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어의 음운론적 유형에 대한 연구

        권경근(Kwon Kyung-keun) 우리말글학회 2006 우리말 글 Vol.37 No.-

        This study discusses the phonological type of the Korean language. Various typological approaches which reflect phonetic or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parameters. Autonomous phonological typology is based on phonological parameters and their relationships. In unautonomous phonological typology, morphological or syntactic parameters are employed or there is a simple classification by only a few parameters. Korean is classified as a syllable-timed language, an iambic language, a syllable language, and a length language according to typological models. For defining the phonological type of the Korean language more adequately, it is necessary to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prosodic features, especially Korean phonological features such as vowel length and syllable cut, and relationships between prosodic units and phonological phenomena and to devise a typological model which is based on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sive of these relationship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발음교육의 요소와 범위

        권경근(Kwon, Kyung-Ke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58 No.-

        한국어 발음교육은 의사소통에서의 발화를 전제로 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한국어 발음교육에서는 분절음과 음절구조 및 단어 내의 음운현상 위주로 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글에서는 발화를 바탕으로 발음교육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발화에서 실현되는 발음의 특성을 검토하면서 실제 발화에는 분절음, 초분절음, 운율단위가 함께 포함되어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발음교육에는 세 요소 즉 분절음, 초분절음, 운율단위의 교육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한국어 발음교육의 범위를 의사소통에서 음성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발화로 설정하였다. 또한 발음교육의 요소와 관련하여 한국어 발음교육 연구의 편향된 현황을 살펴보고, 발음교육과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와의 연관성을 검토하며 앞으로의 한국어 발음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elements and scope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Good pronunciation is very important for oral communication which consists of utterances. Therefore, the aim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should be to teach Korean learners to pronounce an utterance correctly. But previous discussion of and research 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cused on the education of segments, suprasegments, syllable structure, and phonological phenomena within a word boundary. For an adequate pronunci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onunciation of utterance. The scope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needs to be broadened to include an utterance which carries a meaning in communication. I try to catch elements of the pronunciation of utterance in oral communication and show three elements including segments, suprasegments, and prosodic units should be learned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Moreover, it is shown that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is also related to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 KCI등재

        국어 모음의 음운론적 세기에 대하여

        권경근(Kwon Kyung-keun) 우리말글학회 2007 우리말 글 Vol.40 No.-

        This study discusses the phonological strength of Korean vowels. Phonological phenomena are analysed and understood adequately in terms of inherent strength and positional strength. Sonority and aperture are universal scales of the inherent strength of segments. But with the universal sonority or aperture, the relative strength among vowels which belong to the same sound class is not properly described. Moreo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itional strength of prosodic units. The initial of prosodic units is positional strong, the end position positional weak. I try to show the scale of the phonological strength of Korean vowels. To do this, all Korean vowels in hiatus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yllable reduction, the relative phonological strength of Korean vowels is shown.

      • KCI등재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김상수(Sang Soo Kim),권경근(Kyung Keun Kwon) 한국어학회 2011 한국어학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ddresses the mismatch between the intended and actually elicited speech functions from a Korean speaking test. In order to provide test developers and users with a clearer idea of why intended functions to be specified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and, if necessary, revised in item development and rating process. This study begins with examining the communicative functions to be assessed in Korean speaking test tasks. The features in predicted and unexpectedly elicited speech functions are discussed. It is found that there are some divergences between intended and actually elicited speech function in Korean Learners. The finding from this study implicat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a speaking test and will positively link to the related issues in Korean speaking test, raters, and material developers.

      • KCI등재

        부산과 수도권 지역의 세대 간 /ㄴ/ 첨가 현상에 대한 연구

        고아진(Go Ah-Jin),권경근(Kwon Kyung-Keun) 우리말학회 2021 우리말연구 Vol.64 No.-

        본 연구는 부산 지역과 수도권 지역의 여러 세대에 걸쳐져 있는 지역 화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ㄴ/ 첨가 실현 양상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 간에 나타나는 /ㄴ/ 첨가 현상의 실현 양상뿐만 아니라 세대 간 실현 양상을 함께 고찰하였다. 또한 /ㄴ/ 첨가 현상에서 나타나는 실제 양상과 더불어 /ㄴ/ 첨가에 대한 인식 양상을 함께 살펴보았다. 1차 조사 분석에서는 총 59개의 어휘 중 54개의 어휘에서 표준 발음 여부와 상관없이 부산 지역의 /ㄴ/ 첨가 실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세대 간에 나타나는 /ㄴ/ 첨가 실현 양상을 살펴보면 수도권 화자들에 비하여부산 지역 화자들의 세대 간 차이가 좀 더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30세 이하의 /ㄴ/ 첨가 실현율에 대해서도 좀 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차 조사에서 나타난 실제 발화에서의 /ㄴ/ 첨가 실현 양상을 2차 설문 조사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지역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One language community shares the same language and language rules, but it doesn’t mean that the languages used inside them are homogeneous. Because there are various variants in the language used by individuals as well as in the languag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various phonological variations of pronunciation between Busan and the capital area including Seoul in Korea and speculate its language-internal and language-external factors . This study is focused on explaining the phonological variation related to different social factors of the speakers. Looking at it by the vocabulary within the generation, it shows that almost tested vocabularies have a higher rate of /n/ realization in the Busan region than in the Metropolitan area. It is also shown that the trend of /n/ insertions between generations varies depending on the following vowels.

      • KCI등재

        한국어와 중국 방언의 대조 연구 동향 분석 - 음성·음운 연구를 중심으로 -

        남우정(Yuting Lan),권경근(Kyung-Keun Kwon) 우리말학회 2023 우리말연구 Vol.74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중국 방언의 음성·음운 대조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검토·분석하고 문제점과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그간의 연구 성과를 연도별, 연구 유형별, 방언권별, 연구 내용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와 중국 방언의 음성·음운 대조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자료가 양적으로 많이 부족한 점, 중국어 방언권 분류 기준이 일치하지 않는 점, 일부 중국어 방언권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어 있는 점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중국의 대방언이나 차방언의 음운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운율 단위, 음절 구조 제약, 음소 결합 제약 등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고 방언의 실제 사용 현황에 대한 인식 또한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중국 방언의 음성·음운 대조 연구가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면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앞으로 이 분야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발전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the phonetic and phonological contrast between Korean and Chinese dialects, identified problems, and proposed future tasks.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yearly, by type, by dialect region, and by content, we identified trends in the study of phonetic and phonological contrast between Korean and Chinese dialects. We pointed out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quantitative research data, inconsistent standards for classifying Chinese dialects, and the concentrated research on certain Chinese dial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na's major dialects and sub-dialects. There was also a lack of research related to prosodic units, syllable structure constraints, and phonotactic constraints, and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actual usage status of dialects. Further, searching for directions for the systematic phonetic and phonological contras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dialects, we proposed future research tasks. We hope for more systematic and advanced research in this fiel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