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평면모델 기반 수중 비디오 모자익 제작에 관한 연구 방안

        권광석(Kwang-Seok Kwon),우희숙(Hee-Sook Woo),강진아(Jin-A Kang)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9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

        In this paper, it was outlined a methodology to reconstruct three dimensional planes from underwater-video frames with positions, attitudes and altitudes of an underwater camera at same times. To reconstruct target planes, there are some assumptions that camera is aligned to the flat seafloor and imageries are obtained with slant view to the bottom. In these conditions, digital photogrammetry and GPU(Graphic Processing Unit) based parallel processing methodology help us to get more quickly underwater-video mosaic imagery with reconstruction of three dimensional surface. This proposed method let us to get position, distance and area in video frames with flat surface model based reconstructions. It is expected that more quantitative and transcendental informations in underwater will be provided by combining digital photogrammetry with recent IT technologies.

      • 널포인트 주사탐침열현미경을 이용한 SOI 기판위의 전기적으로 가열된 나노 히터 주변 온도분포 정량적 계측

        광석(Gwangseok Hwnag),진재식(Jae Sik Jin),오명(Ohmyung Kwon)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As the gate length of field-effect transistors (FETs) has been scaled down below 50 nm, the characterization of selfheating problems becomes a great challenge. Due to the lack of quantitative measurement technique at nanoscale, the estimation of hot spot behavior in FETs mostly relies on model based on the Boltzmann transport equation (BTE). However, significant inconsistencies are founded in the estimated temperatures of the hot spot due to the different approximations adopted in the BTE models. Herein, we investigate the behavior and temperature of the hot spot by profil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cross the electrically heated nano-heater patterned on the Silicon-On-Insulator with the null point scanning thermal microscopy, which can quantitatively measure the temperature profile with nanoscale resolution.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ly obtained temperature profile with modeled one with BTE, we can provide the standard approximation for the optimized thermal design of nano-electronic devices.

      • Exif 태그 및 자료 동기화를 이용한 대용량 모바일 매핑 자료 관리체계 연구

        우희숙,권광석,안기석,Woo, Hee-Sook,Kwon, Kwang-Seok,Ahn, Ki-Seok 한국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1

        CCD 카메라, GPS 및 IMU 등을 갖춘 모바일매핑시스템은 도로를 따라서 도로 영상 뿐 만 아니라 동시에 주변 시설물에 대한 많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취득된 다수의 파일은 후처리 작업이 많을 경우 자료의 누락 또는 변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다양한 조사지역에 대해서 여러 조사팀에 의해 자료가 생산되기 때문에 자료들이 상충하거나 품질이 차이가 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모바일 매핑 자료 관리를 위해 영상 태그 규격인 Exif를 이용하여 정밀한 GPS 시간과 필수 정보를 내재화하여 조사자료 관리 체계를 위한 일관된 관리식별코드로 활용한다. 또한 대용량 영상파일과 관련 정보를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자료 동기화 기술을 이용한다. Mobile mapping systems with CCD cameras, GPS and IMU etc. can acquire massive photos and geographic informations along by roads. But it is easy to involve many errors or omissions of images and informations about roads and facilities with various files. And there were contained any conflicts or non-consistencies in massive mobile mapping data which were acquired by multiple survey teams in various survey regions. As an image tag standard, Exif helps us to encapsulate the precise GPS times and essential informations in the header of JPEG files and uses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for consistent managements of massive mobile mapping data in this paper. And Systematic management systems with data synchronization technology manage more consistently massive photos and their information.

      • 고속카메라와 MEMS IMU/GPS를 이용한 모바일매핑시스템 경량화 방안 연구

        우희숙,송기성,권광석,김병국,황택진,Woo, Hee-Sook,Song, Ki-Sung,Kwon, Kwang-Seok,Kim, Byung-Guk,Hwang, Taik-Jea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4

        최근 공간영상정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신속하게 공간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모바일매핑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모바일매핑시스템은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면서 공간정보를 취득하기 때문에 고가의 높은 정밀도를 보장하는 관측시스템(다수의 카메라, IMU/GPS, 시각동기화 장치, 자료취득 및 처리장치)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관측시스템 구성은 자료 생산 과정이 복잡해지고 일정 수준 이상의 차량 조건을 만족해야하기 때문에 적용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시각동기화 장치를 대체하고, MEMS IMU/GPS로도 양질의 공간영상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경량모바일매핑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 시스템 구조 및 처리 과정이 단순화되어 구축 및 운용비용이 줄어들고, 휴대가 가능한 수준으로 크기로 줄어들어 다양한 부문에서도 신속한 공간영상정보를 신속하게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demand for geo-registered imagery, Mobile Mapping Systems(MMS), which can quickly construct geographic information, has become important. The main part of MMS is the high-precision observation system, which collects geographic information at a certain speed. MMS has a complex data generation process and requires a standard-specific vehicle for its use, limiting its application range. In this paper, lightweight MMS is proposed to overcome its complexity by replacing the time synchronizer with a high-speed camera and by stabilizing motion with MEMS IMU/GPS. The proposed low-cost, portable method is expected to produce of geo-registered imagery efficiently.

      •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매핑시스템 관련 기술 동향 조사

        김종찬(JongChan Kim),권광석(KwangSeok Kwon),안기석(GiSeok Ahn),김병국(ByungGuk Kim)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9

        다양한 영상 콘텐츠의 발전으로 전방위 카메라의 활용도가 높아졌다.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모바일매핑시스템에서 전방위 영상을 취득하여 고품질의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보안환경, 건축,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방위 카메라를 활용하고 있지만 이미지 센서 발전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에 대한 동향 조사가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센서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센서와 전방위 영상 취득 시스템 및 전방위 영상 기반 공간정보 동향을 알아보았다. 다양한 전방위 카메라가 생기면서 전방위 카메라를 활용하는 분야가 많아졌다. 고해상도 영상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대부분 복수의 렌즈를 이용한 전방위 카메라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거울 기반 전방위 카메라가 해상도가 낮아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메라 센서의 발전에 의해 거울 기반 전방위 카메라가 복수 카메라를 이용한 전방위 카메라 보다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 주사탐침열파현미경 기반의 정량적 열전도도 계측기법을 이용한 Bi₂Te₃ 나노선의 열전도도 계측

        박경배(Kyung Bae Park),광석(Gwangseok Hwang),정의한(Eui Han Jung),오명(Ohmyoung Kwon)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Recently, the thermal characterization at nanoscale plays a key role in developing the high-performance thermoelectric materials and electric devices based on the nanomaterials. Although various thermal characterization methods at nanoscale have been reporte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results; thermal bridge method is difficult to obtain the thermal conductivity quantitatively due to the disturbance by thermal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heater and material; Raman spectroscopy has the diffraction-limited spatial resolution, which is about 1 ?m, so that it is not suitable for nano-materials and - devices. Herein, we develop the thermal characterization technique for measur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nanomaterials by utilizing the scanning thermal wave microscopy (STWM), which enables to measure the phase lag and amplitude of thermal waves quantitatively with nanoscale spatial resolution. By comparing the measured phase lag with the theoretical result, one can obtain the quantitative thermal conductivity. Since STWM utilize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phase lags of the thermal wave at high frequency, the disturbance due to the thermal contact resistance can be ignored. In this study, we quantitatively measur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Bi₂Te₃ nanowire, which is widely studied in developing the high-performance thermoelectric materials, on the Si₃N₄/Si substrate with the newly developed thermal characterization method based on STWM.

      • KCI등재

        일관된 해안선 길이 산출을 위한 프랙탈 차원 적용 방안 연구

        우희숙(Woo, Hee Sook),권광석(Kwon, Kwang Seok),김병국(Kim, Byung Guk),조석현(Cho, Seck H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4 No.4

        일관적인 해안선의 사용은 지자체간의 이해관계와 해상경계를 일관적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일관된 해안선 생산을 위해 2001년 이후 전 국토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체계적인 관리의 미비, 부정확한 자료 등으로 연도별 해안선의 길이는 상이하였다. 또한 지형 표현 방법의 현실화를 위해 해도에 있는 해안선을 수치지형도에 표시하도록 개정[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형도 작업규정-제 19조 제3항]하였으나 다양한 측량기술과 해안선 추출방법에 따른 해안선 길이의 편차(불일치)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유사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프랙탈 기법인 수정 분할자법(modified divider method)를 사용하여 제주도 해안선 길이 특성을 분석하였다. 적절한 분할자 사용을 위해 수치지형도 작업규정 공공측량 개정안에 있는 벡터화의 정확도를 실제거리로 환산하여 결정하였다. 수행 결과 1:5,000 자료에서 제주시는 1.14, 서귀포시는 1.12이며, 1:25,000 자료에서 제주시는 1.13, 서귀포시는 1.10로 제주시가 복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안선의 길이가 복잡도와 축척에 따라 전체 해안선 대비 산출길이의 비율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일관된 해안선 길이 산출을 위해 실제 해안선을 표현할 수 있는 최소 정점 간격에 대한 연구 및 최소 해안선 길이 비율에 대한 기준 제시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use of consistent coastlines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maritime boundaries and the interests of local governments. The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for consistent coastline production , since 2001. As a result, the length of coastline was different by year. Because of the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the use of incorrect data, etc. We also changed the coastline on the sea chart to show on a digital map for realization of terrain expression method. However, there was a variation in shoreline length due to various surveying techniques and shoreline extraction methods.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Jeju-do coastline were analysed by using a modified divider method of fractal dimension. The accuracy of the vectorization was determined by converting the actual distance in the Public Survey Amendment for proper divider use. With 1:5,000 and 1:25,000 digital maps of Jeju-si and Seogwipo-si each fractal dimensions were calculated. Jeju-si=1.14 and Seogwipo-si=1.12 in 1: 5,000. Jeju-si=1.13 and Seogwipo-si=1.10 in 1: 25,000. Calculated fractal dimension were correlated to data from digital maps. It was considered that complexity and scale of coastlines affected. In the future coastline length statistics and minimum ratio of calculated coastline length to original length need to be determined for consistency of coastline length statistics.

      • KCI등재

        수치사진측량을 이용한 수중 파이프 비디오 모자익 영상 제작에 관한 연구

        강진아 ( Jin A Kang ),권광석 ( Kwang Seok Kwon ),김병국 ( Byung Guk Kim ),오윤석 ( Yoon Seuk Oh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1 No.4

        현재 국내의 수중 및 해양 시설물 관리는 아날로그 필름에 의한 육안분석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다 정량적인 수중시설물의 공간적인 상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중영상 왜곡보정과 모자익 제작의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수중영상 왜곡보정 단계에서는 수중 타겟을 제작하고 타겟 격자점으로부터 왜곡계수를 산출한 후, 수중영상으로 포착한 영상점을 왜곡이 보정된 영상점으로 위치 보정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모자익 제작 단계에서는 먼저, 수중에 송유관 형태의 파이프를 설치한 후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왜 곡보정을 실시한 후 보정된 파이프 영상을 좌표 변환 후, 산출된 특이점을 바탕으로 모자익 영상을 제작하고 필터링을 통해 외곽선 추출하고 파이프와 수중바닥과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실제 파이프와 수중지반과의 거리가 6cm일 때 평균 RMSE 0.3cm로 나타났다. The present domestic underwater and ocean facilities management depends on analysis with the naked eye. This study performs quantitative analysis to improve conventional methods, analyze spatial situation of underwater facilities.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steps; underwater image distortion correction and image mosaic step. First, underwater image distortion correction step is for the production of underwater target, calculates the correction parameters, and then developed the method that convert the original image point to whose distortion is corrected. Second step is for the obtaining pipe images installed in the underwater, corrects the distortion, and then transforms a coordinates of the correction pipe image. After coordinate transformation, we make the mosaic image using the singularities. As a result, when we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pipe and underwater ground and compare with calculation value on mosaic image, it is showed that RMSE is 0.3c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