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 감상으로서 그림 그리기 행위의 의미 -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을 중심으로 -

        권근영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80

        본 연구는 문학 감상 기관으로서 신체에 주목하여 그림 그리기 활동의 의미를 철학적으로 탐색하고 의의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왕의 문학교육에서는 정신중심주의에 기반하여 문학 감상에서도 일면 ‘두터운 언어’로 감상하는 것에 주목해왔다. 그러나 예술로서의 문학은 감각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기도 하며, 이에 신체에 내재한 감각에 주목하여 그림 그리기의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신체는 경험이 누적된 일종의 저장고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신ㆍ육체의이분법적 틀에 의거하여 등한시 여겨진 경우가 잦았고, 때문에 종합적 존재론적 영역인 신체에 대한 논의가 미비했다. 이에 본고는 메를로-퐁티의 철학에 의거하여 몸의 행위와 문학 감상의 관계를 살피고, 문학 감상 행위로서의 그리기 행위와 그로부터 생산되는 그림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또한 퐁티가 추앙한 세잔 회화의 의미를 살피며 실제 학습자의 문학 감상으로서 그림 그리기 활동 양상과 의미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기왕의 문학교육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진 그림 그리기의 의미를 몸철학과 결부지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실제 양상에 바탕하여 교육적 의미를 살피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hilosophically explore the meaning of drawing pictures as a literary appreciation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by paying attention to the body. Previous literary education has focused on expressing it in a “thick language” in literary appreciation, based on psychocentrism. However, literature as art also contains a sensuous message, and based on the senses inherent in the body, it intend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rawing. The body can be said to be a kind of storage where experience is accumulated. However, it was often neglected based on the dichotomous framework of the mind and body, and discussions on the body, a comprehensive ontological domain, were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behavior and literary appreciation based on Merleau-Ponty’s philosophy, and examines the act of drawing as an act of appreciating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paintings produced from it.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meaning of Cézanne paintings revered by Ponty and looked at the aspects of painting activities as a real student’s appreciation of literatu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meaning of painting, which was partially dealt with in previous literary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body philosophy and to examine educational significance based on actual aspects.

      • KCI등재

        광주비엔날레의 지역성 구현에 있어서의 전환점: 2010년 《만인보》를 중심으로

        권근영 한국미술이론학회 2017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23

        광주비엔날레는 광주 민주화 운동으로 인한 도시의 상처를 문화적으로 치유한다는 명분을 내 세우며 1995년 국내 첫 비엔날레로 창설됐다. 광주비엔날레의 지역성은 5ㆍ18 민주화운동에 상당 부분 기대고 있으며, 주최측은 이를 ‘광주정신’이라고 표현해 왔다. 초창기엔 본전시에 민중미술 작 품을 출품하는 것으로 지역성을 드러냈으며, ‘지역’의 범위는 광주에서 한국, 재외 교포, 아시아 등 으로 점차 확장됐다. 2010년의 제8회 《만인보》에서는 5ㆍ18과 직접적 연관성이 없는 작품들만으 로 전시를 꾸렸다. 본논문은 《만인보》가 캄보디아 폴포트 정권의 양민 학살 관련 사진, 중국 ‘수조 원’ 등 지구상 ‘또다른 광주’들을 전시장에 소환함으로써 광주의 지역성을 오히려 강화, 지역성 구 현의 전환점을 이루었음을 밝혔다. The Gwangju Biennale was inaugurated in 1995 to commemorate the prodemocracy uprising by the citizens of Gwangju, Korea. Its organizers have cherished and promoted the 'Gwangju spirit' as the singular characteristic of the Biennale. In the early exhibitions, Minjung Art was the predominant theme of the Biennale due to Minjung Art's direct association with the Gwangju uprising. The 8th Gwangju Biennale in 2010, curated by Massimiliano Gioni under the title 10,000 Lives, marked a significant makeover of the Regionality of the Biennale. By featuring the photographs of the genocidal atrocities of the Pol Pot regime of Cambodia, it has asserted the "Gwangju spirit' as a universal guiding principle for the people of the world rather than as a notion tied specifically to the Gwangju uprising. The Gwangju Biennale has thus positioned itself as the artistic venue for all the Gwangju's of the world.

      • KCI등재

        복합 매체 문학교육 논의를 위한 시론- 고등학생 그림소설 감상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

        권근영 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 Vol.- No.178

        This study adopts a multimodal literary education perspective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such education. Textual text has established an unrivaled area, forming a modern framework, and influenced literary education. However, as seen in newspaper novels in the modern era and the cultural play of today's students, literature has a complex possibility in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sever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views the multimodal literature as a transaction beyond the boundaries and that illustrations have significant potential, for both the writer and the reader in terms of expressing visual image.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picture novel” and the research of students. Some students had defensive aspects of multimodal literature, others had ambiguous aspects, and the others had affirmative aspec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presented the points that must be predetermined to proceed to the discussion of multimodal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the actual students’ pattern. 본 연구는 복합 매체 문학교육을 논의하고자 복합 매체 문학을 정의하고 학습자 양상 분석을 토대로 교육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자 언어는 근대적 인식 틀을 형성하며 오래도록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해왔으며, 문학교육은 이러한 영향 아래 문학작품을 문자라는 단일 매체에 천착해왔다. 그러나 근대의 신문연재소설 및 현 학습자들의 문화 향유 양상에서 보듯 문학은 문자 외 여타 매체와 상호 결합하여 총체적인 감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영역으로 복합적 가능성을 지닌 것이기도 하다. 이에 본고는 복합 매체 문학을 매체와 장르의 경계를 넘어선 상호교통적 문학으로 보고, 삽화의 의미를 살폈다. 문자 텍스트의 최초 독자인 동시에 그 메시지를 재해석하여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작가라는 이중적 성격을 지닌 삽화는 단일 매체를 넘어선 의미를 담지하며, 본고는 이러한 맥락에 놓인 ‘그림소설’에 주목하였다. 그림이 문자를 보조하는 수단을 넘어선 그림소설을 감상하는 학습자 양상은 삽화가 문자 텍스트 내용 이해에 방해가 되거나 보조적·잉여적인 것으로 여기는 양상도 있었으나, 양가적이고 분열적인 관점 속 문자와 삽화를 함께 감상하고자 하는 시도를 보이기도 하며, 삽화를 문자와의 대화적 관계 속에서 적극적으로 살피려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복합 매체 문학교육 논의로 나아가기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지점들을 실제 학습자 양상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 서예전 속 미술과 서예 - 국립현대미술관과 LA 카운티 미술관 전시를 중심으로

        권근영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 No.41

        ‘서화동체(書畵同體)’ 즉 글과 그림은 같다는 동아시아의 오랜 표현은 근대 들어 서구의 미술 개념이 들어오면서 사라져갔다. 서예는 미술과 분리됐고, 서예를 다룬 전시도 보기 어려워졌다. 이런 가운데 2019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에서 《선을 넘어: 한국의 서예(Beyond Line: The Art of Korean Writing)》가, 이듬해 서울 국립현대미술관(MMCA) 덕수궁관에서 《미술관에書》가 열렸다. LACMA 전시는 선사 시대부터 근대 이전의 문화재까지 포괄한 통시적 전시였다. 문자의 상형에서 시작해 한국 전통 사회에서 문자가 어떤 힘을 가졌는지, 또 현대 미술가들은 서예에서 어떤 조형적 뿌리를 찾아냈는지까지 보여줬다. 한글에 대한 자료도 함께 전시해 동아시아에서 한국 서예만의 특징을 찾고자 했다. MMCA는 ‘서예도 미술인가’라는 질문을 대전제로 깔고 근대 이후 서양화가들이 그린 문인화·문자추상 등 미술에 구현된 문자와 쓰기, 추상과 필획의 전통을 다루며 주요 서단과 서예가를 중심으로 근현대 서예사를 살폈다. 궁극적으로 두 기관의 전시는 서예와 미술을 접목하고 확장하면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The long-standing East Asian expression ‘seohwa-dongche,’ to write is to draw and to draw is to write, has lost its weight in modern times, where the preference is to define calligraphy as a separate category to art. In 2019,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CMA) held an exhibition entitled “Beyond Line: The Art of Korean Writing.” In 2020,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also held an exhibition entitled “Writing in the Museum.” The LACMA exhibition was diachronic, spanning prehistoric to premodern cultural phenomena; beginning with hieroglyphics, the exhibition showed the power of writing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how contemporary artists have found formative roots in calligraphy. The MMCA examined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alligraphy, focusing on major calligraphers and calligraphy as well as the calligraphic abstraction of Western painters in Korea. As its premise, the MMCA asked one question: ‘Is calligraphy an art?’ Ultimately, the exhibitions of these two institutions create new stories by joining and expanding the scope of calligraphy and art.

      • KCI등재후보

        신화비평으로 바라본 북한의 문학

        권근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1 국어교육연구 Vol.48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terary sanctions in North Korean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yth criticism and to examine the narrative basis and meaning of North Korean literary works. In this regard, this study employs structuralist perspective with a focus on N.Frye's myth criticism. In this form of criticism, we consider the protagonist's ability to act, narrative style, and catharsis, while examining the Mythos theory that matches the four seasons’ images with the story categories. From Frye's perspective, the <Father's Face> sanc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two emotions of catharsis and transcendental stability are triggered and the conflicting Mythos of summer and winter are mixed. This study found that these narratives together could be read based on subject literary theory. North Koreans can form the causal logic of the narrative, build a sense of solidarity, and internalize the narrative of the ideology amid the confusion of the ego.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narrative basis and meaning of the North Korean literary canon. 본 연구는 북한 교과서 수록 문학 제재를 신화비평의 관점에서 살피고, 북한 문학작품의 서사 기저 및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북한 문학연구는 주로 사회 반영론적인 입장을 취해왔는데, 이러한 관점은 문학 내부에서 자생적으로 이루어지는 의미를 살피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는 발화된 표현 이면의 체계를 살피는 구조주의적 접근에 주목하여, ‘오체르크-실화문학’을 구축해온 북한문학 및 사상교육으로서의 북한문학교육을 우선적으로 살피고, 구조주의적 관점을 문학과 밀접하게 관련한 프라이(N. Frye)의 신화비평을 살폈다. 신화비평에서는 주인공의 행위능력, 서사양식, 카타르시스의 개념을 살피는 한편 봄·여름·가을·겨울의 사계절 이미지와 희극·로맨스·비극·아이러니와 풍자라는 이야기 범주와 대응시킨 뮈토스 이론을 살폈다. 이러한 프라이의 관점을 바탕으로 <아버지의 얼굴> 제재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로맨스적 인물과 신화적 인물로 이원화된 행위 주체가 드러난다는 점, 카타르시스와 초월적 안정감이라는 두 감정이 촉발된다는 점, 여름의 뮈토스와 겨울의 뮈토스라는 상반된 뮈토스가 혼재된다는 점이 그것이다. 한편, 북한 주민들에게는 이러한 서사가 주체문예론에 입각하여 읽힐 수 있음을 함께 살폈다. 북한 주민들은 해당 서사의 원수님의 발화를 통해 서사의 인과적 논리를 형성하고, 원수님과 연대감을 형성하여 국가적 자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자아의 혼동 속에서 주체사상의 서사를 내면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보편성을 추구하는 구조주의적 관점의 신화비평을 통해 북한 문학작품 전반의 서사 기저 및 의미를 살폈다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