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암 발생의 민감성과 RNase3 유전자 다형성과의 연관성

        구자욱(Ja Wook Koo),강동백(Dong Baek Kang),박원철(Won Cheol Park),이영환(Young Hwan Lee),강인홍(In Hong Kang),채수천(Soo Cheon Chae),이정균(Jeong Kyun Lee) 대한외과학회 2010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8 No.5

        Purpose: RNase3 is a secretory ribonuclease, which is found in the eosinophilic leukocyte and involved in the innate immune system. Its cytotoxic activity is effective against a wide range of pathogens. We performed a case-control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Nase3 polymorphisms and the susceptibility of gastric cancer in Korean people. Methods: Blood sampling of stomach cancer and healthy persons groups were performed, Taqman in g.-550A>G,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in g.371C>G, and high-resolution melt in g.499C>G were analyzed. The thre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g.-550A>G, g.371C>G, and g.499C>G in RNase3 and their haplotypes were analyzed. Results: The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RNase3 g.-550A>G and g.371C>G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susceptibility of gastric cancer than control group. But, RNase3 CC genotype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increased susceptibility of gastric cancer than control group (P=0.002). Also, RNase3 CC genotype was more specifically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increased susceptibility of middle and lower gastric cancer than upper gastric cancer (P=0.002). In haplotype of RNase3 SNP g.-550A, g.371G, and g.499C, there was significantly susceptibility of gastric cancer (P=0.004), and more specific influence on middle and lower gastric cancer than upper gastric cancer (P=0.006 vs 0.054). Conclusion: RNase3 g.499C>G polymorphism may influence gastric cancers, and have a more specific influence on middle and lower gastric cancer rather than upper gastric cancer. But RNase3 g.-550A>G, g.371C>G polymorphisms need careful interpretation and confirmation in more larger studies.

      • KCI등재후보

        방광요관 역류증 환아의 단회뇨에서 요단백 및 효소 배설 측정

        윤정림,구자욱,Yoon, Jung-Rim,Koo, Ja-Wook 대한소아신장학회 200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3 No.1

        목 적 : 방광요관 역류증 환아의 단회뇨에서 요단백 및 효소(Microalbumin, NAG, ${\beta}_2$ MG)의 배설을 측정하여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나 신손상을 조기에 예측 할 수 있는 지표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요로감염증으로 진단 받았던 91명의 환아 중 방광요관 역류와 신결손이 없었던 환아 I군 (n=62), 신결손은 없이 방광요관 역류만 있었던 환아는 II군(n=10), 신결손 및 방광요관 역류증을 모두 가지고 있었던 환아는 III군(n=19)으로 분류하여 아침첫 소변에서 microalbumin, NAG, ${\beta}_2$ MG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방광요관 역류 grade에 따라 VUR Grade I, II, III은 역류의 정도가 낮은 군으로 VUR grade IV, V는 역류가 높은 군으로 분류하여 요중 Microalbumin, NAG, ${\beta}_2$ MG값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단회뇨에서 측정한 microalbumin 값은 역류와 신결손이 있는 군이 없는 군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microalbumin: $42.3{\pm}27.2\;mg/gCr$ VS $25.2{\pm}10.9\;mg/gCr$, P<0.05). 단회뇨${\beta}_2$ MG, NAG의 평균값의 각 군간의 비교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방광요관 역류가 높은 군에서 낮은 군보다 microalbumin 측정치가 의미 있게 증가되었다($23.4{\pm}7.7\;mg/gCr$ VS $39.3{\pm}22.1\;mg/gCr$, P<0.05). 결 론: 요로감염으로 진단받은 방광요관 역류증 환아에서 역류 정도와 역류성 신병증으로의 진행 여부를 예측하는 지표로 단회뇨의 microalbumin 측정이 유용하며, 외래에서 추적 관찰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환아와 보호자의 순응도 상승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measurement of ${\beta}_2$ microglobulin (${\beta}_2$ MG), N-acetyl-$\beta$-D-glucosaminidase (NAG) of spot urine samples as indices of renal tubular damage and microalbumin of spot urine samples as a parameter of glomerular damage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VUR) or renal defects. Methods : We studied 91 children with previous UTI. The children were classified as 62 children without VUR and renal defects (group I), 10 children with VUR, without renal defects (group II), and 19 children with VUR and renal defects (group III). Patients having VUR we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VUR (mild VUR: VUR grade I-III, severe VUR: VUR grade IV-V). Urinary excretion of ${\beta}_$ microglobulin (${\beta}_2$ MG), microalbumin, N-acetyl-$\beta$-D-glucosaminidase (NAG), creatinine were measured in samples of morning urine specimens. Children with VUR or renal defects detected by voiding cystourethrography (VCUG) and DMSA renal scan were investigated. Results : Microalbumin/Cr ratio of spot uri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III compared group I ($42.3{\pm}27.2\;mg/gCr$ vs $25.2{\pm}10.9\;mg/gCr$, P<0.05). NAG/Cr ratio of spot uri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II compared group I ($3.70{\pm}23.4\;mg/gCr$ vs $18.7{\pm}12.7\;mg/gCr$, 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beta}_2$ MG/Cr ratio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 : Urinary microalbumin excretion of morning urine sample may be a simple and reliable clinical indicators for early identification of renal damage in children with VUR and renal defects. Urinary microalbumin excretion may be useful marker to predict the the severity of VUR.

      • SCOPUSKCI등재

        경도의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소아에서 <sup>99m</sup>Tc-dimercaptosuccinic acid 신 스캔의 필요성

        고지연,구자욱,Koh, Ji Yeon,Koo, Ja W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9 No.6

        목 적 : DMSA 신 스캔은 신장에 대한 높은 방사능의 위험성과 낮은 grade의 역류시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어 최근 연구들에서는 낮은 방광요관역류가 있을 시에는 조기검사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낮은 grade의 역류 환아에서도 신피질결손이 보이는 경우가 있어 DMSA 신 스캔의 조기검사로서의 필요성에 대해 재조명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상계백병원 소아과에서 요로 감염으로 진단된 환아들 중 신장초음파, DMSA 신 스캔,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을 모두 시행한 18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들은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지 적어도 1개월 이내에 시행하였다. 방광요관역류의 정도는 grade I-II는 경도(low grade), grade III은 중등도(moderate grade), grade IV-V는 중증(high grade)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결 과 : DMSA 신 스캔상 신피질결손은 총 189명 중 67명, 378 신단위 중 82 신단위에서 보였다. 신피질결손의 빈도는 역류가 없을 때 28%, 경도일 때 38%, 중등도일 때 53%, 중증일때 100%로 역류가 심할수록 신피질결손의 빈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중등도일 때의 신피질결손의 빈도는 경도일 때의 신피질결손의 빈도와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역류가 없을 때와 경도의 역류일 때의 신피질결손의 빈도가 28%, 38%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중등도일 때의 신피질결손의 빈도는 경도일 때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DMSA 신 스캔은 높은 방사선 조사율에도 불구하고 역류가 없거나 낮은 요로감염 환아에서도 조기검사로 시행해야 한다. Objective : $^{99m}Tc$-dimercaptosuccinic acid(DMSA) scan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sensitive examination for detection of renal scars. However, because of its high radiation exposure to the kidney and its limited usefulness for patients with low grade vesicoureteral reflux(VUR), some authors have suggested that DMSA scans should be reserved primarily for children with VUR grade 3 and abo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evaluate the necessity of DMSA scans as a screening test in infants without reflux or with low grade reflux. Methods : In this retrospective study, 189 infants(mean age : 6.2 months) diagnosed as UTI were enrolled. Voiding cystourethrogram(VCUG), DMSA scan and renal ultrasonography were performed within 1 month of UTI. VUR grade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groups; low grade(grade 1-2), moderate grade(grade 3), and high grade(grade 4-5), respectively. Results : Renal defects were present in 67 of 189 infants, and 82 of the 378 renal units. The incidence of renal defec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UR grade(P<0.01); 28 percent without reflux, 38 percent with low grade, 53 percent with moderate grade, 100 percent with high grade,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idence of renal defects between the low grade and moderate grade group. Conclusion : In this study, renal defects were found in quite high percentages; 28 percent patients without reflux and 38 percent patients with low grade VUR, respectively.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renal defects between the low grade and moderate grade groups. Therefore, DMSA scan should be performed for infants with UTI as a screening test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VUR.

      • SCOPUSKCI등재

        방광요관역류 환아의 무증상 형제 자매의 역류 빈도 조사

        김종식,구자욱,Kim, Jong Shik,Koo, Ja W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2

        목 적 : 방광요관역류는 국외의 연구에 의하면 가족력이 중요하며 무증상 형제 자매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발생빈도가 26-51%의 높은 빈도로 보고되고 있고 역류성 신병증, 소아 고혈압,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선별검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는데 우리나라 소아에서도 무증상 형제 자매의 방광요관역류 빈도를 조사하여 선별검사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에 내원하여 방광요관역류로 진단받은 환아 중 VCUG 검사에 동의한 28명의 무증상 형제 자매를 대상으로 하였고 방광요관역류 환아의 무증상 형제 자매 중 VUR로 진단받은 형제 자매는 모두 DMSA 신스캔을 시행하였다. 결 과 : VUR로 진단받은 환아는 총 28명이고 남아 14 명, 여아 14 명, 나이는 1개월에서 8년 5개월로 평균 2.7세였다. VCUG 검사에 동의한 무증상 형제 자매는 총 28명으로 남아 17명, 여아 11명, 나이는 2개월에서 7년 5개월로 평균 3.3세였다. VUR로 진단된 환아 28명 중 20례에서 신손상이 있어 전체적으로 71.4%의 신손상의 빈도를 보였다. 무증상 형제 자매 28명 중 VCUG 검사상 VUR로 진단된 형제 자매는 3명으로 10.7%의 VUR 발생빈도를 보였고 DMSA 신스캔 상 이상이 발견된 경우는 1명이였다. 결 론 : 방광요관역류 환아의 무증상 형제 자매에서 역류빈도는 10.7%로 조사되어 방광요관역류의 위험인자로서 가족력이 중요함을 제시해주고 있으며 방광요관역류의 가족선별검사의 근거를 확립하기 위해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겠다. Purpose : Vesicoureteral reflux(VUR) is defined as a retrograde flow of urine from the bladder into the upper urinary tract. It has been shown to predispose patients to hypertension, renal scarring, and end-stage renal failure if not recognized and treated. The observation that VUR occurs in siblings of children with reflux at a significantly higher rate than the general pediatric population has been recognized for many years and VUR was detected in 26% to 51% of siblings of patients with V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VUR in asymptomatic siblings of children with VUR and to see if this form of screening would be practical.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28 patients with VUR and their siblings. The total number of asymptomatic siblings investigating VUR were 28 persons. All patients and siblings were evaluated for VUR by a voiding cystourethrography and all patients and siblings with VUR were performed $^{99m}Tc$ 2,3-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 Results : A total of 28 patients(14 boys, 14 girls) with VUR were studied; the mean patient age was 2.7 years(range 1 month to 8.4 years). The total number of asymptomatic siblings investigating VUR were 28 persons(17 boys, 11 girls) and the mean age was 3.3 years(range 2 months to 7.4 years). Renal scar was detected in 20 of 28(71.4%) patients with VUR. VUR was noted in three of 28(10.7%) siblings and renal scar was detected in one of three siblings with VUR.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predictive value of a positive family history alone in identifying VUR was 10.7%. This incidence suggests more investigation of asymptomatic siblings and continued study of this group of patients at risk is needed for clarifying the family screening of patients with VUR.

      • KCI등재

        방광요관 역류증 환아에서의 다양한 요단백의 배설

        정다은,구자욱,Jung, Da Eun,Koo, Ja W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0

        목 적 : 방광요관 역류증이나 역류성 신병증을 가진 요로감염 환아에서 다양한 요단백(${\beta}_2$ MG, microalbumin) 또는 효소(NAG)의 배설을 측정하여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나 역류성 신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 및 방광요관 역류증의 소실에 따른 이들 지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요로감염증으로 진단 받았던 환아 중 방광요관 역류와 신반흔이 없었던 환아는 I군(n=30), 방광요관 역류증만 있었던 환아는 II군(n=12), 신반흔 및 방광요관 역류증을 같이 가지고 있었던 환아는 III군(n=34)으로 분류하여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에서 ${\beta}_2$ MG, microalbumin, NAG를 측정하였다.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가 낮은군(reflux grade I, II, III)과 높은군(reflux grade IV, V)으로 분류하여 두 군에서의 요중 ${\beta}_2$ MG, microalbumin, NAG 값을 비교하였다. 방광요관 역류를 가진 46명의 환아 중 16명에서 방광요관 역류가 완전히 소실되었고, 방광요관 역류증이 소실될 때까지 매년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검사, VCUG, DMSA renal scan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 24시간 또는 12시간 소변에서의 microalbumin과 NAG는 III군에서 I군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고(microalbumin : $27.7{\pm}26.0mg/gCr$ vs $15.0{\pm}10.7mg/gCr$, P<0.05, NAG : $15.2{\pm}18.7U/gCr$ vs $3.4{\pm}2.2U/gCr$, P<0.05). ${\beta}_2$ MG는 각 군간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2) 방광요관 역류의 정도에 따라서는 높은군(grade IV, V)에서의 NAG값이 낮은군(grade I, II, III) 보다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26.8{\pm}27.1U/gCr$ vs $7.6{\pm}3.8U/gCr$, P<0.05). 3) 방광요관 역류증의 소실에 따른 요단백 및 효소의 수치 변화에 있어서는 microalbumin과 NAG가 방광요관 역류증이 완전히 소실되었을 때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5). 결 론 : 소아 요로감염 환아에서 역류성 신병증의 존재 여부 및 추적 관찰에서의 방광요관 역류의 소실여부를 예측하는데 microalbumin과 NAG의 측정이 유용하며, 특히 NAG는 방광요관 역류의 심한 정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cretion of various urinary proteins in children with a history of urinary tract infection(UTI), with or without vesicoureteral reflux(VUR) or reflux nephropathy, and to identify means of predicting the severity of VUR or the presence of reflux nephropathy as indicated by these markers, and to know how these markers are changed after resolution of VUR. Methods : We studied 30 children with previous UTI, without VUR and renal scarring(group I), 12 children with VUR, without evidence of renal scarring(group II), and 34 children with VUR and renal scarring(group III). 24-hour or 12-hour urine ${\beta}_2$ microglobulin(${\beta}_2$ MG), microalbumin and N-acetyl-${\beta}$-D-glucosaminidase(NAG) were measured in each child. Urinary protein excre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VUR(mild VUR : a grade reflux I-III, severe VUR : a grade reflux IV-V). Cases of bilateral VUR were graded by the higher grade of reflux detected. A total of 46 children with primary VUR were followed. Among these patients, VUR was completely resolved in 16 children. Voiding cystourethrography(VCUG) and DMSA scan were performed every year. Values for urinary markers were estimated every year. Results : 24 or 12 hour urine microalbumin and NAG excre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III compared to group I(microalbumin : $27.7{\pm}26.0mg/gCr$ vs $15.0{\pm}10.7mg/gCr$, P<0.05, NAG : $15.2{\pm}18.7U/gCr$ vs $3.4{\pm}2.2U/gCr$, P<0.05). Urinary ${\beta}_2$ MG excre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Urinary NAG excretions were elevated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severe VUR compared to mild VUR($26.8{\pm}27.1U/gCr$ vs $7.6{\pm}3.8U/gCr$, P<0.05). After resolution of VUR, urinary microalbumin and NAG excretions were decreased(P<0.05). Conclusion : Urinary microalbumin and NAG may be useful clinical indicators to predict the presence of reflux nephropathy and the resolution of VUR. Especially, urinary NAG excretions may be used as a possible method to predict the severity of VUR.

      • KCI등재

        요로감염 영아에서 배뇨성방광요도조영술이 필요한가?

        우미경,김문섭,구자욱,Woo, Mi-Kyeong,Kim, Mun-Sub,Koo, Ja-Wook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1

        목적 : 요로감염 환아에서 VCUG는 VUR을 찾아내는데 필수적인 검사이다. 그러나 최근 요로감염 소아 환자에서 신장초음파와 DMSA 신스캔이 모두 정상인 경우 VCUG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이에 신장초음파와 DMSA 신스캔이 정상인 요로감염증 환아에서 VCUG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2년 2월에서2007년 7월까지 본원에서 방광천자요(57명), 도뇨관 채뇨(58명), 채뇨백뇨(동일균주 2회 양성: 2명) 등으로 진단된 1세 미만의 요로감염 영아(117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아들은 신장초음파, DMSA 신스캔, VCUG를 시행하였으며, 신장초음파, DMSA 신스캔의 이상 유무에 따른 VUR의 동반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총 환아 중 남아가 96명(82%), 여아가 21명(18%)이었으며, VUR을 보인 환아는 28명(23.9%)이었다. 신장초음파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환아 38명(32.5%) 중 11명(11/38, 28.9%), 신장초음파가 정상인 환아 79명(67.5%) 중 17명(17/79, 21.5%)에서 VUR이 동반되었고, DMSA 신스캔 상 이상소견이 있는 환아 35명(29.9%) 중 18명(18/35, 51.4%), DMSA 신스캔이 정상인 환아 82명(70.1%) 중 10명(10/82, 12.2%)에서 VUR이 동반되었다. 신장초음파와 DMSA 신스캔 모두 정상소견을 보인 환아는 59명(50.4%)이었으며 이 중 VUR이 없는 환아는 52명(88.1%), VUR을 보인 환아는 7명(11.9%)이었다. 3명은 grade I-II, 2명은 grade III, 2명은 grade IV의 고도 역류 소견을 보였고, 그 중 1명은 양측성으로 우측은 grade IV, 좌측은 grade III의 VUR을 보였다. 결론 : 요로감염이 있는 영아에서 신장초음파와 DMSA 신스캔 소견이 정상일 경우 VUR이 동반되지 않을 경우(negative predictive value)는 88.1% 였으나, 같은 환자군에서 VUR이 동반된 경우는 11.9%이었으며 이 중 2명에서 고도 역류가 있었다. 그러므로 영아 요로감염증의 경우 신장초음파와 DMSA 신스캔이 정상 소견을 보여도 VCUG는 반드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necessity of voiding cystourethrography (VCUG) for infa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UTI) who had both normal renal sonography and normal DMSA renal scans. Methods: We reviewed 117 infants hospitalized for UTI between February 2002 and July 2007 at Sanggye Paik Hospital. The diagnosis of UTI was made by culture from a urine specimen obtained by suprapubic puncture(n=57), catheterization(n=58), or collection bag method (n=2, twice positive culture of the same organism). All patients had undergone renal sonography, DMSA renal scan and VCUG. Children with both normal renal sonography and normal DMSA renal scans were evaluated for the presence or severity of vesicoureteral reflux (VUR). Results: Of the 117 patients, 96 were boys and 21 were girls. 28 patients(23.9%) had VUR. 59(50.4%) showed both normal renal sonography and normal DMSA renal scans. Among these 59 patients, 7(11.9%) showed VUR. Three of them had grade I-II reflux, two grade III reflux, and the other two grade IV reflux. One of them showed bilateral VUR, grade IV reflux on the right and grade III on the left. Conclusion: Although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both normal renal sonography and normal DMSA renal scan for VUR was 88.1%, 7 patients had VUR and two of them had high grade reflux(grade IV). So, we suggest that VCUG should be performed in infants with UTI despite both normal renal sonography and normal DMSA renal scans.

      • KCI등재후보

        Henoch-Sch$\ddot{o}$nlein 자반병 신염으로 의심했던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1례

        임종근,문경철,구자욱,Im, Jong Geun,Moon, Kyung Chul,Koo, Ja Wook 대한소아신장학회 2012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6 No.2

        Henoch-Sch$\ddot{o}$nlein 자반병 신염과 유사한 증상을 가지는 10세 여자에게 발생한 급격한 신기능 저하를 동반하지 않은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이 혈관염의 경우. 진단 시점 또는 치료 시작할 때의 신장기능 저하가 심할수록 병의 예후가 나쁘므로[20],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지기 전에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Henoch-Sch$\ddot{o}$nlein 자반병이 의심될 경우 단백뇨와 혈뇨가 지속되면, 다른 혈관염과의 감별을 위해 ANCA, 신장 조직검사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Microscopic polyangiitis (MPA) is systemic small vessel vasculitis that is very rare in childhood. MPA is characterized by pauci-immune necrotizing small vessel vasculitis without clinical or pathological evidence of necrotizing granulomatous inflammation. Approximately 90% of patients have glomerulonephritis that is accompanied by a variety of other organ involvement. A 10-year-old girl visited our clinic with clinical manifestations suggestive Henoch-Sch$\ddot{o}$nlein purpura nephritis such as purpuric skin rash, abdominal pain, arthralgia on both knees, massive proteinuria and microscopic hematuria. So initially we suspected Henoch-Sch$\ddot{o}$nlein purpura nephritis. However, later her perinuclear-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ies(p-ANCA) test was positive, and her renal biopsy was consistent with microscopic polyangiitis. We began steroid therapy, combined with cyclophosphamide, ACE inhibitor. Currently she is a 12-year old, and until now she has been regularly examined in the outpatient. We report a case of microscopic polyangiitis initially suspected with Henoch-Sch$\ddot{o}$nlein purpura nephritis.

      • KCI등재후보
      • 면역 기능이 정상인 소아에서 발생한 b형 Haemophilus influenzae에 의한 협부 봉와직염(Buccal Cellulitis) 1례

        이진아,김동호,구자욱,이환종,Lee, Jin A,Kim, Dong Ho,Koo, Ja Wook,Lee, Hoan Jong 대한소아감염학회 2001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8 No.2

        어린 소아에서 상기도 감염의 증상이 선행한 후 수 시간 내에 급격히 진행하며 고열을 동반하는 적보라빛의 협부 및 경부 부종이 있는 경우, 반드시 H. influenzae에 의한 감염을 고려하여야 하며, 균혈증 및 무증상적 수막염이 동반될 가능성이 크므로 혈액배양검사 및 뇌척수액 천자를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예방접종 시행 전 서구의 경우, 봉와직염이 Hib에 의한 침습성 질환 중 수막염, 후두염 등에 이어 5번째를 차지하며, 전체적으로 2~15%를 차지할 정도로 그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저자들은 면역기능에 이상이 없었던 18개월 여아에서 상기도 감염의 증상 및 고열이 선행한지 수 시간 후 급격히 진행하는 적보라빛의 협부 봉와직염으로, Hib에 의한 균혈증이 동반되었고, 2주간 3세대 cephalosporin의 투여로 호전되었던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Buccal cellulitis which presents with high fever and a swelling of the cheek with violaceous hue in young children is most often caused by H. influenzae. Bacteremia is common in buccal cellulitis caused by H. influenzae, and a culture of cerebrospinal fluid should be obtained because meningitis may be present despite the lack of meningeal irritation signs. Although buccal cellulitis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important manifestations of H. influenzae infection, only two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yet. We experienced a case of buccal cellulitis with H. influenzae bacteremia in an immunocompetent girl of 18-month-old. She was presented with high fever followed by rapidly progressive swelling and tenderness of both cheeks with violaceous hue in four hours. The blood culture revealed H. influenzae type b. There was no concurrent otitis media, sinusitis, or meningitis and no portal of entry was identified. Fever subsided two days after starting intravenous cefotaxime. Intravenous cefotaxime was subsequently changed to oral cefixime, and antibiotics were administered for a total of two weeks.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 KCI등재후보

        10세 남아에서 생긴 요관 결석에 의한 고혈압성 뇌병증

        김용주,강훈철,구자욱,Kim Yong-Joo,Kang Hoon-Chul,Koo Ja-Wook 대한소아신장학회 2004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8 No.1

        고혈압성 뇌병증은 혈압상승과 함께 두통, 오심, 구토, 시력장애, 경련, 의식 변화 등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신경 증후군으로 소아에서는 대부분 급성 신장염이나 신혈관성 고혈압에 의해 발생하고 지금까지 요로 결석과 동반된 고혈압상 뇌병증의 보고는 없었다. 저자들은 요관 결석과 동반되어 발생한 고혈압성 뇌병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ypertensive encephalopathy is an acute neurologic syndrome that occurs in association with abrupt and marked elevation of blood pressure and is characterized by headache, vomiting, seizure, visual disturbances and altered mental status. Hypertensive encephalopathy is most commonly associated with renal disease in children, including acute glomerulonephritis, reno-vascular hypertension, and end-stage renal disease. Hypertensive encephalopathy associated with nephrolithiasis has not been reported. We have experienced a 10-year-old boy with hypertensive encephalopathy associated with ureteral st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