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다원주의 사회과학 모색 : 돌봄 연구의 한계를 초점으로

        구은정 비판사회학회 2023 경제와 사회 Vol.- No.137

        이 글은 분과학문 틀로 제한된 연구로는 사회현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 제의식에 기반한다. 따라서 이 글은 사회과학이 인간과 인간 사이 관계에서 일어나는 현상 을 탐구하는 학문이라는 점을 토대로, 도이치가 구분한 인간관계의 다양한 목적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한다. 즉, 관계의 목적에 따라 행위자가 같은 행동으로 획득하(려)는 가치가 다 르다는 점에 천착해 다원주의 사회과학을 모색하는 시론적 연구다. 이를 위해 돌봄 연구를 예로 각 분과학문 전통에 제한된 연구가 초래하는 한계를 고찰하고, 사회심리학·심리학· 경제학 등에서 제시된 이론을 융합해 다원주의 사회과학 틀을 구성한다. 이 글에서 활용하 는 이론은 첫째, 사회심리학에서 도이치(Deutsch, 1975)가 구분한 관계의 다원적 목적 (‘경제적 생산성이 목적인 관계’, ‘사회적 관계가 목적인 관계’, ‘개인의 복지와 발전이 목 적인 관계’)과 형평, 평등, 필요의 다원적 분배원칙이 있다. 둘째는 심리학에서 리안과 데 시(Ryan and Deci, 2018)가 제시한 능력(competence), 자율(autonomy), 연결(re- latedness)이라는 기본 심리적 필요(basic psychological needs)의 다원성이다. 셋째, 비주류 경제학에서 제시한 인간 행동이 창출하는 가치의 다원성(자유, 정의, 돌봄)과(Van Staveren, 2001), 관계의 다원적 목적, 심리적 필요, 가치들의 장소인 영역의 다원성(시장, 정치, 공동체)이(Polanyi, 2001) 있다. 이 글에서 다원주의는 개인의 가치 선호를 초점으로 한 자유주의적 다원주의나 문화상대주의와 호환되는 문화적 다원주의가 아니라, 인 간의 삶을 번영시키거나(thriving) 좋지 못하게(ill-being) 만드는 다원적 가치들, 이 가치 들을 향유하는 영역의 다원성, 이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관점의 다원성을 의미한다.

      • KCI우수등재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그 이론적 함의

        구은정 비판사회학회 2019 경제와 사회 Vol.- No.123

        This paper discusses the lack of conceptual discussion on work-life balance, despite its rise as a significant issue in current Korean society. Henc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work-life balance. To grasp actors’ life as a whole, Honneth’s recognition theory was utilized in this paper and discussed on the areas of identity. Through this discussion, work-life balance was defined as a balance among diverse identities which desired by the actor. Secondly, by connecting Van Staveren’s theory, these diverse areas of identities are compatible with the realms of values that actors generate and enjoy in life. Thus, work-life balance for actors means achieving good life through balancing the diverse values enjoyed in life. And then, an individual would live as a free man, managing their economic life, neighbors and family members by sharing care and love. They would then participate as a citizen in setting good policies and social systems. Lastly, human behavior has been demarcated in to their respective areas/realms based on Arendt’s discus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society and the ancient Greek society which the political theory of Arendt is anchored to, has been made clear. In the current society, private area is no longer an area of labor enforced by need. And in terms of human behavior, work-life balance denotes the balanced participation amongst work, activity, and action in the life of an individual. This balance is in line with the discussion of shortening working hours in order to salvage life that is trapped within overly labor-oriented lifestyle. Also, this prevents the risk of connivance of inequality in patriarchal care system which is implicit in discussions where care is overly prioritized. 이글은일과삶의균형이한국사회에서중요한사회적의제로떠올랐지만, 이에대 한 개념적 논의가 미흡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일과 삶의 균형에 대 한 이론적 함의를 고찰했다. 먼저 행위자를 중심으로 삶을 총체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호네트 이론에 기대어, 개인이 정체성을 획득하는 영역을 논의했다. 이를 통해, 일과 삶 의 균형이란, 곧 개인이 욕망하는 다양한 정체성들의 조화를 의미한다. 둘째, 이 정체성 영역은 반 스타베런의 논의에 따를 때, 삶에서 향유하는 가치들이 생성되는 영역과 호 환된다. 따라서 일과 삶의 균형이란, 개인이 각각의 영역에서 생활하면서 가치들을 조 화롭게 향유하고 좋은 삶(good life)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인은 경제적 삶을 꾸리는 자유인으로, 돌봄과 사랑을 나누는 가족·이웃으로, 더 나은 사회 틀을 짜기 위 해 참여하는 시민으로 조화롭게 살아간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영역에서 인간이 하는 행 동을 아렌트의 논의에 기대어 새롭게 구분했다. 이때 아렌트의 정치사상이 기반했던 고 대 그리스사회와 달라진 현대사회의 맥락을 분명히 했다. 현대사회에서 사적 영역은 더 이상 개인이 필요의 노예로서 노동하는 영역이 아니다. 그리고 인간행동 측면에서 일과 삶의 균형은 개인이 일상에서 조화롭게 노동하고, 활동하고, 정치적으로 행위함을 의미 한다. 이는 곧 근대 노동중심 사회에서 과도하게 노동에 포획당한 일상에 삶을 들여놓 으려 했던 노동시간 단축 논의와 만난다. 또, 돌봄을 우선에 둔 논의가 자칫 가부장적 돌봄체계에 내재한 불평등을 묵과할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공동체 재현의 정치학: <나의 아저씨>의 레트로토피아 vs. <갯마을 차차차>의 퓨토피아

        구은정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2 여성학연구 Vol.32 No.1

        이 글은 가부장적 공동체에 대한 여성주의 관점을 바탕으로 미디어에서 표상되고 재현되는 공동체에 대한 논쟁적 개입이다. 이는 복고·향수에 기대 레트로토피아로 표상되는 공동체가 자칫 전통적 공동체에 내재한 젠더 불평등을 간과한다는 문제의식에 기반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첫째, 전통적 공동체와 현재 논의되는 친밀공동체의 차이를 사회적 상호작용을 초점으로 분류한다. 둘째, 이 분류를 분석 틀로 활용해 드라마 <나의 아저씨>와 <갯마을 차차차> 속 공동체를 비교한다. 결론적으로 <나의 아저씨>에서 인물들의 상호작용은 1) 여성에 대한 남성의 우월성, 2) 성별분업, 3) 외부세계에서 상처받은 남성을 보호하는 어머니/여성의 증여로 채워져 레트로토피아적 공동체를 표상한다고 분석한다. 이에 반해 <갯마을 차차차>에서는 인물들의 상호작용이 1) 평등한 관계 2) 서로에게 혜택이 되는 호혜성 3) 상호돌봄을 특징으로 하는 퓨토피아적 공동체를 표상한다고 분석한다. ‘유토피아’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이상향이란 점을 직시하며 이 글은, 실패한 과거에 대한 향수보다 그 실패를 수정하는 가능성을 품은 공동체에 대한 성찰이다.

      • KCI등재

        저출산에 대한 인식지평 확장: 사적이고 친밀한 영역에서 향유하는/할 수 있는 가치

        구은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여성연구 Vol.100 No.1

        본 논문은 두 가지 목적이 있다. 첫째, 현 한국사회 저출산 현상에 대해 행위자의 행위선택 맥락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롭게 해석한다. 둘째, 사적이고 친밀한 영역(private-familiar sphere)에서 향유하는/할 수 있는 가치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기존연구에서는 저출산 현상의 원인으로 경제적 어려움, 양성평등의식 고양과 개인화에 따른 자기이익 추구 등을 지목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빈곤에 시달렸던 근대초기에도 결혼・출산・육아는 이어졌다. 또 개인화된 행위자는왜 가족돌봄보다 직업을 추구하는지, 그 기제는 논의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첫째, 변화되는 사회・경제적 구조와 조응하는 자아정체성을 매개로 행위자의 행위선택 맥락을 이해한다. 이를위해, 타인의 인정을 통해 자아를 형성한다는 호네트의 인정이론과 행동 경제학에서 타인과 구별됨과 동시에 사회에 뿌리내린 자아정체성을 의미하는 개성화(individuation) 개념을 고찰한다. 이로부터, 개인적 성취가 사회적 인정을 얻는 가장중요한 기준으로 작동하고 있는 현 한국사회에서, 결혼・ 출산・육아의 기피란 개인적 성취/직업적 성취를 통해 개성화된 자아정체성을 획득하려는 행위전략임을 해석한다. 둘째, 친밀하고 사적인 영역이 개인의 삶에서 차지하는 기능과 목적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사회경제학에서 이론화한 경제활동의 세 가지 영역과 반 스타베런이 밝힌 각 영역에서창출되는 가치들을 호네트의 근대사회 세 가지 인정영역과 연결해 논의한다. 이때 개인은 개인적성취의 영역인 시장영역에선 이익과 불이익에 따라, 법 즉 정치영역에선 명예와 불명예에 따라 인정을 받는다. 그리고 사적이고 친밀한 영역에선 돌봄/애정/사랑의 가치를 향유하며 ‘있는 그대로의존재’를 인정받아 삶을 번영시킨다. 사회적 위기의 관점에서 저출산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행위자를반영하지 못한다. 그보다는 지금까지 논의에 기초할 때, 어떻게 개인이 사적이고 친밀한 영역에서돌봄/애정의 가치를 향유하고 이를 통해 자신 그대로의 자아정체성을 획득하게 할 것인가가 논의의출발점이 될 수 있다. 한편 이 논문은 개인적 선호로 이해되던 행위선택을 집단 지향성(collective intentionality)으로 이해해 사회성을 포착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중년층 직장인의 프로틴 경력태도, 상사의 코칭,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경력연계학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구은정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9 상담심리교육복지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중년층 직장인의 프로틴 경력태도, 상사의 코칭, 비공식적 네트워크, 경력연계학습, 그리고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경력연계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기업의 만 40세∼60세 직장인 59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되었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층 직장인의 프로틴 경력태도, 상사의 코칭, 비공식적 네트워크는 경력연계학습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틴 경력태도, 비공식적 네트워크, 경력연계학습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사의 코칭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중년층 직장인의 프로틴 경력태도, 상사의 코칭, 비공식적 네트워크는 모두 경력연계학습을 매개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otean career attitudes, superior's coaching, informal network, career related continuous learning(CRCL)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middle-aged employees, particularly the mediating effects of CRCL in the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590 employees aged between 40∼60 with job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and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otean career attitudes, superior's coaching and informal network had direct effects on CRCL. Protean career attitudes, informal network and CRCL had direct effect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However superior's coach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CRCL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among protean career attitudes, superior's coaching, informal network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middle-aged employees.

      • KCI등재

        The antimicrobial effect of thiamine dilauryl sulfate in tofu inocula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and Bacillus cereus

        구은정,권기현,오세욱 한국식품과학회 2018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7 No.1

        Thiamine dilauryl sulfate (TDS) is a food additive that is used as a bactericidal agent. This study examines the antimicrobial effect of TDS on tofu inocula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and Bacillus cereus. Tofu was inoculated with 100 lL of each microorganism and TDS solution (0.1, 0.5, 1, and 2%) was added to all bags, which were stored at 5 and 25 C for 5 days. Sensory evaluations were conducted with tofu stored at 5 C. At 5 C, with a 2% TDS, E. coli O157:H7,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 and B. cereus were reduced by 0.29, 0.36, 0.70, and 1.47 log CFU/g, respectively. None of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fu treated with T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TDS as an antimicrobial agent with a practical application in tofu to ensure food safety.

      • KCI등재후보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 Case Report

        구은정,이미리 대한갑상선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Vol.7 No.2

        We report a case of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LNM) as a recurrence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in a 68-year-old male. The patient initially presented in 2009 with a 3.4×5.4 cm sized neck swelling and left cervical lymphadenopathy. He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and central compartment neck dissection (CCND) with left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MRND). The pathological report confirmed PTC with metastasis of neck lymph node. On a regular follow up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LNM was found on the right supraclavicular area and on the left axillary area. It was 17 months after the initial thyroid cancer had been diagnosed. The right MRND and left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s were performed in April of 2012. Pathological result confirmed metastatic PTC of left axillary lymph nodes. After recovery from the surgery, the patient got radioactive iodine therapy with I-131 180 mCi.

      • 대학생의 정서적 데이트 폭력 인식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상관관계

        구은정,권민지,김소라,류연수,신지연,유현아,장민주,홍자인,Lanjingjing,배성희,도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19 이화간호학회지 Vol.- No.53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emotional dating violence an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to provide objective data for college students to improve perception of emotional dating violence an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Methods: Data was collect using questionaries between November 3rd to November 20th, 2018.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0 male college students and 127 female college student who are currently attending universities aged 18 to 29 years old. Data were analyzed using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 The study has established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emotional dating violence an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R=-.587, p<.001). As the level of perception of emotion dating violence is lower,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is higher. The number of relationships recognized by oneself,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and severity of dating violence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emotional dating violence an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perception of emotional dating violence is negatively related to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ing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for healthier and better quality of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