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적합성이 대학생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학자금 대출 상환 경험에 따른 다항회귀 및 반응표면 분석

        구요한(Yohan Koo),유명현(Myunghyun Yoo),송지훈(Ji Hoon Song)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1

        본 연구에서는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간 적합성이 대학생의 학교생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평상시 시간사용 정도(그룹스터디, 자기계발, 소셜네트워크, 중독적 취미 활동)를 통해 확인하고, 이때학자금 대출 상환 경험에 따른 차이를 보았다. 연구를 위해 한국장학패널조사(KOSAPS) 2차, 3차 데이터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다항회귀와 반응표면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출금 상환 경험에 따라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적합성이 시간사용(그룹스터디, 자기계발, 소셜네트워크, 중독적 취미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룹스터디 시간사용의 경우 상환을 경험한 그룹은 자존감과 스트레스와의 영향 관계보다 상환 경험의 유무가 더 크게 작용함을 확인하였고, 자기계발의 경우 상환 경험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낮은시간사용 양상을 보임을 나타냈다. 소셜네트워크의 경우에는 두 그룹 모두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적합성 효과가 나타났으며 소셜네트워크와 중독적 취미활동의 상환을 경험한 그룹에서 스트레스와 자존감이 극단적으로 적합하는 상황, 즉, 스트레스와 자존감이 동시에 모두 낮거나 모두 높은 상황에서 과도한 시간사용 경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자금 상환 경험에 따른 대학 생활 양상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대출 이전의 교육과 더불어 학자금 대출 상환에 대한 교육, 학생들의 인식 및 심리, 정서적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기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ongruence of university life stress and self-esteem on time use (group study, self-development, social networks, addictive hobby) in university student s life and the difference in student loan repayment experience. For this study, we studied university students in KOSAPS 2nd and 3rd-year data.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university life stress and self-esteem, the moderator is the student loan repayment experienc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university student s time use. The polynomial regressio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ere mainly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stress, self-esteem, and effect of student loan repayment experience.

      • KCI등재

        학습전략이 교과태도를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학업노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고려한 다항회귀분석

        구요한(Yohan Koo),유명현(Myunghyun Yoo),장유진(Youjin Jang),송지훈(Ji Hoon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업성취에 두 가지 학습전략(창의 융합적, 반복 암기식)의 적합성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며 교과태도의 매개효과와 학업노력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Ⅱ 1·2차(2016~2017)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항회귀분석과 반응표면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노력은 두 가지 학습전략의 적합성과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의 세부 영역과의 영향 관계를 조절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모든 과목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결과로는 학습전략이 불일치할 경우 창의 융합적 학습전략이 반복 암기식 학습전략보다 더 중요하게 작용함을 보였다. 특히 교과태도보다 학업성취에서, 학업노력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서 창의 융합적 학습전략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또한 각 과목 및 학업노력의 정도에 따라,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에 두 가지 학습전략의 적합성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관계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고등학교 학업 현장에서 창의 융합적 학습전략 및 반복 암기식 학습전략이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각 과목별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창의 융합형 인재가 요구되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학습자 측면에서의 접근과 개별화된 맞춤형 교수설계 및 학습전략 수립의 이해에 보탬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which is creativity and integration, and repetition and memoriz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using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 (KEEP Ⅱ) 2016~2017 data of KRIVET.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reativity and integration learning strategy and repetition and memorization learning strategy, the moderator is the academic effort, the dependent variables are subjective learning outcome and objective learning outcome. The polynomial regressio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ere mainly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 that creativity and integration learning strategy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the effect on subjective attitude and objective performance for academic achievement. The patterns of response surfaces were found to differ according to the subjects and the level of academic effort. Finally,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ial effect among subjects on creativity and integration and repetition and memorization learning strategy. Hence, this study expected to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approach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design, learning strategy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 IMM 기법을 통한 선행차량 상태 추정 및 자동 긴급 제동 시 횡 방향 안정성 확보에 관한 연구

        구요한(Yohan Koo),강윤호(Yoonho Kang),김두용(Dooyong Kim),강태완(Taewan Kang),박기홍(Kihong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6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6 No.5

        The AEBS was added to evaluation category in 2014 Euro NCAP. Recently GM, Ford, BMW, including 10 vehicle manufacturers have agreed about the AEBS standard equipment in all new cars in the United States. So the studies of the AEB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many existing studies on the AEBS have been conducted assuming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on the straight roads. Because of this, the AEBS operation may lead to the lane departure and muti-collision accidents on slippery roads or cornering road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o apply the IMM(Interacting Multiple Model) Method in the AEBS algorithm to effectively estimate target vehicle state than single Kalman Filter during Cornering. Also, the developed algorithm performs the braking force distribution control in order to secure lateral stability of the vehicle during the AEBS operation.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의 역량기반 융합교육의 질 관리 제고 : K대학교의 역량진단을 중심으로

        김현경(Kim Hyun-Kyoung),구요한(Koo Yohan),류옥현(Ryou Ok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학교육에서의 역량기반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역량진단에 의한 역량기반 융합교육의 질 관리 제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경기도 K대학교 스마트팩토리 융합전공 학생 272명을 대상으로 SUPERMAN 역량진단조사를 실시하고, 추적조사에 의한 누적분석 및 역량 간 상관관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SPSS26.0 프로그램을 통한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 JASP 프로그램을 통한 상관계수 기반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고, Tableau 프로그램을 통한 시각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결과 누적분석 결과, 대부분의 역량이 참여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역량 수준이 상승하였다. 도전정신⋅사회적 책임의식⋅융합은 크게 상승하였고, 대인관계⋅창의성⋅문제해결은 융합전공 초기의 역량 상승 폭이 매우 낮거나 부적으로 나타났다. 전체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대인관계⋅사회적 책임의식⋅자원관리⋅신기술활용에 해당하는 하위요인들 간에 높은 상관이 있었고, 역량들 간 독특한 연결 구조가 나타났다. 융합전공 참여 정도에 따른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참여의 누적 회수에 따라 시기별로 역량 간 상관관계가 각기 다른 특징을 보였다. 결론 역량기반 융합교육의 질 관리 제고 방안을 핵심역량 누적분석 결과와 하위요인의 누적분석 결과, 역량 간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각각 3가지씩 총 9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개별화된 학습 지원의 기반 마련, 시기별 역량기반 교육과정 재설계 시 고려사항, 역량 연계의 우선순위 결정 등과 관련된 질 관리 방안을 포함하였다. 연구의 2가지 의의와,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2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management of competency-based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competency diagnoses to vitalize competency-based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thods SUPERMAN competency diagnosis surveys were conducted for 272 students of the Smart Factory Convergence Major at K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a cumulative analysis and a correlation network analysis among competencies were performed by follow-up. To this e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rough the SPSS26.0 program, and correlation-based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JASP program were performed, and visualization work was performed through the Tableau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cumulative analysis, the level of competencies increased a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creased in most of the competencies. Adventure, Ethicality, and Multiple Knowledge greatly increased. Social Relation, Unconventionality, and Problem Solving showed very low or negative increases in the initial stage of the convergence major. In the overall network analysis, there were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of Social Relation, Ethicality, Resource Management and New Tech Application. And unique linkage structures emerged among competencies. In the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convergence major, the correlations among competenc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umulative number of particip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mulative analysis of core competencies and sub-factors, and the network analysis among competencies, 9 methods were proposed for improving the quality management of competency-based convergence education. This included laying the foundation for individualized learning support, considerations for redesign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period, and quality management methods related to prioritizing of linking competencies. Two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nd two method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were presented.

      • 충돌회피 강인성 확보를 위한 모델예측제어 기반 제동 및 조향 통합제어에 관한 연구

        인진성(Jinsung In),구요한(Yohan Koo),김도우(Dowoo Kim),장형준(Hyeongjun Jang),박기홍(Kihong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6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6 No.5

        Collision accidents have been occurred in lane change circumstances from driver’s inattention and various complicated driving situation. In a high speed condition, lateral collision accidents can cause multi-vehicle collision or secondary collision accidents. Actually, many research institutes and corporations have researched system which prevents lateral collision in lane change circumstances. Although the lane change assist system such as Blind Spot Detection and Lane Change Assist have been developed, it haven’t considered various driving situation and performed an active collision avoidance. Situations of lateral collision that are in actual lane change circumstance take place in various complicated driving situation, so it need an active collision avoidance. Thu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algorithm which can prevent lateral collision accidents in multi-lane change circumstance by considering various surrounding environments. Additionally, we propose integrated control strategy which can secure robustness on collision avoidance.

      • KCI등재

        VR, AR, MR 기반 학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유명현 ( Myunghyun Yoo ),김재현 ( Jaehyun Kim ),구요한 ( Yohan Koo ),송지훈 ( Ji Hoon S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기반 학습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2008년에서 2018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 33편을 선정하고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VR, AR, MR 기반 학습의 학습 성과에 대한 전체 효과 크기, VR기반 학습, AR 기반 학습, MR 기반 학습 별 개별 효과 크기, 조절변인(교육효과 분류, 교육과정 형태, 학습 대상자 연령, 학습 집단 규모, 실험 설계유형)에 따른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VR, AR, MR 기반 학습의 학습 성과에 대한 전체 효과 크기는 .873으로 나타났으며 효과 크기가 크다고 해석될 수 있다. VR, AR, MR 기반 학습의 개별 효과 크기는 VR 기반 학습의 경우 .743, AR 기반 학습의 경우 0.994로 나타났으며, MR 기반 학습의 경우 95% 신뢰구간[-0.214, 0.838]에 0을 포함하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서 VR, AR, MR 기반 학습은 학습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들의 종합적 결과를 통해서 향후 VR, AR, MR 기반 학습의 수업 설계와 운영을 위한 근거기반 실천(evidence based practice) 및 전략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VR, AR, MR 기반 학습의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학습 환경 및 교육과정과 관련한 정책적인 논의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AR과 MR의 기술적 발달과 함께 그에 따른 적용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and specif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VR, AR, MR on learning performance by using meta-analysis on the related field. We use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Web Of Science to find the relevant studies as the target group of the current research with following keywords: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mixed reality (MR), and learning. In addition, sample publication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abstracts provided from 2008 to 2018 on the effectiveness of VR, AR, MR based learning. Moreover, We designated moderators such as educational effects, type of curriculum, age of target, experimental size, and type of design.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for learning performance of VR, AR, and MR based learning is .873, which represents large effect size. The individual effect sizes were .743 for VR-based learning and 0.994 for AR-based learning.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0.214, 0.838], MR-based learning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Our study’s key findings showed that VR, AR, MR-based learning was effective for students’ learning outcomes.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ies will also enable the use of the strategy, evidence based practice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lasses for VR, AR and MR-based learning.

      • 農漁村 定住生活圈 開發戰略

        구요한 忠南大學校 地域開發硏究所 1994 地域開發論叢 Vol.6 No.-

        As the results of the government policy to develop the rural regions up to the modernization level of urban area, the income and the living conditions in the rural regions have been improved considerably, however the development gap between the urban and rural regions are still substantial. To close this gap, a new development approach, that is, the rural settlement development programme, is being undertaken all around the rural regions from 1990. The performance of the rural settlement development programme is still at a rudimentary stage because of the limited budget allocation. The rural settlement development programme is a model of the integrated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a model of the regional development from below applied for the first time in the rur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