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수 그리스도의 영혼돌봄으로 본 비블리오드라마 - 비블리오드라마를 통한 목회상담적 제안 -

        곽우영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7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highlighting the identity of Bibliodrama based on Jesus Christ’s care of the soul, and explores its practical application. Bibliodrama, with a history of about half a century, emerged as a part of experiencing the Bible through psychodrama, introducing a new trend that transformed conventional theological interpretations offered a one-sided understanding of the Bible. Today, Bibliodrama has developed alongside various religious and artistic contexts, but it often fails to take full advantages of the unique attributes of Bibliodrama. There have been instances where Bliodrama is conducted in a manner resembling psychodrama, despite their fundamental differences. This problem has led to an unclear sense of identity for Bibliodrama, since its initial derivation from the structure of psychodrama. Consequently, this study defines the identity of Bibliodrama as 'Jesus Christ’s care of the soul' and proposes a direction for accentuating Bibliodrama’s unique characteristics, rooted in the Bible, naming it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Unlike psychodrama, which focuses on the psychotherapy of the main character, Bibliodrama aims to immerse participants in the roles of the Bible, using it as texts. Furthermore, applying the Bible like a regular book or using it solely for psychotherapeutic purposes in Bibliodrama risks mixing it with psychodrama in terms of content, potentially leading to Bibliodrama being regarded as a subset of psychodrama. This study describes the concept, necessity,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to distinguish Bibliodrama from other forms of psychodrama and clarify its identity. This will allow for a clearer demarcation between Bibliodrama and psychodrama, which has often been ambiguous, enabling directors of Bibliodrama to reproduce the Jesus Christ’s care of the soul through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Moreover, this study introduces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as a novel form of pastoral counseling. While pastoral counseling advanced rapidly during World War II, its scope appears to have narrowed to individualized counseling, that is, professional care. The roots of pastoral counseling lie in Jesus Christ’s care of the soul, and by proposing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as a new form of pastoral counseling, which upholds the identity of soul care. This study aims to reinstate the communal aspect of pastoral counseling, which has focused on individual counseling. After the death of Jesus Christ, the church took responsibility for him and his ministry. This shows that integrating the care of the soul into Bibliodrama can be a principle for its application in churches and pastoral settings, offering a way for pastoral counseling to respond to the diverse needs of congregations. In the future, this approach is likely to aid more churches and communities in experiencing Jesus Christ’s care of the soul through ‘Bibliodrama’s Care of the Soul’.

      • KCI등재

        비블리오드라마(Bibliodrama)의 향후 과제와 목회적 돌봄1) - 메소드 훈련(Method Training)을 적용한 아동 비블리오드라마를 중심으로 -

        곽우영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Bibliodrama emerged against the intellectualist tradition of cognitively learning and studying the Bible. It is an embodiment of people learning the Bible directly from experience through their bodies. By taking on roles in the Bibliodrama, participants experiences being themselves 'people of the Bible', and at this time, method training helps them to immerse themselves in their roles. These role experiences allow the participant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others as well as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the Bible. In other words, Bibliodrama has the characteristics of pastoral counseling that provides a healing experience of counseling through role-playing and can naturally cultivate an understanding of the Bible through community work. This study conducts a qualitative analysis of children's Bibliodrama to which method training is applied using Van Kaam'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 addi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Bibliodrama for children and the significance of pastoral counseling through the study of children. It also contains the results of studying the pastoral theological methods on how Bibliodrama has been applied in the pastoral field and how it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field. Until now, Bibliodrama has been used as new Bible studies through group counseling or applied to psychotherapy fields and various studi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fact that the Bible, the text of Bibliodrama, points to ‘Jesus Christ,’ and pastoral counseling originated from ‘Jesus Christ's ministry,’ the future tasks of Bibliodrama are related to this.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researchers to suggest that the Bibliodrama practiced in Korea can be used as better pastoral counseling than the present, which is limited to healing, and to give new vitality to the Korean church that has been stagnant by COVID-19. 비블리오드라마는 성경을 인지적으로 배우고, 학습하는 주지주의적 전통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났으며 몸을 통한 경험으로 성경을 직접 배우는, 체현(體現)의 방식이다. 참여자는 비블리오드라마에서 역할을 맡음으로 '성경의 인물'이 직접 되어보는 경험을 하는데, 이때 메소드 훈련을 통하여 참여자가 맡은 역할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런 역할경험은 참여자가 타인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성경 내용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즉 비블리오드라마는 역할을 통해 상담의 치유적 경험이 가능하고, 공동체 작업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성경에 대한 이해를 배양할 수 있는 목회상담적 특징이 있다. 이 논문은 메소드 훈련을 적용한 아동 비블리오드라마를 반캄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질적 분석하여 비블리오드라마가 어떤 효용성이 있는지, 그 목회상담적 의의를 아동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또한 비블리오드라마가 지금까지 어떻게 적용되어 왔으며, 목회 현장의 필요에 어떻게 적용되어야 할지에 대한 목회 신학적 방법을 연구한 결과를 담고 있다. 그간 비블리오드라마는 집단상담으로 새로운 성경공부로 사용되거나, 심리치료 분야 및 다양한 학문에 적용되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비블리오드라마의 텍스트인 성경이 ‘예수 그리스도’를 지향하고 있으며, 목회상담이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서 기원한 것을 근거로 비블리오드라마의 향후 과제를 이와 연관시켰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서 국내에 시행된 비블리오드라마가 그 치유적인 영역에 한정되어있는 현실에서 더 나아가 좋은 목회상담으로 활용될 방향을 제시하고, 코로나19로 침체되어있는 한국교회에 새로운 활기를 주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Hairpin Line 여파기의 간단화된 등가회로

        곽우영,박진우 한국통신학회 1999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4 No.9

        본 논문에서는 Hairpin Line 여파기의 정확한 해석 및 설계를 위한 등가회로를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등가회로의 유효성을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설계를 통해 입증하였다. Hairpin Line 여파기에 대한 설계식은 다양하게 제시되었으나, 인접하지 않는 소자간의 상호 연결성을 포함한 실제적으로 간단화된 등가회로는 아직 명시되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회로 duality을 이용하여 Hairpin Line 여파기 회로의 모든 개방단자를 단락단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회로를 그래프 모델로 표시하였다. 또한 각 단자에서의 경계조건으로부터 보다 간략화된 회로모델을 구하고 역 dual구조로 변환하여 Hairpin Line 여파기에 대한 간단화된 등가회로를 유도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hairpin line filter for accurate analysis and design. Its validity was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s and filter design experiments. Though the various design equations for a hairpin line filter have been proposed, there has not been a practically simplified equivalent circuit because it is hard to effectively represent interconnection effects between non-adjacent elements. In this paper, all the open ports of the hairpin line filter circuit are changed to the short ports using circuit duality, and the resulting circuits are transformed to graph model. The further simplified circuit model is obtained from boundary conditions, and then the final equivalent circuit of the hairpin line filter is derived in a dual structure of the filter.

      • KCI등재
      • 오피스빌딩 리모델링의 임대료 상승효과

        곽우영,최막중 한국주택학회 2003 한국주택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3 No.3

        최근 IMF 이후 금융시장과 부동산시장이 통합되면서 민간업체를 중심으로 국내 오피스 임대시장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 수집이 이루어지면서 서울시 오피스 임대료 결정구조를 밝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피스빌딩의 건축적 특성, 위치적 특성, 교통접근적 특성에 더하여 리모델링 관련변수를 분석대상에 포함시켜 리모델링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했던 서울시 오피스 임대시장의 임대료 결정구조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대지면적, 지상층수, 기준층전용률, 리모델링 여부는 임대료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준공후년수, 여의도권 입지여부, 강남권입지여부, 지하철역과의 거리는 임대료를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서울시 오피스 임대료 결정구조에 있어 오피스빌딩의 단위특성과 지역특성뿐만 아니라 리모델링과 같은 유지·관리적인 특성이 임대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효율적인 HMI(Human Machine Interface)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곽우영,김우성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09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5 No.4

        급변하는 경제환경의 영향으로 오늘날 기업들은 밸류체인(Value Chain)도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글로벌화에 따른 생산공정의 원격화, 비주류 영역의 아웃소싱, 부서의 통 폐합 및 기업의 흡수 합병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제 환경에서 제조기간의 단축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 생성된 데이터의 효율적인 수집 및 처리, 생산 라인의 확장에 따른 시스템 통합 문제와 과대한 비용의 발생으로 어려움을 격고 있다. 특히, 이 기종간의 시스템 통합과 원활한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 또 다른 컨설팅을 받거나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면서 특화된 솔루션으로 환경을 구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현재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솔루션으로는 완벽하지 않지만 부분적인 자동화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제조라인에서의 장비 및 데이터 가공의 문제를 보완하여, 생산 장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수집 및 가공을 편리하게 하고 유실된 데이터의 복구 처리를 원활하게 하며 시스템 설치후의 유지보수와 향후 라인 증설시의 시스템 확장성이 편리하도록 새로운 미들웨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특히, 생산라인의 통계 프로그램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SAP(Systems, Applications and Products in Data Processing)과의 인터페이스를 편리하게 하여 향후 시스템 확장 및 유지 보수 특성을 강화 시켰다. 개발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능 평가는 기존의 POP(Point of Production), DAS(Data Acquisition System), EDA(Equipment Data Acquisition)시스템과 성능을 평가 하여 시스템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데이터 통합을 위한 장비모니터링시스템 설계 및 구현

        곽우영(Woo-Young Kwark),김우성(Woo-Sung Kim),박근덕(Geun-Duk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9

        생산현장에서 장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체계적 관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수집을 편리하게 하고 유실 데이터의 처리를 원활하게 하며, 유지보수와 시스템의 확장성이 편리한 새로운 미들웨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결과를 활용하면 장비와 기계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장비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XML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다른 시스템에서도 쉽게 재 사용할 수 있도록 상호 운용성을 강화할 수 있다. 특히, SAP(Systems, Applications and Products in Data Processing)과의 연계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간소화된 비즈니스로직의 구현으로 시스템을 경량화하여 백업 시스템의 확장성 및 유지 보수 특성을 강화시킨다. It is an important matter to manage data gathered from equipment in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However, systematic management about these data is sparsely deployed in the practical fields. This paper proposes a middleware monitoring system that efficiently supports acquisition of data from the equipment, efficiently compensates the lost data and flexibly maintains extensibility of the system. Through the result system of this paper, the data gathered from the equipment are easily stored into the database and the system status is able to be monitored in real-time. Furthermore, because the data are stored in the XML format, they are utilized in other systems in straightforward manner, which enhances the interoperability of the system. Especially, it enables ease interface to SAP, implements light-weight system by a simplified business logic and strengthen the extensibility and maintenance abi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