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자산(安自山)의 언어관과 국어 연구

        구본관 ( Koo Bon-kwa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1

        本稿는 自山 安廓의 國語 硏究 成果를 점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다음 두 가지를 集中的으로 다루어 보았다. 첫째, 自山의 言語觀 내지 國語觀이 그의 國語 硏究에서 어떻게 表出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우리는 이를 통해 自山이 그 당시의 國語學者들과는 달리 外來語 사용 등에 있어서 유연한 입장을 가졌던 것이 그의 進化論的인 言語觀과 관련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둘째, 『修正朝鮮文法』(1923)의 내용을 中心으로 自山의 國語 硏究의 구체적인 내용을 檢討해 보았다. 이미 自山의 國語 硏究에 대한 論議가 있었지만 『修正朝鮮文法』을 포함하여 그의 國語 硏究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깊이 論議된 바가 없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自山의 文法이 高橋亨(1909), 『韓語文典』 등의 文法書의 영향을 받았으며, 유길준과 박승빈 등 일본을 통해 西洋 文法을 받아들여 國語 文法을 기술한 國語學者의 系譜의 중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Ahn, Hawk[安廓]’ studies of korean linguistic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we consider 2 problems:(1) We examine Ahn, Hawk[安廓]’ point of view of language or the korean language. Specially, we make a comparative study of other scholars (point of view of language or the korean language). (2) We make a profound study of Joseonmunbeop[修正朝鮮文法].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decide Ahn, Hawk[安廓]’ position in the past 100 years of studies on korean linguistics.

      • KCI등재

        문법과 문학 영역의 통합

        구본관 ( Bon Kwan Koo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48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grammar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we have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poetic language and everyday language,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through the grammar etc. Although poetic language and everyday language have differences, has also common. They both follow the language operational rules. And the grammar is a good means of analyzing the literature. Based on this discussion, we discussed the integr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and grammar education. We have confirmed that Integration is possible in different directions, different levels.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we confirmed that the integration is possible in textbooks, curriculum, teaching methods ect.

      • KCI등재
      • KCI등재

        어휘 교육의 발전 방향 탐색 ; 어휘 교육의 목표와 의의

        구본관 ( Bon Kwan Koo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0 No.-

        본고는 국어교육에서의 어휘 교육의 위상을 점검하고 교과서나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어휘 교육 관련 내용, 기존의 논의에서 언급된 어휘 교육의 목표를 개괄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나름의 어휘 교육의 목표와 의의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3장의 논의를 통해 어휘 교육의 목표와 관련된 이론적인 기반으로서 어휘부 이론을 소개하고 어휘 교육의 목표는 궁극적으로는 학습자가 좋은 어휘부를 가지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4장에서는 어휘 교육의 목표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이루어진 어휘 교육론이나 어휘 교육을 검토하여 앞으로의 방향 설정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bject and significance in Korean lexical education. The basic as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lexical education should be learner`s improvements of lexical competence. Learners improvements of lexical competence have something to do with improvements of learner`s mental lexicon. In chapter2, we deal with significance in Korean lexical education. In chapter3, we deals with relations between object of lexical education and learner`s mental lexicon. In chapter 4, we deal with aspects of lexica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especially object of lexical education, contents of lexical education, period or time of lexical education, methods of lexical education and so on. To explain these issues, we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institution of curriculum, textbooks and soon. As a consequence, we comprehend deeply the object and significance of lexica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어과와 도덕과의 교과 통합 교육을 위한 내용 구성 방안 - `배려적 언어 사용`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구본관 ( Koo Bonkwa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2 No.-

        이 연구는 현대 사회의 문제를 교육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면적이든 부분적이든 통합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배려를 중심으로 국어과와 도덕과의 교과 통합 교육 과정의 내용에 대해 탐색해 본 논의이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국어과와 도덕과에서 논의된 배려와 배려 교육의 개념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배려적 언어를 매개로 하는 국어과와 도덕과의 통합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고찰해 보았다. 그런 다음 제3장에서는 배려적 언어 사용 중심의 국어과와 도덕과의 통합 교육과정을 설계해 보고, 이런 교육과정을 뒷받침하는 구체적 교육 내용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았다. 모든 교육적 논의는 교육적 실천을 통해 의미 있는 논의가 될 수 있다. 본고에서 제안한 교육 내용이나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논의들도 후속 연구에 의해 구체화되고 검증되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실행되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의 논의가 배려하고 배려받는 학교와 사회를 만드는 데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ntents of integrate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focused on caring. In chapter 2, the concepts of caring and caring education discus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were examined in detail. Based on these, the needs and the direction to integr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were considered as well.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focused on caring was designed in chapter 3 and its detailed educational contents were discussed next. Any educational discussion would not be meaningful without educational practice. The educational contents suggested in this research and discussions about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would also be meaningful when they are specified and verified in further study and practiced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It is hoped that our discussion could contribute for making schools and our society to take care and to be taken care of.

      • KCI등재

        문법 지식의 층위와 성격 - 원리 중심 문법 교육의 설계를 위한 토대

        구본관(Koo, Bon-Kwan),신명선(Shin, Myung-Sun)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6

        ‘문법 지식’은 문법교육학의 핵심 논제임에도 그간 깊이 있게 논의되지 못했다. 본고는 ‘문법 지식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 물음으로부터 시작하여 문법교육관을 정립하고 그에 근거하여 문법 지식의 층위를 세 가지로 제안한 뒤 원리 중심 문법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는 문법교육관을 ‘객관주의 문법교육관, 인지적 구성주의 문법교육관, 사회적 구성주의 문법교육관’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탐색한 뒤 본질론적, 국어교육적, 구성주의적 관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이어 문법 지식의 층위를 개인적 문법 지식(IGK), 일반적 문법 지식(CGK), 추상적 문법 지식(AGK)으로 나누고 각 문법 지식층위의 성격과 이들 간의 관계를 명료화하였다. 개인적 문법 지식(IGK)은 교육의 시작점이면서 동시에 도착점으로, 일반적 문법 지식(CGK)은 IGK와 AGK의 매개체로서 IGK 성찰을 위한 기준점으로 작용한다. 추상적 문법 지식(AGK)은 언어 공동체의 실천과 지향을 드러내는 논리적 실체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세 층위 문법 지식들을 중심으로 하는 문법 교육의 구도를 ‘원리 중심 문법 교육’으로 설계한 뒤 그 교육 방향을 ‘연철과 분철’을 예로 들어 구체화하였다. Grammar knowledge’ has not been discussed in depth even though it is a key topic in grammar education. This paper started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is grammar knowledge?’ and established a view of grammar education. Based on this, three levels of grammar knowledge were proposed, and then the direction of principle-based grammar education was suggested. In this paper, the viewpoint of grammar knowledge was divided into ‘a objective viewpoint, a cognitive constructivism viewpoint, and social constructionism viewpoint’, and after exploring its characteristics, the necessity of grammar education from constructivism was discussed. Next, the level of grammar knowledge was divided into Individual Grammar Knowledge (IGK), Common Grammar Knowledge(CGK), and Abstract Grammar Knowledge(AGK),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ammatical knowledge lev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re clarified. IGK serves as a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point for education, and CGK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IGK reflection as a medium between IGK and AGK. AGK is a logical entity that reveals the practice and orientation of the language community. In this paper, the design of grammar education centered on these three levels of grammar knowledge was designed as ‘Principle-centered Grammar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was embodied by taking ‘Yeoncheol (sound based spelling) and Buncheo (separating spelling)’ as an example.

      • KCI등재후보

        어휘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구본관(Koo, Bon-kwa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5 No.2

        본고는 어휘 교육의 목표와 교육 내용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검토한 후 실제로 가능한 어휘 교육의 방안을 찾아보려는 논의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어휘 교육의 이상태로서 어휘 교육 관련 논의들과 현실태로서의 현장에서의 어휘 교육을 살펴본 후, 양자의 간극을 좁혀 보고자 하였다. 어휘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의 어휘 능력 신장에 있다. 학습자의 어휘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양적ㆍ질적인 지식을 확충하고, 표현과 이해 양 측면의 어휘 활용 능력을 기르며, 어휘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함양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어휘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고, 어휘 교육과 표현ㆍ이해 교육, 어휘 교육과 의식 교양, 어휘 교육과 문화 능력 함양, 어휘 교육과 국어적 사고력 함양 등으로 나누어 교육 내용을 제안해 보았다.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에 이어 어휘 교육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우선 어휘 교육의 현실태로서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어휘 교육의 모습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부분적으로 보완할 사항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어휘 교육의 이상태로서 가상의 중학교를 설정하여 다양한 어휘 교육의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으로 이 글을 마무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ory and practice in Korean lexical education. The basic as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lexical education should be learner’s improvements of lexical competence. Learner’s improvements of lexical competence have something to do with improvements of theory and practice of lexical education. In chapter 2, we deal with the aims of teaching-learning in Korean lexical education. In chapter 3, we deals with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in Korean lexical education. In chapter 4, we deal with aspects of lexica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especially the real condition of lexical education, the ideal condition and so on. To explain these issues, we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institution of curriculum, textbooks and so on. As a consequence, we comprehend deeply the theory and practice of lexica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국어생활사 교육 내용

        구본관 ( Bon Kwan Koo ) 한국문법교육학회 2009 문법 교육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in Korean education. The basic as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we should research on educ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aside from Korean history education. Chapter 2 deals with statu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in Korean education. Chapter 3 deals with presuppositions to selec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Chapter 4 deals with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for practical purposes. To explain these issues, we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institution of curriculum, textbooks and so on. As a consequence, we comprehen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 KCI등재

        국어학회 60년과 한국어 형태론

        구본관 ( Koo Bon-kwan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본고는 국어학회 창립 60주년을 기념하여 학회지《국어학》제1~90집에 실린 논문을 대상으로 한국어 형태론 연구의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언어학 이론의 변화에 따른 형태론 연구의 변화를 잘 보여 주는 논문들과 통시 및 공시적인 자료를 대상으로 한 주요한 논문들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형태소 분석 방법, 조어론, 굴절론, 품사론으로 영역을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논문 중에서 본고의 관점에서 의미 있다고 생각되는 논문들을 살펴 보았다. 논의의 결과 다음 몇 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국어학》 창간 초기에는 구조주의 이론이나 생성 문법 초기 이론에 따라 새롭게 제기되는 형태론적 문제를 소개하는 논문이 주로 실렸다. 둘째, 최근에는 유추에 의한 단어 형성이나 어휘부 중심의 단어 형성에 관한 논의들처럼 다른 학술지에 실린 논의가 어느 정도 학계에서 자리를 잡게 되면 《국어학》에 실리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학술지가 많지 않던 시기에는 《국어학》 이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는 학술지의 성격을 가지다가 이후에는 특정 논의가 학계에서 중요한 주제로 정착되었음을 인증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국어학회는 국어학 연구의 과거이자, 현재이며, 미래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어학》이 학술 연구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최근의 이론적인 변화도 수용하여 세계적인 학술지로 성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Korean morphology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papers that show the change of morphology research according to the change of linguistic theory, and the papers that refer mainly to data. In Chapter 3, important papers are mentioned by dividing the domain of morphology into morphemic analysis, word formation, inflection, and parts-of-speech.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we could see a few things: First, in the early days, the journal published a paper introducing morphology theory to Korea. Second, recently, after a new topic is published in another journal, it tends to b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if it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opic. This suggests that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has a role in certifying that a discussion is an important topic. 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 should b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language research. To do this, we must strive to make the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the world's leading jour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