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EC 모형을 활용한 지방 주택중개시장의 영향 요인 및 활성화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

        구정아(Ku, Jeong-Ah),김영철(Kim, Young-Chul),김종진(Kim, Jong-Jin) 한국주거환경학회 2022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0 No.2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hanging economic and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population, interest rate and consumer price index on house brokerage markets by focusing on gradually sluggish housing markets in Jeollabuk-do For methods, a time seri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was employed in that the number of house brokerage and input variables have characteristics observed in a time series way.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schemes of housing brokage market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regional differences in terms of population movement, outflow, inflow and aging. Second, house brokerage markets in local cities are affected by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nd consumer price index so that it is important to take a look at changing commodity price as well as varying economic situation. As the patterns of economic development vary according to regio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is point from which house brokerage markets could be immensely affected. Third, the need to forecast the potential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underway on house brokerage markets should be considered given regional differences. Lastly, the recession of house brokerage markets can be seen as natural as its value as investment goods is underrated in that there is a right 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houses in economically advanced South Korea. Against this backdrop, developing both house brokerage markets and real estate management markets will be an important breakthrough like advanced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이미지, 장애원인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특수교육관련 종사자의 인식 비교

        구정아 ( Jeong Ah Ku ),박승희 ( Seung Hee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관련 종사자 세 집단이 5가지 장애사례(지체장애, 지적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자폐성장애)를 통해 인식하는 장애이미지, 장애원인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밝히고 세 집단의 인식 차이가 지니는 함축성에 대해 논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울, 인천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특수학교 및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97명과 통합학급의 일반교사 98명, 특수교육보조원 93명을 합한 총 288명의 설문지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장애상황태도척도(McQuilkin, Freitag, & Harris, 1990)와 장애요인척도(William, Hershenson, & Fabian, 2000)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특수교육관련 종사자 세 집단 모두 장애이미지가 높지 않았으며 세 집단이 인식하는 장애이미지는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가지 장애사례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와 각 장애사례별로 살펴보았을 때 모두 장애이미지 점수 평균이 특수교사, 특수교육보조원, 일반교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관련 종사자가 인식하는 장애원인은 장애사례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와 각 사례별로 살펴보았을 때 하위요인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관련 종사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제공방법을 장애사례를 종합하여 살펴보았을 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각 장애사례별로 살펴보았을 때는 하위요인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교육에 직접 관여하고 협력해야 할 특수교사, 일반교사 및 특수교육보조원이 장애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그 세 집단 간 인식 차이 자료를 처음으로 제공하였다. 세 집단 모두 장애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장애학생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이 세 집단 간의 장애인식 차이를 줄이고 협력 증진이 촉구된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관련 종사자의 장애에 대한 다학문적 균형잡힌 관점과 심화된 이해를 위한 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 toward disabilities among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especially focusing on images of and attributed causes of and service op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were 97 special education teachers, 98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93 paraprofessional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nd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chon and Gyeonggi. The questionnaires were organized based on modified version of the Situational Attitude Scale, Handicapped Version(SASH) and the Disability Attribution Scale. In this study were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was conducted one-way ANOV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On the images of disabilities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teachers and paraprofessionals by combining 5 cases of disabilities and respectively. On the attributed causes of disabilities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in some subfactors of causes of disabilities. On the service op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th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by combining 5 cases of disabilities. However, according to each case we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subfactors of services op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needed for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to narrow the gaps of the perception and to enhance positive perception toward disabilities. An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tinued to reduce the gaps of these perceptions and to increase the necessary supports for enhancing collaboration among related special education personnels for quality education for all students.

      • KCI등재

        중도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을 위한 몸짓상징 사용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구정아(Ku, Jeong-Ah),박은혜(Park, Eun-Hy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방안으로 몸짓상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중도 장애학생을 지도하거나 양육하고 있는 5명의 특수교사와 5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제시된 대주제와 하위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중도 장애학생과의 의사소통 경험-제한된 소통 방식과 그로 인한 어려움, 의사소통을 위한 나름의 노력, (2) 의사소통으로써 몸짓상징-긍정적 인식 요인, 부정적 인식 요인, (3) 몸짓상징 개발을 위한 지원 요구-개발 영역 및 내용에 대한 고민, 다양한 개발 형태에 대한 요구, 몸짓상징으로써 고려되어야 할 사항, (4) 몸짓상징 활용을 위한 지원 요구-활용의 확대를 위한 노력, 정책적 및 제도적 지원 요구. 결론: 연구 참여자들은 중도 장애학생의 제한된 소통방식으로 인해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에 따라 몸짓상징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몸짓상징 개발을 위한 제안과 논의점을 서술하였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needs for the use of simplified manual sign for communic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abilities.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special teachers and 5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into 4 main themes and 9 sub-themes as follows; (1)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limited expression, one’s own efforts to communicate, (2) Simplified manual sign as a means of communication-positive recognition, negative perception, (3) Need for support to develop simplified manual sign-consideration for development area and contents, demand for various forms of development, consideration for simplified manual sign, (4) Need for support to use simplified manual sign-efforts to expand utilization,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needs. Conclusion: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due to limited expression. As a result, they showed various demands and high expectations for the use of simplified manual sign.

      • KCI등재

        장애학생 원격교육 및 교육지원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구정아,손지영,Ku, Jeong-Ah,Son, Ji-Young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2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arents' perceptions of the distance learning provid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explore the demands for educational support.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392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rvey question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learning support to prevent educational gap, support fo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care support for educational welfar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face-to-face education in schools was the most important to prevent the educational gap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unseling on distance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in connection with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as the most necessary. As a learning support method for distanc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was a high demand for individual learning support through preparato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t was necessary to secure enough learning aids an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be used appropriately when needed. In additio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requested, and there were demands for development of care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nd assignment of dedicated personn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bridge the learning gap and provide educational support due to distance learning.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의 장애에 대한 인식 고찰

        김수현(Kim, Suhyun),구정아(Ku, Jeong-Ah)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당사자들이 자신의 장애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11명의 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4~5회에 걸쳐 심층 면담하였다. 전사본과 연구일지 등의 자료들은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수집된 자료들을 질적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제시된 대주제와 하위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관계 경험-놀림과 배제, 장애관련 종사자들의 억압과 제한, 도움을 받음, 관계망 형성을 기대, 부정확하고 불충분한 장애관련 정보, (2) 나는 누구인가?-능력이 부족함, 나는 장애인일까?, (3) 장애란 무엇인가?-무능력, 나쁜 것, 극복해야 할 것, 비밀, (4) 사회적 거리 유지하기-장애관련 서비스 및 종사자, 나보다 심한 장애인, 지체 및 감각 장애인, 비장애인. 결론: 지적장애인들은 자신의 장애에 대한 정보를 주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얻고 있었으며, 자신을 능력이 부족한 사람으로 여기거나 자신의 장애를 거부, 왜곡하는 모습과 더불어 장애를 수용하기는 하나 아쉬움을 느끼는 등 다양한 각도에서 장애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고려되어야 할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n disability and disability identit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11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 group interviews and sever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Results: Results revealed 4 main themes with 15 sub-themes. Main themes and sub-themes were as follows: (1) Experience of social relations - teasing and exclusion, oppression and restriction, seeking help, expecting to form a network, inaccurate and insufficient disability information, (2) Who am I? - lack of ability, Am I disabled?, (3) What is a disability? - incompetence, negative issues, things to overcome, secrets, (4) Keeping social distance– disability-related services and workers, persons more severely disabled than me, persons with physical or sensory impairments, non-disabled person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ir disabilities mainly in social relations, and were aware of their disability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rejection and distortion, feeling discomfort even though they accepted their disability. Based on findings, prac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m were discussed.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장애학생 대상 원격교육 지원을 위한 교사 및 학부모 요구 분석

        차현진(Hyunjin Cha),구정아(Jeong-Ah K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코로나의 확산처럼 국가 위기 상황에 원격교육이 혼합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원격교육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원격교육에 대하여 교사 및 학부모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지원 방향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의 특수교사 총 1,462명과 장애학생이 학교에 재학 중에 있는 총 2,393명 학부모를 대상으로 2021년 3월 말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교사의 경우에는 원격수업 플랫폼 및 콘텐츠, 교수-학습 지원, 원격학습 관리 및 제도에 관한 어려움과 요구조사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학부모의 경우에는 장애학생의 원격수업 플랫폼 사용의 어려움, 원격수업 과정에서의 어려움, 학부모 대상 지원 등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데이터는 기술 통계 분석과 다중응답 빈도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학교급에 따라 특수교사들의 요구사항이 다르지만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친화적이고 접근가능한 플랫폼, 장애유형별 다양한 콘텐츠, 콘텐츠 저작 환경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였다. 또한, 장애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원격수업의 교수학습을 지원하고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북, 매뉴얼 및 우수사례 등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교사 및 장애학생 모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연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부모가 생각하는 효과적인 원격수업 방법의 차이를 확인하면서 상호 이해할 수 있는 우수 사례 발굴과 공유를 통한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장애학생의 원격수업을 위해 플랫폼, 콘텐츠, 교수⋅학습 측면에서의 지원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장애학생 학교급 및 학교유형별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차이에 따른 효과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지원 방향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In the post-corona era, when distance education must be performed in a state of a national crisis like the spread of Covid-19,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needs and support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distance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distance education conduct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s To achieve the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462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and a total of 2,393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school.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eeds for a friendly and accessible platfor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various contents by type of disability, and content authoring environment were identified, although the requiremen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ffer by school leve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ebooks, manuals and best practices that can support and evaluate effective distanc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training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raised. Finally, it is identified that best practices should be shared to make both teachers and parents understand each other, since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ive distance learning methods that teachers and parents think.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derived requirements for support in terms of platform, content, and teaching/learning for remote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oreover, the differences by school level and school typ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effective distance learning according to these difference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손지영(Ji-Young Son),차현진(Hyunjin Cha),구정아(Jeong-Ah Ku) 한국특수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4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원격수업의 장점을 활용한 새로운 특수교육 체제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격수업 상황에서 장애학생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16명의 전문가 패널(교수, 행정가, 교사, 학부모)을 구성하여 2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장애학생 지원 방안의 기본적 틀을 구성한 다음,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학생 지원 방안으로서 원격수업과 교육지원의 두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별로 3개의 세부 영역으로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국가 위기 상황에 대비하여 장애학생을 위한 미래교육 모델을 구축하고 맞춤형 원격수업 지원 체제를 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it is necessary to ready a new special education support system that utilizes the advantages of distance lear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plans for distance learning and educational support that could effectively educat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distance learning situation. For this purpose,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by organizing a panel of 16 experts (including professors, administrators, teachers, and parents). Through the first Delphi survey, the basic framework of distance learning and educational support was constructed. Then, the final draft was derived through the second Delphi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raft was divided into two areas, distance learning and educational support, whereas the support plans were presented in three sub-area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future education mode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 customized education support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and national crisis.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AAC)중재 서비스에 대한 장애인 당사자의 요구분석

        임장현(Lim, Jang Hyun),박은혜(Park, Eun Hye),구정아(Ku, Jeong Ah)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1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의 기본적인 의사소통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AAC)지원 체계가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후천적 장애 등으로 인한 성인기의 잠재적 AAC 사용자 수요는 영유아기, 학령기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서는 성인 AAC 지원 관련 선행연구도 부족하고 장애인 당사자의 AAC 중재 요구조사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9명의 뇌병변장애, 지체장애, 지적장애를 가진 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현재 의사소통의 제한으로 인한 어려움과 의사소통 관련 중재 경험, AAC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AAC 중재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면담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 이루어졌고 면담 전사본을 작성하여 지속적 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주제(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개인의 경험, AAC 중재 경험과 인식, 사용자 중심의 AAC 중재서비스 기초 마련, 사용자 중심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를 위한 제안)와 13개의 하위주제로 분석되었다. 성인으로서의 독립적 생활에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AAC 기기 개발 및 관련 정보와 사회인식의 부족, 또한 서비스 제공기관이나 시스템 자체의 부족이 문제점인 것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사회적 서비스 측면에서 수요자 중심의 AAC 중재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제안과 논의점을 서술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AAC, and providing the sugges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To serve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ult showed 4 main themes with 13 sub-categories. Main themes follow : (1) the personal experiences on communication difficulties, (2)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AAC intervention, (3) forming the basis of consumer oriented AAC intervention service, (4) the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AC service delivery system for service users. On the whole, although the need for AAC was great because of participants' communication problems, the experiences of AAC use were limited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accessability. Therefore, more accessible and effective AAC service delivering system for service users were nee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전문가의 경험과 요구 탐색

        전혜인(Jeon Hae-in),김라경(Kim Rah-kyung),구정아(Ku Jeong-ah)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전문가의 경험과 요구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모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발달장애자녀 부모 5명과 부모교육 제공 경험이 있는 전문가 4명을 포함하여 총9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 내용은 전사한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하여 질적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대주제와 8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부모가 직면하는 어려움 대주제에서 도출된 소주제는 부모 및 가족의 심리적 스트레스, 자녀 양육기술 및 정보의 부족, 제한적인 부모지원 서비스 및 지역적 편차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을 위한 실천적 요구 대주제에서 도출된 소주제는 장애에 대한 인식전환 및 객관화. 장애아동 각 가정에 개별화된 맞춤형 교육, 가정과 연계된 실습중심의 부모교육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 부모교육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라는 대주제에서 도출된 소주제는 조기중재의 팀 접근을 통한 부모지원, 체계적인 연계된 복지서비스의 필요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에 관한 운영 방향에 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parents and experts on paren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wo groups:(a) 5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experience in parent education, (b) 4 experts with experience in providing parent education. After transcribing all interviews, constant comparative method was used.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3 major theme and 8 sub-themes were derived. First, the sub-themes derived from the major themes of difficulties faced by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ppeared to be a) psychological stress of parents and families, b) lack of child caring skills and information, c) limited parent support services, and regional variations. Second, the sub-topic derived from the large topic of practical demands for parent education is needs of a) change of perception and objectification of disability, b) individualized parent education for each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 practices related to each home base. Third, the sub-theme system derived from the main theme of institutional supports for education for parents with disabilities appeared to be a) parent education and involvement in early intervention and b) systematic collaboration among welfare services. Th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paren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