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과와 도덕과의 교과 통합 교육을 위한 내용 구성 방안 - `배려적 언어 사용`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구본관 ( Koo Bonkwa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2 No.-

        이 연구는 현대 사회의 문제를 교육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면적이든 부분적이든 통합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배려를 중심으로 국어과와 도덕과의 교과 통합 교육 과정의 내용에 대해 탐색해 본 논의이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국어과와 도덕과에서 논의된 배려와 배려 교육의 개념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배려적 언어를 매개로 하는 국어과와 도덕과의 통합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고찰해 보았다. 그런 다음 제3장에서는 배려적 언어 사용 중심의 국어과와 도덕과의 통합 교육과정을 설계해 보고, 이런 교육과정을 뒷받침하는 구체적 교육 내용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았다. 모든 교육적 논의는 교육적 실천을 통해 의미 있는 논의가 될 수 있다. 본고에서 제안한 교육 내용이나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논의들도 후속 연구에 의해 구체화되고 검증되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실행되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의 논의가 배려하고 배려받는 학교와 사회를 만드는 데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ntents of integrate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focused on caring. In chapter 2, the concepts of caring and caring education discus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were examined in detail. Based on these, the needs and the direction to integr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were considered as well.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focused on caring was designed in chapter 3 and its detailed educational contents were discussed next. Any educational discussion would not be meaningful without educational practice. The educational contents suggested in this research and discussions about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would also be meaningful when they are specified and verified in further study and practiced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It is hoped that our discussion could contribute for making schools and our society to take care and to be taken care of.

      • KCI등재

        2015 교육과정 "문법" 영역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구본관 ( Bonkwan Koo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1

        이 논문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 ``문법`` 영역의 개정 과정, 개정 내용, 개정 배경 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개정의 주기, 개정 기간, 개정을 위한 연구진 구성 등 개정의 절차가 교육과정에 미친 영향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선택 과목의 명칭, 교육 내용 등을 중심으로 하여 기존의 교육과정과 차이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다음에 교육과정을 개편한다면, 더 좋은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에 대해 언급한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해당 교과의 교육에 대한 공동체의 이념을 반영하고, 학교라는 제도 안에서 해당 교과목을 수행할 목표와 범위 내용 등을 규정한다. 따라서 충분한 준비 기간을 두고 이루어져야 하며, 해당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사, 해당 교과목을 배우는 학생, 해당 교과목을 연구하는 연구자의 생각을 모아서 만들어져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정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evising process, content and background of the grammar section in 2015 revised Korean curriculum. I first reviewed the impact of the revising process, which includes revising cycle, revising period, and organizing research team, on the curriculum. Focusing on the names of the selected subjects and educational contents, I, then,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made i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urriculum. Lastly, I mentioned what to contemplate to make better curriculum for future reference. National curriculum reflects ideology of the community about the target subject and defines the goals, scope, and contents of the target subject in the school system. Therefore there should be enough time for preparation and it is to be made up by combining ideas from teachers, students, and researchers of the target subject. In this perspective, this critical review on 2015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may have implications for revising curriculum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어 다기능 문법형식 ‘에게’의 의미지도

        양소열 ( Yang Suyue ),구본관 ( Koo Bonkwan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8 문법 교육 Vol.33 No.-

        In Korean, ‘ege’ is a multifunctional grams with various semantic functions indicating ‘recipient’, ‘beneficiary’, ‘human goal’, etc. Semantic map is a useful method for analyzing the pattern of multifunctional gra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mantic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Semantic maps have many advantages on showing the internal relation and the affinity relationship between each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al grams. This paper is based on the semantic map presented in linguistic typology and based on the conceptual space of typical dative functions which was constructed by Haspelmath in 2003 and cross-domain thematic role which was constructed by Zhang Min in 2013, reanalyzed the semantic functions of ‘ege’. The semantic functions of ‘ege’ include ‘recipient’, ‘beneficiary’, ‘human goal’, ‘human source’, ‘experiencer’, ‘possessor’, ‘causee’, ‘passive age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mantic Map Connectivity Hypothesis and semantic analysis this paper added functional items to the conceptual space of Zhang Min(2013) and mapped out the semantic map of ‘ege’. These discussions can also be applied to language comparison and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acquisition.

      • KCI등재

        국어과 글쓰기 방법에 기반한 사회과 쓰기 활동 개선 방향 탐색

        최선희(Choi sunhee),구본관(Koo bonk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이 논문은 국어과의 쓰기 방법에 비추어 사회과의 쓰기 활동을 검토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필요성 및 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습자와 교사가 사회과 글쓰기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설문조사와 서면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런 다음 고등학교 학습자가 행한 사회과 글쓰기 자료를 쓰기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는 대체적으로 사회과에서의 쓰기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글쓰기에서는 해결되어야 할 문제적 현상들이 나타났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한 원인으로 사회 교과서에 구현된 쓰기 활동에 주목하였다. 쓰기 활동 분석을 위해 먼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쓰기 활동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사회 교과서에서의 쓰기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국어과 쓰기 방법과의 연계를 통해 사회과 쓰기 활동이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riting activities found in social studies and find out the necessity and points of convergence with those found in the Korean subject.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investigated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n convergent education and writing in social studies. Next, this researcher looked into materials written by high school learners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writing. The results have shown that learners mostly regard writing in social studies to be important; however, there are problematic phenomena found in their actual written materials to be solved. Based on the causes of those problems, this author paid attention to writing activities embodi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Concretely, this researcher examined writing activities suggested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and analyzed writing activities included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at. Summing up the discussion above, this author has found there is possibility to improve writing activities in social studies through convergence with those in the Korean subject and actually suggested here how to enhance them.

      • KCI등재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실태 분석-의사소통 어려움의 요인 및 경로 모형과 어려움 해소에 필요한 학습 기간을 중심으로

        민병곤 ( Min Byeonggon ),구본관 ( Koo Bonkwan ),박성석 ( Park Seongseog ),박종관 ( Park Jong-kwan ),김종철 ( Kim Jong-cheol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3

        본 연구는 이주민의 한국어 의사소통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 어려움 해소에 필요한 학습 기간을 실증적으로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사회 이주민 중 다수를 차지하는 이주민근로자, 결혼이주민, 이주민자녀 구성원 728명을 전국적으로 표집, 조사하고, 결측이 없는 461명의 자료에 대해 조건부 과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거주 기간이 직·간접적 경로로 한국어 어려움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여기에 한국어 학습 기간이 조절 변인으로, 한국어 능력 인식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며, 어려움 인식의 출발점이 성인과 미성년에게서 달리 나타남을 밝혔다. 또한 한국에 거주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매주 4시간 정도 한국어를 학습한다면, 한국어 의사소통이 별로 어렵지 않다고 느끼게 되기까지 성인 이주민은 최소 6.8년, 미성년 이주민은 최소 2.9년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contributing variables to immigrants` difficulty of communication in Korean, and the learning period required to overcome the difficulty based on the empirical evidence. A comprehensive survey was conducted on 728 people, who were from three immigrant groups (Immigrant Worker, Marriage Immigrant, Immigrant Child) living in Korea. 461 participants` responses, with no missing values, were analyzed using Hayes(2013)`s model 8.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ength of Residence plays a role in immigrants` Self-awareness of Difficulty through the direct path and indirect path. In addition, Self-awareness of Korean Language Ability affected it as a mediator, and Learning Period as a moderator on the direct or indirect path. Moreover, adult immigrants had higher Self-awareness of Difficulty than children upon their arrival.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ifficulty reported by adult and child immigrants was maintained through the learning period. Second, if an adult immigrant continues to learn Korean 4 hours a week from arrival, s/he will overcome the difficulty after 6.8 years, and a child immigrant, under the same condition, needs 2.9 yea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