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화도서관의 큐레이션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곽우정,노영희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의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도서관계 및 유사기관, 포털 및 미디어기업의 큐레이션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특화도서관의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양한 큐레이터 참여를 통해 큐레이션 정보를 수집․선별하고, 주기적으로 큐레이션 정보를 웹사이트 및 온라인 게이트웨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소장 장서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이용을 극대화한다. 둘째, 연구지원서비스, 1:1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 북 큐레이션 등 특화도서관의 큐레이션 서비스의 범위를 다양화한다. 셋째, 특화 주제와 관련하여 디지털 큐레이션 서비스를 구축한다. 넷째, 내부에 비콘을 설치하고 정보 전달 매체에서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움직이는 동선과 공간에 머무르는 시간 등과 같은 데이터를 통해 개인화된 이용자 서비스를 제공한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olicy status of the specialized libraries and analyzed the status of curation services of libraries and similar institutions and portals, and proposed policy directions for the curation services provision of the specialized libraries. A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ur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select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curators, and the curation information is regularly updated on the websites and online gateways toward maximizing the perception of the book collections in place and the use of collections. Second, the scope of the specialized libraries’ curation services are diversified, such as research support services, one-on-one customized curation services, and book curation. Third, digital curation services are constructed in connection with specialized themes. Fourth, beacon is installed inside,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forwarding media, individualized user services are provided via such data as the scope of movement of the users and the time entailed for dwelling in a space.

      • KCI등재

        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대학도서관 맞춤형 서비스에 관한 연구

        곽우정,노영희,안인자,장징징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4

        This study intends to classify the users by the MBTI personality type and investigate and analyze information resources and services of library preferred by personality type. Towards this end, we have surveyed the K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preferred resources and services, and also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according to the MBTI personality type based o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digital contents type in the analysis of the data type preference and the quadrant type through the analysis of attitude index type from validating the difference between data / information source and servic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MBTI type. The analysis of 16 types of personality also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igital contents. Accordingly,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for data and digital contents suitable for personality types in university libraries, it should be preceded by collecting MBTI personality type data for users in the library. After that, when a user requests a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from a library, or requests a book or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form-specific service or provide a content-specific service. 본 연구는 MBTI 성격유형별로 이용자를 분류하고, 성격유형별로 선호하는 도서관의 정보자원 및 서비스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선호하는 자원 및 서비스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기반으로 MBTI 성격유형에 맞춰 대학도서관의 맞춤형 정보서비스 제공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MBTI 유형에 따른 자료/정보원 및 서비스 선호도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태도지표 유형별 분석에서 자료형태 선호도와 사분할 유형별 분석에서 디지털콘텐츠 유형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가지 성격유형별 분석에서도 디지털콘텐츠 유형에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에서는 성격유형에 맞는 자료와 디지털콘텐츠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도서관에서 이용자에 대한 MBTI 성격유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후 이용자가 도서관에 참고정보서비스를 요청하거나 도서, 정보 등을 요청할 때 형태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콘텐츠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도서관의 인공지능(AI) 서비스 현황 및 서비스 제공 방안에 관한 연구

        곽우정,노영희,Kwak, Woojung,Noh, Young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1

        4차산업혁명 시대에서 공공도서관은 인공지능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도서관 지능형서비스 추진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과 국내외 인공지능 관련 동향 및 정책, 사례 등의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도서관에서의 향후 인공지능 서비스 도입 및 발전 방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현재 도서관에서는 딥러닝, 자연어처리 등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해 자동으로 답변을 제공하는 참고정보서비스를 운영하며, 빅데이터 기반 AI 도서 추천 및 자동 도서 점검 시스템을 개발하여 업무 활용도를 높이고,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업 및 산업 분야에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사용자 개인 맞춤형 등을 기반으로 한 기술을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으며, 딥러닝을 사용하여 정보를 스스로 학습하여 최적의 결과를 제공하는 식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도서관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이용 기록을 기반으로 한 개인 맞춤형 도서 추천, 독서·문화 프로그램 추천, 도서 택배 서비스 시 자율주행 드론·자동차 등 운송수단을 통한 실시간 배송 서비스 도입 등 다양한 서비스 개발을 도모해야 한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ublic libraries need a strategy for promoting intelligent library services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artificial intelligence related trends, policies, and cases, we proposed the future direction of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in the library. Currently, the library operates a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that automatically provides answer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such as deep learning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develops a big data-based AI book recommendation and automatic book inspection system to increase business utilization and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users. Has been provided. In the field of companies and industries, regardless of domestic and overseas, we are developing and servicing technologies based on autonomous driv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personal customization, etc., and providing optimal results by self-learning information using deep learning. It is developed in the form of an equation. Accordingly, in the future, libraries will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to recommend personalized books based on the user's usage records, recommend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and introduce real-time delivery services through transport methods such as autonomous drones and cars in the case of book delivery service. Service development should be promoted.

      • KCI등재

        공동체 기억보존센터로서의 도서관 운영 및 큐레이션 제공 방안 연구

        곽우정,노영희 한국비블리아학회 202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1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e need for building the library as a hub of the community memory preservation which provides the collection, sharing, and curation services of the locality specific historical and local data based on the policy task, namely supporting the collec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community’s life memory.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data collec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institutions serving regional-based materials such as cultural centers and regional archives was grasped, and the cases and status of curation services in librari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iscussion proposed vi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the culture center, external demand has been increased from the aspect of social education including festivals, cultural and art event, cultural and art educational business, art activities business of local residents and managerial business is to be carried out,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culture center to manage its business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preserve regional various data at the pubic libraries playing various roles including provision of informative services, cultural programs and information sharing places to local residents and provision of services to vulnerable social group. As the existing libraries have a plan to collect data systematically, it is considered that those libraries will smoothly operate the data management through cooperation with existing culture centers and various cultural organizations. Second, it appears that a plan will be needed to set up all the data including the ones owned by libraries,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individuals and other competent agencies in online database so that they are easily available to the public and always available in the libraries because there are a lot of data which cannot be moved to other place and it is actually difficult to concentrate and set up all the data to those libraries.

      • KCI등재

        도서관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한 이용자-도서관 관계형성에 대한 연구

        곽우정,노영희,Kwak, Woojung,Noh, You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2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1 No.1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시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강화'를 핵심과제로 선정함에 따라 최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도서관의 이용자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가 도서관과 이용자의 관계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 큐레이션 서비스는 이용자의 만족도와 신뢰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만족도와 신뢰도는 도서관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 그리고 이용 증가 및 새로운 서비스 이용의사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이용자 수요조사에 기반한 이용자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미래사회에 도서관의 경쟁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한국의 공공도서관의 위상을 제고시키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s the core task was selected in the 3r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Reinforcement of programs and services to strengthen future citizens' capacity requir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ustomized curation service of the librar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customized curation service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brary and the user. As a result, the library curation service was prov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were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brary revisit, word of mouth intention, increased use, and new servic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the operation of customized curation services based on user demand surveys, and could further contribute to enhancing the statu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by 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libraries in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 of Relationship Marketing of Libraries on the Quality of User Relationship and the Intention of Selective Behavior*

        곽우정,노영희 융합연구학회 2023 융합연구학회지 Vol.7 No.1

        In this study, by examining and understanding how the relationship marketing factors form a relationship for the user trust and satisfaction with the library users, and by examining how they affect the users’ intention to re-visit and word of mouth, it was intended to be meaningful in providing the useful basic data for utilizing them in the context of the library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the public library us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the relationship factor increases, the reliability increases.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satisfaction increased as the professionalism factor and the relationship factor increased. Third, it was discovered that the higher the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factors, the higher the intention for word of mouth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Fourth, it was discovered that when the relationship orientation factor and the communication factor increased, the intention for word of mouth increased. Furthermore, it was discovered that when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library was high, it had an effect on intention to revisit and the intention for word of mouth.

      • KCI등재

        도서관의 특성화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특화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노영희,곽우정,신영지,Noh, Younghee,Kwak, Woojung,Shin, Youngji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3

        연구에서는 문체부 정책과 특화지향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으로 증가하고 있는 특화도서관의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향후 특화도서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의 지역 분포, 장서, 시설, 전문 인력, 프로그램, 서비스 등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총 55개의 도서관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한 시사점 및 정책방향 제안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이 특화주제를 선정할 때는 지역자원, 지역정체성, 지역브랜드, 지역주민의 수요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특화장서는 특화주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특화장서의 비중은 1만권이 넘도록 하되 전체장서에서 특화장서가 차지하는 비중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공간구성도 특화 주제를 고려해야 하며, 특화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공간이나 유형은 다르다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특화도서관에서는 특화분야의 전문인력을 배치하야 하며, 특화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사서교육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특화도서관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유형에는 관람형, 행사형, 강좌형, 참여형, 콘테스트형이 있었는데, 특화주제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해서 운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actual cases of specialized libraries which are increasing in numb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ocal government policy and the specialization-oriented social atmosphere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future. In order to do that, the distributions, collections, facilities, professional manpower, programs, and services of the libraries providing specialized servic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 total of 55 libraries were analyzed and the implications and proposed policy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selecting a specialized subject, the library should consider the local resources, local identity, local brands and demand of local residents. Second, specialized collections should be related to the specialized topic, and the number of specialized collections should be more than 10,000, but the proportion of specialized collections compared to the total collection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rd, the design of space should consider the specialized subject, taking into account that required spaces and typ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pecialized subject. Fourth,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have specialists from the specialized area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librarian education institutes seem to be critical for cultivating specialized personnel. Fifth, the program type implemented by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operated from the program types of view-type, event-type, lecture-tepe, experience-type and contest-type, based on the specialized subject.

      • KCI우수등재

        개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도서관 역할 정립을 위한 우리나라 도서관 정책 및 성과 분석 연구

        노영희,곽우정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4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ies currently announced in the “3r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in relation to the discovery of individuals’ potential in librari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tasks promoted and executed by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municipal and provincial libraries based on these polic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s for libraries to play their role in discovering the potential of individuals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due to the poor performance of libraries resulting from reduced in-person events because of library closures and the promotion of non-contact services such as humanities classes and cultural programs in response to COVID-19,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s to support emergency management and non-contact programs in response to COVID-19, as well as increase the budget for extending reading culture projects for underprivileged regions and peopl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iscover quality long-term, non-contact programs, provide infrastructure for non-contact program operation, and develop guidelines. Second, it is observed that communication- and discussion-type social reading programs need to be promptly converted into and operated as online classes. Third, the study results confirm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reinforce external cooperation, such as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and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use for users, conducting seminar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ouncils, promoting one-stop data sharing systems, executing data digitalization, expanding library infrastructure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and promoting public relations activities.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개인의 가능성 발견과 관련하여 현재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 발표된 정책을 살펴보고, 해당 정책을 기반으로 중앙행정기관과 시․도 도서관에서 추진한 과제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개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로 인문․문화 프로그램 등 비대면 서비스 진행 도모, 도서관 휴관 따른 대면행사 축소로 실적이 저조하여 코로나19 대응 비상관리 및 비대면 프로그램 운영 지원체계 구축과 소외 지역 및 소외 계층의 독서문화 사업의 확대 운영을 위한 예산 증액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장기적 양질의 비대면 프로그램 발굴과 비대면 프로그램 운영 위한 인프라 지원,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임을 파악하였다. 둘째, 소통․토론형 사회적 독서 프로그램은 온라인 강좌 전환 운영이 빠르게 전환될 필요성을 감지했다. 셋째, 이용자 정보접근 편의확대 개선과 국내․외 협의회 간 세미나 운영, 자료 원스톱 공유 시스템 활성화 및 자료의 디지털화 추진,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비 하는 도서관 인프라 확충, 홍보 활성화 등 대외협력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병영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노영희,곽우정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3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vitalization plan of military libraries, on the basis of analysis for the military library status and the results of a survey and interview with soldiers and working staff in the military libraries. To this end, first, it analyzes study trends in the operation and revitalization plan of the military libraries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operation of the military libraries. Second, it identifies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the military librar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between the operation of domestic military libraries and the best cases as well as the operation situation of the overseas military libraries. Third, it suggests the revitalization plan by holistically analyzing the situation and the best cases of the military libraries while finding out the problems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number of exclusive personnel with librarian qualifications and prepare standards for the placement of librarian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online education to provide regular operation education for the personnel of the military librari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mmon manuals for working staff.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plan to expand the preference books of soldiers to increase reading and usage rate of the military libraries. Fifth,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library space in the form of a book cafe for soldiers' knowledge development and relaxation and to locate the library in a highly accessible place. Lastly, it needs to develop the application of the military library and should lead to high interest in libraries by letting soldiers read books and post book reviews on it after work. 본 연구에서는 병영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군부대 장병 및 병영도서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면담을 실시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병영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기반한 병영도서관 운영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으며, 병영도서관 운영을 조사․분석하였다. 둘째, 병영도서관 우수사례 및 현황과 해외 병영도서관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국내 병영도서관 운영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병영도서관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현황 분석 및 면담과 설문을 통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병영도서관 우수사례 등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서자격증이 있는 전담인력의 확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사서배치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병영도서관 인력의 주기적인 운영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교육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실무자를 위한 공통된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하며, 넷째, 병영도서관의 이용률과 독서 증진을 위해 장병들의 선호 도서 확충과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장서 확보 등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장병들의 지식함양 및 휴식을 위해 북카페 형식의 도서관 공간을 구성하고 접근성이 높은 곳에 도서관을 위치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병영도서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일과 이후 장병들의 독서 시간을 갖고 독서에 대한 서평을 게시하여 도서관에 대한 높은 관심과 도서관 활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인문학 프로그램의 이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노영희,곽우정,정대근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In this study, I intend to present directions of enhancing humanities program for expanding the social awareness and status of the humanities based on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humanities program for the purposes of popularizing the humanities. To this end, I have collected opinions such as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and plans of improvement for the humanities programs conducted for the citizens of City C.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tudy, it was found that, for promoting the interest of the users, the humanities should be comprised of beneficial lectures having impact on the overall aspects of society such as th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s’ inner side, social and cultural sophistication, and social development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and when planning lectures and experiential programs, types (details) of programs and lecturers will likely contribute to expanding the extent of the users’ participation and awareness of lectures. Accordingly, for enhancing the humanities program, I have presented that plans should be devised such as to offer lectures customized to the interest of citizens, offer subjects concerning issu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in-depth social issues in the study of humanities, and invite professional lecturers across diverse areas. 본 연구에서는 인문학의 대중화를 위해 인문학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기반으로 인문학의 사회적 인식 확산 및 위상을 높이기 위한 인문학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도시 시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문학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개선 방안 등의 의견수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인문학은 남녀노소 불문하고, 개인의 내면・사회적・문화적 교양・사회 발전 등과 같은 사회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영향을 주는 학문으로 유익한 강의 내용을 구성하여야 이용자들의 관심이 증진될 수 있으며, 강좌 및 체험 프로그램 계획 시 프로그램의 종류(내용)와 강사가 이용자의 참여도와 인문학 강좌 인식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인문학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서는 시민을 위한 재밌는 맞춤 강의, 깊이 있는 사회적 이슈를 인문학에 도입해 다루는 문제에 대한 주제, 다양한 분야의 전문 강사 초청 등에 대한 방안을 강구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