 있었다. 한 호는 혼인을 한 아들 부부와 동생부부가 하나의 호를 구성하고 있었으나, 다른 한 호는 아들이 혼인한 후 독립된호를 구성하고 있다. 결혼한 자녀가 부모와 같은 호를 구성하기도 하고 혹은 독립호를 구성하기도 했는데, 이러한 현상은 19세기까지 서울 호구 자료의 일반적 양상이었다. 다음으로 18세기 서울 지역의 호구변동의 일단을 살펴보았다. 명문 집안 출신인 김성하의 호의 노비 수의 변화는 주목할 만하다. 그는 광흥창의 관료를역임한 후 갑자기 노비의 수가 100명 이상 늘어나고 있다. 반면 고위 관직을 역임한 다른 가문의 호는 가내의 2~3명의 노비만을 소유하고 있었다. 나머지 하나의호의 주호(=호주)는 경아전이었는데, 그는 이조의 서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에 걸쳐 소수의 노비만을 소유했을 뿐이었다. 마지막으로 19세기의 서울 지역의호구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전 시기에 비해 호의 구성원 수가 전반적으로 적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광재는 7장의 호구 자료에서 모두 지중추부사로기재되었을 뿐만 아니라 아들 역시 관료로서 같은 호에 기재되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호의 노비수는 10명 미만이었다. 반면 혜민서의 관료를 역임한 전효안은 19세기의 다른 호에 비해 많은 수의 노비를 거느리고 있었다. 그의 부친역시 혜민서의 관료를 역임하고 있었다. 한편 전효안의 호에서는 1858년에 갑자기현존하는 노비가 한 명도 없는데, 이는 19세기 중반 이후의 노비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마지막으로 살펴본 차경철의 호적에서도 확인되었다. 그는 1825년~1882년까지 호구 자료를 남기고 있는데, 직역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상태임에도 1854년부터 호구 자료에 노비가 한명도 기재되지 않고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태안군수의 재임 양상과 그 의미

        권기중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5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patterns and meanings of Tae-an Gunsus' term of office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based on Seungjeongwonilgi and Oi-an. The study first examined Tae-an Gunsus' hometowns and ranks. One of the characteristics is that the percentage of Tae-an Gunsus born in Hanyang gradually dropped, and this pattern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Jeolla region. The percentage of Suryeongs born in Hanyang continued to grow in the region over time. The percentage of Tae-an Suryeongs in a higher rank than the ranks prescribed by law was higher than that of Tae-an Suryeongs in a lower rank. Most of Tae-an's Hyeongams held a higher rank even during its degradation into Hyeon. As many as 35.9% of Tae-an Suryeongs failed to complete the first year in office, and 30% spent one~two years in office. Only 34.1% fulfilled their term of office for two years or longer. Only 1.2% succeeded in completing the legal term of office, which was 60 months or longer. It is interesting that the term of office was prolonged for Tae-an Suryeongs in the 19th century. It was, however, a very rare case that a Tae-an Suryeong completed the full 60 months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Gyeonggukgaejeon. There were various reasons behind the replacement of Tae-an Suryeongs. While only 4.1% left the office after completing the legal term of office, 53.1% were dismissed from office. In addition, 22.4% resigned due to inevitable reasons such as illness and death or other reasons, and 16.3% got a promotion, which was the most honorable case, or were transferred to a different position. It is also interesting that the percentage of Tae-an Suryeongs being replaced due to honorable reasons increased while that of those being replaced due to dishonorable dismissal decreased in the 19th century unlike common expectations. 본 논문은 조선후기 태안군수의 재임 양상과 그 의미를 승정원일기 와 외안 을 통해 살펴본 글이다. 먼저 태안군수의 출신지와 품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징적인 사항은 한양 출신의 비중이 19세기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이는 전라도 지역과는 다른 양상이었다. 조선시대 전라도에 부임한 수령들은 시기가 지날수록 한양 출신이 증가하고 있었다. 태안수령의 품계는 법에 규정된 품계보다 상위의 품계를 지닌 인물들의 비중이 더 높았다. 현으로의 읍강(邑降) 시기에도 대부분의 현감이 상위 품계였다. 수령의 재임기간은 1년을 채우지 못한 수령의 비중이 35.9%나 되었다. 1년~2년 사이의 재임기간을 가진 수령은 30%였다. 2년 이상을 재임한 수령의 비중이 34.1%에 불과했으며, 법적 근무일수에 해당하는 60개월 이상은 1.2%에 불과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재임기간이 19세기에 와서 더 길어졌다는 것이다. 그런데 어떠한 경우라도 경국대전 에 규정된 법적 재임기간인 60개월을 채우는 경우는 아주 드문 일이었음이 확인된다. 한편 태안 수령들은 다양한 이유로 교체되고 있었다. 법적 재임기간인 과만이 4.1%의 낮은 비중을 차지하며, 파직이 전체의 절반이 넘는 53.1%를 차지하였다. 신병이나 사망 등 불가피한 사유나 다른 이유로 직을 사양하는 사직의 비중도 22.4%나 되었다. 가장 영예로운 승진이나 다른 직으로 이동인 이배는 16.3%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19세기에 와서 우리가 예상한 것도 달리 수령의 교체사유가 이배가 증가하고 불명예스러운 파직이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인물지를 통해 본 19세기 지식인의 사유방식-『진벌휘고속편』을 중심으로-

        권기중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3 泰東古典硏究 Vol.51 No.-

        본 글은 『진벌휘고속편(震閥彙攷續編)』에 수록된 인물들의 현황을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논문이다. 『진벌휘고속편』에는 모두 1,026명의 인물이 수록되어 있다. 편목당 수록인물의 비중을 보면 저자가 가장 관심을 둔 분야의 인물은 시서화(詩書畵), 삼교구류(三敎九流)에 능통한 자들이었다. 그 외에도 저자는 특별한 재능을 가진 기인이사에 흥미를 두고 있다. 수록 인물의 다수는 16세기, 17세기에 살았던 사람들이며, 19세기에 활동했던 인물은 6명에 불과했다. 조선후기에 들어와 참고할 수 있는 인물지나 인물에 대한 정보가 상당했음에도 저자의 관심을 끌 만한 인물은 소수에 지나지 않았던 듯하다. 신분이 확인되는 614명의 남성 가운데 양반은 453명(73.8%), 중인은 108명(17.6%), 상천은 53명(8.6%)이다. 양반이 중인의 4.2배, 상천의 8.5배 더 많이 수록되어 있다. 여성들은 다양한 편목에 등장하는데 풍수지리나 노래, 미래예측 등의 재주로 수록되기도 했기만, 대부분 충절, 수절, 정절, 의리, 효녀 등 유교사회의 덕목을 충실히 수행하던 여성들이었다. 인물지를 분석한 기존의 여러 논문을 보면, 당대의 지식인들은 다양한 직업인을 인정하고, 여성의 무조건적인 희생을 강요하던 정절에 대한 인식도 변했음을 서술하고 있다. 그들은 위항인의 직업윤리나 예술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전 지식인과 달랐음을 서술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지식인의 사유 방식이 19세기 이전 지식인에게는 발견할 수 없었던 인식인지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진벌휘고속편』에 등장하는 뛰어난 중인⋅상천민들은 이미 19세기 이전 지식인들이 작성한 저작들에 수록되어 있었다. 어느 시대나 신분에 관계없이 뛰어난 인물들은 주목의 대상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기록문화는 19세기 지식인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오래된 전통에서 나온 측면이 강하지 새로운 변화라고 보기 힘들다. 19세기 사회의 역동성은 인정하나 이것이 곧바로 근대성을 증명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서구 사회를 바탕으로 정리된 근대성의 정의에 매몰되어 우리의 근대성을 확인하려다 보면, 자칫 우리 선조들이 겪었던 19세기 사회를 재구성하는 데 도리어 방해가 될 수 있다. This paper offers an analysis of people recorded in Jinbeolhuigosokpyeon with statistical methods. The book has 1,026 people recorded in it. Judging from the percentage of people allocated to each catalog, the author showed the highest interest in people versed in poetry, calligraphy & paintings and Samgyoguryu. The author was also interested in eccentric, remarkable, and unusual people with special talent. A majority of the people recorded in the book lived in the 16th or 17th century with only six active in the 19th century. There was considerable information about people in addition to many books of people that he could consult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but only a few people attracted his attention. In the book, 614 men had their social classes confirmed. Of them, 453(73.8%), 108(17.6%), and 53(8.6%) were from the Yangban, Jungin, and Sangcheon class, respectively. The book recorded people in the Yangban class 4.2 and 8.5 times more than people in the Jungin and Sangcheon class, respectively. Women appeared across diverse catalogs in the book. Some of them were recorded in the book for their talent in feng shui, singing, and the ability to predict a future, but most of them faithfully practiced the virtues of Confucian society including loyalty, faithfulness, chastity, fidelity, and filial piety. Many previous papers that analyzed books of people reported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s acknowledged various types of workers and changed their perceptions of chastity that forced unconditional sacrifices on women.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they were different from their predecessors in that they recognized the occupational ethics and artistic values of Wihang people, but there is a need to examine if these ways of thinking shared by the intellectuals were not found in the intellectuals before 19th century. The remarkable people from the Jungin and Sangcheon class in Jinbeolhuigosokpyeon also appear in books written by intellectuals before the 19th century. It is because remarkable people naturally attract attention regardless of period and social class. This culture of records was not exclusive to the intellectuals of the 19th century. It has a strong aspect derived from the long-enduring tradition, an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was a new change. The dynamics of the 19th-century society is acknowledged, but it does not prove the modernity of the century immediately. When one tries to examine the modernity of the Korean people while being buried in the definitions of modernity sorted out based on Western society, it may rather pose an obstacle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19th-century Korean society experienced by the ancestors.

      • KCI등재

        조선후기 경주 이조리 최씨 가문의 노비경영과 그 실태 − 호구단자를 중심으로 −

        권기중 동양고전학회 2023 東洋古典硏究 Vol.- No.92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servant ownership in the Choi family of Ijo-ri, Gyeongju based on their Hogudanja.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s in terms of members and their numbers by the period with a focus on the main household family, collateral families, and subordinates. The number of members in the main household family spanned from two to maximum eight. They were recorded on the Hogudanja after they reached a certain age. No daughters were recorded on the Hogudanja while daughter-in-laws were consistently recorded in it. Grown-up sons that were married did not establish a new household and instead remained in the households of their fathers until they inherited them, and this practice did not follow the statutory regulations. Collateral families hardly appeared in the Hogudanja until 1858, and up to six members of a collateral family were recorded in the Hogudanja since then. This change happened specifically in 1867, when the family of a deceased younger brother and the couple of a younger male cousin were registered in the Hogudanja of the family. Three households that were suppos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household were registered under a single household. The number of subordinates except for servants such as Noyangcheos and Bibus was small. Noyangcheos disappeared in 1732 except for the old Hansancheo that had been a Yangcheo for many years before the year. In 1732, the old six Noyangcheos were gone with no Noyangcheos appearing. It is clearl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Noyangcheo Sosaengjongryang Act in 1731. The study then examined the changing patterns of servants by the number and period. The number of servants in the family peaked at 85 in 1687, repeated a small rise and fall pattern until 1813, and began a gradual downward trend since then. The family owned 41 servants in 1813, and the number was less than half the number of the family's servants in 1687. The number of servants in the family made a sharp drop after 1822. The number of resident servants in the family peaked at 40 in 1732, underwent fluctuations around 20, and dropped to under ten in 1789. Although the number of resident servants was 12 over then in 1825, the number never climbed over five since. These findings show a considerable reduction in the number of servants in the 19th century. There were several causes behind this reduction including omission from the family register, death, and escape. In the 18th century, a good number of servants ran away from the family, having huge impacts on the reduction of servants in the family. At one time, the family tried to secure a proper number of servants by purchasing them at a bargain, but the outcome was poor. There is a need to focus on the collapse of the servant reproduction structure as a cause behind the reduced number of servants even though it was not clearly revealed in the Hogudanja. The family had as many as 47 resident servants in 1783 ~ 1894, but it was an extremely rare case that their children became a servant, too. It became common for servants to run away or for resident servants to turn into out-resident servants in the family, but the number of the family's servants made a rapid decrease especially in the 19th century due to the suspended expansion and reproduction of such hereditary servants.

      • KCI등재

        조선시대 산군(山郡)ㆍ해읍(海邑)수령의 재임기간과 교체 사유: -김제군(金堤郡)·무장현(茂長縣)·운봉현(雲峰縣)· 진안현(鎭安縣)을 중심으로- 권

        권기중 포은학회 2018 포은학연구 Vol.22 No.-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tenure and replacement reasons of Suryeongs in Gimje-gun, Mujang-hyeon, Woonbong-hyeon, and Jinan-hyeon in Jeolla Province. Gimje-gun and Mujang-hyeon were situated in coastal areas, and Woonbong-hyeon and Jinan-hyeon were in mountainous ones. As for the tenure of Suryeongs in these areas, the mean tenure was 20, 17.6, 21.4, and 24.8 months in Gimje-gun, Mujang-hyeon, Woonbong-hyeon, and Jinan-hyeon,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Suryeongs whose tenure was shorter than a year was the highest in Mujang-hyeon and the lowest in Jinan-hyeon. There were more Suryeongs whose tenure was two years or longer in Woonbong-hyeon and Jinan-hyeon, which were in mountainous areas and inferior economically. The study then examin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found two facts: first, there were huge differences in the cases of one year tenure or less among the guns and hyeons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and these differences were reduced dramatically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Secondly, there were huge differences in the cases of 24-month tenure or longer among the guns and hyeons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Ente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the percentage became similar among them except for Mujang-hyeon that recorded 20% with the tenure increasing in Gimje-gun and decreasing in Woonbong-hyeon and Jinan-hye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enure of Suryeongs was increasingly in a similar pattern among the areas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Finally, the study examined the replacement reasons of Suryeongs among the guns and hyeons and confirmed two important facts: first, it was a very common case that Suryeongs did not finish their legal tenure throughout Joseon; and second, the cases of replacement due to dismissal and transfer showed opposite patterns over time. That is, the cases of dismissal dropped across all of the four areas in the 19th century with the cases of transfer ris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government’s evaluations of Suryeongs were changing in a positive direction. 본 글은 전라도의 김제군(金堤郡)․무장현(茂長縣)․운봉현(雲峰縣)․진안현(鎭安縣)을 대상으로 수령의 재임기간과 교체사유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김제군과 무장현은 해읍(海邑)이며, 운봉현과 진안현은 산군(山郡)에 해당한다. 이들 군현의 수령 재임기간은, 김제군은 평균 20개월이며, 무장현은 평균 17.6개월이다. 운봉현은 21.4개월이며, 진안현은 평균 24.8개월이다. 1년을 채우지 못한 수령의 비중은 무장현이 가장 높고, 진안현이 가장 낮았다. 반면 산군이자 경제적으로 더 열악했던 운봉현과 진안현의 수령이 2년 이상 재임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시기별로 어떤 차이가 있었는지 살펴본 결과 두 가지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재임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는 16~17세기에 군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18~19세기에 오면 그 차이가 확연히 줄어든다는 사실이다. 둘째, 재임기간이 24개월 이상인 경우는 16~17세기에는 그 차이가 컸지만, 18~19세기에는 20%대의 무장현을 제외하면, 김제군은 재임기간의 비중이 늘어나고, 운봉현과 진안현은 재임기간이 줄어들면서, 그 비중이 엇비슷해지고 있었다. 이는 수령의 재임기간이 18~19세기로 갈수록 비슷한 양상으로 변화해 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교체사유를 군현별로 살펴본 결과, 두 가지의 중요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수령이 법정 임기를 모두 채우지 않는 것이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친 매우 일반적인 양상이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파직과 이배가 교체사유로 등장하는 비중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반대의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즉 4개 군현 모두 19세기로 갈수록 파직의 비중은 낮아지고, 이배의 비중은 높아졌다. 이는 국가의 수령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용만 권기를 통해 본 임란 이후 재지 사족층의 동향

        권기중 한성사학회 2015 한성사학 Vol.30 No.-

        15세기에 들어 본격적으로 농촌에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양반 사족들은 적어도 16세기에 들어오면 그들을 중심으로 한 향촌 지배 체제를 어느 정도 성립시키는 듯하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양반 사족 중심의 향촌 지배 체제가 16세기에 전국에 걸쳐 일원적으로 성립되었다고 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양반 사족들의 정착시기가 지역마다 차이가 있었고, 주어진 여건들이 모두 달랐기 때문이다. 연구자들 역시 사족 중심의 지배 체제가 성립된 시기를 16세기로 보기도 하고, 혹은 임란 이후로 보기도 한다. 이같이 임란을 전후한 시기의 재지 사족층의 동향은 수많은 연구성과의 축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해명의 문제들이 남아 있다. 이는 내재적 발전론이라는 담론과도 일정하게 연관되어 있어 더욱 일정한 합의점에 도달하기는 요원한 듯하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염두에 두고 임진왜란 전후를 살아갔던 한 인물에 주목하였다. 용만(龍巒) 권기(權紀)(1546~1624)가 바로 그이다. 용만 권기는 학계에는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상당히 흥미로운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조선시대 부계중심 사회를 이루는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족보의 편찬자이면서, 동시에 읍지의 편찬자였기 때문이다. 족보는 문중의 결속이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읍지는 군현내 사족의 결집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권기는 문중의 족보인 ..을사보(乙巳譜)..와 안동 읍지인 ..영가지(永嘉誌)..를 편찬함으로서 당시 안동 사회가 자신에게 요구한 소임을 다하고 있다. 임진왜란은 조선사회 전반에 걸쳐 막대한 인명과 전답의 손실 등 심각한 사회 경제적 피해를 안겨 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경제적 혼란은 재지 사족층에게 향촌사회를 자신들 중심의 지배 질서로 복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기도 하였다. 그 구체적인 움직임은 향사당·향안의 중수, 동계의 실시 등과 같은 향촌 지배 체제의 정비 뿐만 아니라 각종 개간 사업, 노비에 대한 지배권 강화 등을 통한 농업 기반의 복구 등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움직임과 더불어 재지사족들은 친족간의 결속을 다지거나 거주지역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하는데도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읍지와 족보 편찬이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권기는 안동권씨 족보인 ..을사보.. 16권을 8년, 영가지 8권을 7년간의 노력 끝에 완성하였다. 도합 15년간의 노력을 쏟아 부은 것이다. 이러한 편찬 작업 결과 그는 두 눈의 시력을 잃어버렸다. 이는 그가 이들 작업에 쏟은 정열을 말해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책들의 편찬은 그 개인의 노력 뿐만 아니라 당시 양반 사족들이 적극적인 후원과 참여로 인해 가능했다. 또한 두책의 편찬에는 세 인물의 적극적인 지원과 도움이 있었다. 유성룡과 정구 그리고 권율이다. 이들이 이 사업을 지원한 이유는 문중 혹은 지역 연대를 통한 사족 중심의 사회 안정을 도모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사족들의 움직임은 궁극적으로 향촌사회의 안정과 함께 양반 사족 중심의 사회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제주지방 수령의 존재양상과 재임실태

        권기중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8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incumbency and replacement reasons of Suryeongs in three Eups on the Jeju Island.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incumbency of Suryeongs in three Eups on the island. The incumbency of Jeju Moksas was 24 months or longer in many cases until the 17th century, decreased considerably in the 18th century, and increased again in the 19th century. As for Daejeong Hyeongam, the number of Suryeongs that maintained their incumbency for 30 months or longer made a sharp drop since the 18th century and made no big differences from the 19th century. The incumbency of Jeongui Hyeongam showed a similar trend to that of Daejeonghyeon despite little differences in percentage. These incumbency patterns had some differences from those of inland areas in Jeolla Province. The integrated estimations of Moksas across Jeolla Province showed similar patterns to those of Jeju, but the incumbency patterns of inland areas where Hyeongams were appointed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Jeju. That is, the cases of Hyeongams holding office for less than a year in the inland areas of Jeolla Province were fewer in the 19th century than in the 18th century. The study then looked into the replacement reasons of Suryeongs in three Eups in the 19th century based on the records of Oian. More than four fifths of Jeju Moksas failed to serve out their terms due to changes to the place of exile or dismissal from office. Only a third of Daejeong Hyeongams succeeded in serving out their terms. Over half of Jeongui Hyeongams served out their terms. The percentage of Suryeongs resigning before the end of their terms was 10.0%, 16.7%, and 21.4% for Jeju Moksas, Daejeong Hyeongams, and Jeongui Hyeongams, respectively. Not only did Jeongui Hyeongams record the highest percentage here, but they also had higher resignation rates than the other Hyeons. The percentage of Suryeongs being promoted to a position in the central government or moved to another area was 40.0%, 23.3%, and 7.1% for Jeju Moksas, Daejeong Hyeongams, and Jeongui Hyeongams, respectively. Jeju Moksas were moved to other positions due to promotions or other reasons more than their lower-rank counterparts. The percentage of Suryeongs being dismissed from office was 30.0%, 16.7%, and 10.7% for Jeju Moksas, Daejeong Hyeongams, and Jeongui Hyeongams,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Jeju Moksas had a higher risk of being dismissed from their positions along with more promotion chances.

      • KCI등재

        조선시대 암행어사의 수령 평가와 재임 실태의 상관성 − 암행어사 書啓와 수령선생안을 중심으로 −

        권기중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81

        본 글은 조선후기 전라도 암행어사의 서계와 전라도 수령선생안을 통 해 암행어사의 수령평가와 수령의 재임실태 사이의 상관성에 대해 살펴 본 것이다. 먼저 수령 평가와 재임기간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 았다. 그 결과 몇 가지의 사실이 확인되었다. 첫째, 평가 대상이 된 수령 119명 가운데 47.9%가 암행어사로부터 긍 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부정적인 평가는 26.1%, 중간으로 평가한 경 우는 20.2%의 비중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수령의 재임기간이 길수록 동일 구간(=1년 단위)내에서 암행어 사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수령의 비중이 높았다. 이는 선치를 행 하는 수령이 다른 교체이유가 발생하지 않는 한, 더 긴 재임기간을 가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암행어사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수령이 3년 이상 수령 의 업무를 보는 것이 쉽지 않았다는 것이다. 4)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도 1년을 채우지 못한 자들도 4명이 확인된다. 이들은 관찰사와의 상 피, 승진의 경우였다. 이같이 이배나 상피 등의 경우가 아니라면 선치 를 행하는 수령이 더 오랜 기간 동안 수령생활을 하는 것이 명백해 보인다. 다음으로 암행어사의 평가가 수령 교체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 다. 교체 시유는 과만, 사직, 이배, 파직, 체직으로 범주화하였다. 그 결 과 몇 가지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암행어사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수령 가운데, 과만이 7명, 사직이 11명, 이배가 20명, 파직이 3명이 확인된다. 과만의 경우 대 부분 다른 직임으로 승직하는 것이 보통임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수령은 사직을 제외하면 다수의 경우 경관직이나 타 고을 수령 등 다른 직임으로 가는 것이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암행어사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수령 가운데, 과만 2명, 사직 2명, 이배 5명, 파직 15명이 확인된다. 악치로 평가 받았기 때문에 파직과 사직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 면서도 임기를 다 채운 수령 2명, 이배한 수령 5명이 있었다. 이 가운데 과만 2명은 전직 수령으로서 평가 받은 자로 이미 임기가 끝난 이후에 평가된 자였다. 나머지 인물들은 작은 흠은 인정되나 수령직을 이행하 기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 자들이었다. 셋째, 필자가 ‘중간’ 정도로 평가, 분류한 18명 가운데 파직이 10명이 나 되었다. 필자는 선치와 악치가 동시에 서계에 보고된 자들을 ‘중간’으 로 평가했으나 조정에서는 이들을 파직시키는 조치를 취하고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the evaluation of Suryeongs by secret royal inspectors and their actual term of office based on the Seogye of secret royal inspectors and the Suryeong Seonsaengan of Jeolla Province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e study first examined connections between the evaluation of Suryeong and their term of office and had several facts confirmed: 1) 47.9% of 119 Suryeongs subjected to evaluation by secret royal inspectors received a positive evaluation from the inspectors. 26.1% and 20.2% received negative and average evaluations, respectively. 2) There are more Suryeong that received a positive evaluation from secret royal inspectors during the same section according to their longer term of office. 3) It was not easy for Suryeongs to hold the office for three years or longer after receiving a negative evaluation from secret royal inspectors. 4) Four Suryeongs did not last in the office even for a year after receiving a positive evaluation due to Sangpi with Gwanchalsas and promotion. The study then examined the effects of evaluations by secret royal inspectors on the replacement of Suryeongs. Reasons of replacement were categorized into the end of term, resignation, Ibae, dismissal, and Chejik. A couple of facts were confirmed: 1) Of Suryeongs that received a positive evaluation from secret royal inspectors, 7, 11, 20, and 3 were cases of end of term, resignation, Ibae, and dismissal, respectively. In cases of end of term, most were usually promoted to another post. It was a common case that Suryeongs receiving a positive evaluation would take another post including Gyeonggwan and Suryeong of a different town in most cases except for resignation. 2) Of Suryeongs that received a negative evaluation from secret royal inspectors, 2, 2, 5, and 15 were cases of end of term, resignation, Ibae, and dismissal, respectively. Since these cases were assessed as bad governance, dismissal and resignation were natural outcomes. There were, however, two and five Suryeongs that received a negative evaluation and then served till the end of term and Ibae, respectively. The two Suryeongs that served till the end of term were evaluated by their predecessors after the end of their terms. The others were assessed to have no problems performing their duties as Suryeongs despites their small defects. 3) There were 18 Suryeongs that were assessed and categorized by "average" by the investigator, and ten of them were dismissed. The investigator assessed Suryeongs that were reported for both good and bad governance on Seogye as "average," but the royal court took the measure of dismissal for them.

      • KCI등재

        조선후기 전라도 임실현 향리층의 존재양태 — 『운수연방선생안(雲水掾房先生案)』을 중심으로 —

        권기중 동양고전학회 2018 東洋古典硏究 Vol.0 No.72

        이 논문은 『운수연방선생안』을 통해 조선후기 전라도 임실현 향리층의 존재양태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운수연방선생안』에는 경종 4년(1724)부터 작성하기 시작하여 20세기 초반까지 작성한 임실현 향리들의 명단을 수록하고 있다. 『운수연방선생안』에는 모두 704명의 향리들이 확인된다. 김씨 119명, 엄씨 103명, 진씨 103명, 박씨 87명, 문씨 86명, 이씨 66명, 백씨 31명, 황씨 27명, 태씨 17명 등이다. 이외에도 12개의 성씨가 확인되는데, 10명 미만의 향리를 배출할 따름이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향리 성씨를 전체 점유율 순으로 추정해본다면, 김씨, 엄씨, 진씨, 박씨, 문씨, 이씨 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특징은 전씨와 양씨가 19세기에 들어와서 전혀 향리를 배출하지 못한 반면, 황씨가 19세기에 들어와 5%대의 향리를 배출하고 있으며, 진씨가 10%이상대의 점유율을 보이며 약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몇 몇 향리 성씨가 향리 사회를 주도함에도 불구하고 그 내부에는 약간의 변화들이 늘 상존했음을 보여준다. 이들 성씨들의 본관을 『노소계안』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이들은 경주 김씨, 영월 엄씨, 남원 진씨, 함양 박씨, 남평 문씨, 경주 이씨였다. 다음으로 『운수연방선생안에 호장 직역을 역임한 것으로 기재된 76명의 호장 성씨를 통해 상층 향리를 배출한 성관도 위의 성관과 동일한지 살펴보았다. 향리의 최상층 직임인 호장을 다수 배출한 성관과 향리를 가장 많이 배출한 성관은 전체적으로 보면 거의 일치하나, 시기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18세기에는 6개 성관이 비슷한 비율로 호장을 배출했다면, 19세기에 와서는 남원 진씨에서 13명, 남평 문씨 9명, 영월 엄씨 6명 등 3개 성관만이 10명 이상의 호장을 배출하고 있다. 19세기의 주목할 만한 또 다른 변화는 한 명의 호장이 두 번 이상 호장을 역임하는 빈도수가 18세기에 비해 급격히 늘어났고, 특정 성관으로 집중된다는 사실이다. 이같이 조선후기 임실현의 향리 사회는 6개 성관이 다수의 향리를 배출하며 공존하는 양상이나, 내부적으로는 시기에 따른 상층 향리 성관의 변화가 일부 확인되며, 특정 성관이 향리 사회를 주도하는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aspects of the Hyangri class in Imsilhyeon, Jeolla Province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based on Woonsuyeonbangseonsaengan, which provides lists of Hyangris in Imsilhyeon from the fourth year(1724) of King Gyeongjong's reign to the early 20th century. It contained the names of total 704 Hyangris, who included 119 Kims, 103 Eoms, 103 Jins, 87 Parks, 86 Muns, 66 Lees, 31 Baeks, 27 Hwangs, and 17 Taes. In addition, there were 12 more family names that produced fewer than ten Hyangris. Based on the share of representative family names among the Hyangris of the area, it is estimated that the dominant family names were Kim, Eom, Jin, Park, Mun, and Lee. Another interesting aspect is that the Jeon and Yang families produced no Hyangris in the 19th century, whereas the Hwang family produced 5% of Hyangris in the century with the Jin family accounting for 10% or more. These findings show that little changes were consistent within the community of Hyangris despite the fact that a couple of families were dominant. The family clans of the family names were checked in Nosogyean, which records that they were the Kim family of Gyeongju, Eom family of Yeongwol, Jin family of Namwon, Park family of Hamyang, Mun family of Nampyeong, and Lee family of Gyeongju. The study then examined the family names of 76 Hojangs that were recorded to hold the Hojang title in Woonsuyeonbangseonsaengan to see whether the family names that produced higher-level Hyangris were the same as the ones above. There was an overall agreement between the family names that produced a lot of Hojangs and those that produced the most Hyangris, bu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iods. Six family names produced Hojangs in similar percentage in the 18th century, and only three family names, which were the Jin family of Namwon(13), Mun family of Nampyeong(9), and Eom family of Yeongwol(6), produced more than ten Hojangs in the 19th century. Other noteworthy changes in the 19th century include the rapidly rising frequency of Hojangs serving the term twice or more compared with the 18th century and the concentration of Hojangs on certain family nam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ix family names coexisted in the active production of Hyangris in the community of Hyangris in Imsilhyeo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at there were changes to the family names of higher-level Hyangris internally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that a shift happened toward the leadership of certain family names in the society of Hyangr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