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메시스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곽영근(Kwak Young kuen)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6 No.-

        본 논문은 미메시스 개념의 의미를 탐색하고 도덕교육적으로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플라톤의 도덕적 미메시스를 살펴보고, 도덕교육적 의미를 찾는다. 둘째,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식적 미메시스를 살펴보고, 도덕교육에 전해주는 시사점을 찾는다. 셋째, 현대 미메시스론, 특히 에른스트 블로흐의 유토피아적 사고관에 의해 파악된 미메시스 개념을 알아보고 도덕교육적 수용 방안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이 미메시스를 하는 근원적인 행위 원인과 도덕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며, 도덕교육에서 전개되는 미메시스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하고자 한다. 플라톤의 도덕적 미메시스는 도덕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의미있는 관점을 전해준다. 이와 대조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미메시스 행위 자체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도덕교육의 형식적 의미를 시사해준다. 현대 미메시스론은 객체와 주체의 역할에 대한 상이한 초점을 두고 있으나 각각의 내용들 역시 도덕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점들을 전해준다. 이러한 논의들은 블로흐의 과정적 미메시스에 의해 목적의 의미를 갖게 되며, 도덕교육의 목적에 상응하는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This study desires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meaning of Mimesis, and to interpret it moral-educationally. First, the moral Mimesis of Plato is examined, and moral educational meaning found. Second, the formal Mimesis of Aristotle is examined, and its implication in moral education is found. Third, modern Mimesis theory, especially its concept as understood by the utopian values of Ernst Bloch is investigated, and moral educational acceptance method is examined. Through this, the study desire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original impetus for Mimesis and moral education, and to re-emphasize the importance of Mimesis proceeded in moral education. The Moral Mimesis of Plato imparts a meaningful viewpoint to form contents of moral education. In contradistinction to this, Aristotle imparted meaning to the Mimesis act itself, so implied formal meaning in moral education. Modern Mimesis Theory brings a different focus on role of object and subject, but each content also impart moral-educationally meaningful points. Such discussions have a meaning of purpose through process Mimesis of Bloch, and include a meaning that corresponds to a purpose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의 호모루덴스

        곽영근 ( Young Kuen Kwa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50

        이성중심 사상사 속에서 놀이는 부차적 차원의 행위 양식이었다. 그러나 놀이를 인간 문화 형성의 핵심으로 이해한 호이징아의 견해는 새로운 관점에서 놀이를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놀이의 특성을 증명한 호이징아와 놀이를 객관적이며 실증적으로 분석한 카이와, 그리고 놀이 속에서 인간 실존을 언급한 핑크의 주장은 인간과 놀이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파악해 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인간 행위를 이해하기 위한 도덕교육은 이들의 주장을 통해 놀이의 의미를 되새겨볼 필요성을 갖는다. 특히, 도덕과 수업에서 놀이는 수단적 역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놀이의 특성을 통해 수업 자체와 관계하며, 놀이하는 인간을 통해 실존의 영역으로 들어서게 한다. 놀이하는 인간은 더 이상 수준 낮은 행위를 하는 것이 아니며, 도덕과 교육에서 놀이는 더 이상 수단적 지위에 머무르지 않는다. 놀이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도덕교육적 놀이에 대한 의미를 내포한다. 더 나아가 놀이와 도덕적 행위의 연관은 인간 행위의 다각적 이해를 통해 도덕과 교육에 새로운 역할을 요청한다. Play in history of reason-oriented ideas is a secondary act style. However, opinion of Huizinga understanding play as the heart of formation of human culture made people see play in a new perspective. Opinions of Huizinga proving characteristics of play, Kai analyzing play objectively and empirically, and Pink referring to human existence in play offered the beginning to understand relation between person and play in various fields. Moral education to understand a human act needs to mediate a meaning of play through their opinions. Especially, play in moral class not is limited to an instrumental role but is related to class itself through characteristics of play, and enters an existential field through person who is playing. Person who is playing does not act of low standard anymore, and play in moral education does not remain in an instrumental position anymore. New understanding of play and person includes a meaning of moral educational play. Furthermore, relation between play and moral act asks moral education for a new role through multilateral understandings of human act.

      • KCI등재

        플라톤 『향연』에로스론에 비추어 본 도덕교육의 방향

        곽영근 ( Kwak Young-kue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3

        플라톤의 저작 『향연』은 에로스에 대한 논의를 주제로 하여 전개된다. 그러나 내면을 살펴보면, 단순한 일반적인 사랑에 대한 논의를 넘어서 결여된 존재와 그 존재의 불멸의 가능성에 대해 심도 깊은 의미를 전해준다. 이와 관련하여, 도덕교육은 존재와 그 존재에 의거하여 형성된 공적인 전통 속에서 행위 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향연』속 소크라테스의 언설과 행위는 도덕교육에 중대한 의미를 시사해준다. 소피스트와 시인들의 에로스론과 이를 극복한 소크라테스의 에로스론으로의 전개 과정은 도덕교육의 내용이 담고 있어야 할 영역에 관련하여 의미가 있다. 이러한 영역은 형식성을 제시하기 위한 예비적 고찰로서 연관한다. 또한, 디오티마와 소크라테스의 대화 속에서 드러나는 진정한 철학자의 에로스, 더 나아가 존재에 대한 질문들은 도덕교육이 가져야 할 불멸을 향한 형식성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게 한다. 이를 통해 진정한 에로스를 표현하고 있는 도덕 교사의 모습은 형식성의 표현인 공적전통의 내용들을 언설과 행위로 증명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결여된 존재가 불멸로 향하는 핵심 사항을 보여줄 것이다. Symposion written by Plato is built by developing a discussion on the theme of Eros. But look at the inside, makes around a deep sense of depth to the possibility of immortality beyond the mere lack of discussion about the present and the present one-sided love. In this regard, the moral education suggest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targets a series of processes that act in the public tradition formed the basis of the existence and presence, Socrates` opinion and act in 『Symposion』 suggested major significance to moral education . Eros in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and the theory of Eros, Socrates overcome the Sophists and poets are meant to be relevant to the region must contain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This region is associated with a preliminary study to present a formality. In addition, the true philosopher`s Eros revealed in conversations between Socrates and Diotima, there are further questions about existence make us to pay attention to the format towards immortality to have the moral education. State of moral teachers to express the true Eros through it is to prove the contents of a type of public tradition as formal expression with opinion and behavior, the description will show the core that the mere lack lead for immortality.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역할놀이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곽영근(Young Kuen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역할놀이의 도덕교육적 의미를 실존적 접근과 암묵적 차원을 중심으로 찾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도덕과교육에서 제시되고 있는 역할놀이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예시를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도덕과교육에서 표현하지 못하는 생활을 통한 삶의 영역에서 역할놀이의 도덕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이때,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지도서에서 표현되고 있는 역할놀이의 교과교육적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며, 삶의 영역에서 문화인류학적, 사회학적, 특히 철학적 접근을 통해 조명되지 못한 내용을 발견하고자 한다. 결과 도덕과교육과 그 이외의 삶의 영역에서 역할놀이는 중요하게 이해되고 있다. 도덕과교육에서 역할놀이 수업모형은 주요 교수⋅학습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다양한 상황에 적용되어 도덕교과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다. 더불어 인간의 삶 속에서 놀이와 재현은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는데, 특히 교사와 학생의 실존적이며 암묵적인 차원의 역할놀이의 의미는 도덕교육적으로 주요하게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놀이는 실존적 접근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으며, 교사 역할에 대한 학생의 재현은 암묵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 교사는 도덕과교육뿐만 아니라 삶의 영역에서 역할놀이에 참여하고 있는 자신과 학생에 대해 이해해야 하며 도덕교육 전반에서 역할놀이의 의미를 되새겨 보아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역할놀이에 대한 교과교육적 접근뿐만 아니라 실존적 접근과 암묵적 차원을 이해하여 실천할 때 보다 나은 도덕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ral educational meaning of role play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the existential approach and implicit dimension. Methods To this end, it tries to find out about the role play presented in moral subject education and to show examples that can be applied in practice. Also, It seeks to find the moral meaning of role play in the realm of life that has not been expressed in moral subject education. At this time, it tries to grasp the curricular educational intention of the role play expressed in the moral curriculum, textbooks, and guidebooks. It seeks to discover what has not been illuminated through cultural anthropological, sociological, and especially philosophical approaches in the realm of life. Results Role play is understood as important in moral subject education and other areas of life. In moral subject education, the role play class model is presented as a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it is applied to various situations and is meaningful in terms of moral subject education. In addition, play and representation have important meanings in human life, and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role play in the existential and implicit dimension of teachers and students needs to be of primary interest in terms of moral education. This is because play can enable an existential approach, and the student's representation of the teacher's role is being made at an implicit dimension. Conclusions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ir students who participate in role play in the realm of life as well as moral subject education, and should reflect on the meaning of role play in moral education as a whole. Through this, better moral education will be achieved when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e existential approach and implicit dimension as well as the subject educational approach to role play.

      • KCI등재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변증법적 논의에 비추어 본 도덕과 교육의 의미 - 롤스와 샌델의 논의를 중심으로 -

        곽영근 ( Kwak Young Kue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59

        본 논의는 롤스의 자유주의와 샌델의 공동체주의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도덕과 교육의 의미를 되짚어 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현재 제시되고 있는 도덕과 교육과정 방향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더 나아가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최종국면에서 도덕과 교육의 의미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신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및 자유주의의 의미와 한계 그리고 공동체주의적 반론과 이에 내재된 의미 속에서 도덕과 교육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긍정적인 내용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현상 너머의 궁극적인 최종국면을 지향하며 변증법적인 과정 속에서 드러나는 존재의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Rawls’s liberalism and Sandel’s communitarianism, and to find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Specifically, emphasize the justification for the moral education currently being presented. Furthermore, it sought to explore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in the final phase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I have looked fo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neoliberalism, libertarianism, and liberalism, and counteractions from communitarianism. In the meaning inherent in this, I was able to provide positive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and role of moral education. Also, I could reflect on the meaning of existence shown in the dialectical process, as I move toward the ultimate final phase beyond the status quo.

      • KCI등재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 탐구

        곽영근(Kwak, Young-kuen)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본 논문의 목적은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첫 번째로 싱어가 제시하고 있는 이익평등고려의 원칙과 선호공리주의가 생명윤리 분야 내에서 어떠한 의미와 한계점을 갖는지 살펴본다. 두 번째로 칸트 윤리학이 생명윤리 분야에서 갖는 중요성을 강조해 보고, 그럼에도 부족했던 관점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가 생명윤리로 실현되어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인간 삶의 의미를 제언하고자 한다. 싱어의 주장은 기존 윤리학사(倫理學史)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진화한 생명에 대한 새로운 화두를 던져준다. 그는 당연시 되었던 인간 존엄에 대해 부정할 수 없는 차원의 의견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생명 존중대상에 대한 범위 확장을 합리적으로 이루었다고 평가할만하다. 이와 구분하여, 칸트 윤리학은 인간 존엄의 의미를 형이상학적 의미를 근거하여 설명한다. 더 나아가 인간 삶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한다. 그들의 주장을 수용함에도 결핍되었던 삶의 의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의 적용을 통해 해소될 수 있을 듯하다. 인간을 비롯한 존재자의 삶의 의미는 생명, 더 나아가 존재 자체에 내재된 것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oretical ethics regarding bioethics. First, I explor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bioethics domain for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and the ‘preference utilitarianism’ concepts Singer presents. Secondly, I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Kant’s ethics in the domain of bioethics. Lastly, I suggest that Aristotle’s virtue ethics should be realized in the domain of bioethics. Furtherm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meaning of human life through this. Singer’s argument brings up a new topic about the meaning of evolved life not considered in the history of traditional ethics. He presented undeniable opinions about human dignity that he took for granted. In addition, it is assessed that the scope extension for the life respect target has been reasonably achieved. Contrary to this, Kant’s ethics explains the meaning of human dignity based on its metaphysical meaning. Furthermore, it provides an appropriate orientation for human life. Embracing their claims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meaning of Good Life. The meaning of Good Life is likely to be resol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ristotle’s virtue ethics. The meaning of a being of substance is living and furthermore, it is inherent to being itself.

      • KCI등재

        니체 “허무주의”를 통한 도덕과 교육의 새로운 방향 연구

        곽영근 ( Young Kuen Kwa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6

        현대 사회는 인간성 상실, 인간소외 현상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대한 극복은 도덕교육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 우선 일상생활 속의 도덕교육을 살펴보아야 한다. 일상생활 속의 도덕교육은 일상적인 삶 자체를 통한 도덕교육이라는 큰 장점을 갖지만, 상식 수준의 한계, 인위적인 환경의 구성, 그리고 논리적인 가정을 통해 도덕과 교육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도덕과 교육은 보편적인 법칙이나 전통적인 덕목을 통해 인간성 상실, 인간소외 현상, 다양한 사회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도덕과 교육은 보편적 법칙과 전통 그 자체에 대한 니체의 허무주의적 해석을 통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니체는 적극적인 허무주의를 통해 노예 도덕이라 일컬어지는 보편적인 법칙이나 전통이 아닌 주인 도덕을 지향한다. 즉, 허무주의의 방법을 통하여 기존의 원한에 의해 형성된 노예 도덕의 낡은 가치를 새롭게 창조하는 위버멘쉬를 제시한다. 이러한 니체의 허무주의를 통한 해석은 현 도덕과 교육에 새로운 내용과 형식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인간성 상실, 인간 소외 현상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긍정적 지향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modern society is revealing the various social issues situation such as the loss of humanity, human alienation phenomenon etc. The overcoming can be accomplished by the moral education. First, the moral education in the daily life can be examined. The moral education in the daily life has big strong point as the moral education, but it should be conducted with the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through the common sense level, artificial environment configuration, and logical supposition. The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can suggest the possibilities to overcome the loss of humanity, human alienation phenomenon, the various social issues through the universal rule or traditional virtues. But the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receives the new phase with Nietzsche`s nihilistic interpretation about the universal rule, tradition. Nietzsche aims the master morality but the universal rule or tradition as the slave morality with nihilism. In other words, it provides Ubermensch(overman) to create old value of slave morality formed by the existing grudge through the nihilistic methods. Finally, the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al interpretation about Nietzsche`s nihilism will suggest new content type for the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Through this, the positive goals about the various social issues in addition to the loss of humanity, human alienation phenomenon will be able to be found.

      • KCI등재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의 의미와 실제 연구:

        곽영근(Kwak Young Kue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새롭게 개정된 2015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의 의미를 살펴보고 수업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은 정의의 다양한 학문적, 사회적 의미를 토대로 하여, 현재 시대상황을 고려한 사회적 요구 를 교육 내용으로 삼고 있다. 이로 인해 매우 광범위한 분야의 내용을 교육해야 하는 난점이 대두된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학문적 이해와 수업 설계에 대한 교사들의 애로사항은 도덕 수업을 위한 대표적 안목 예시 작업이 전무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대표적 예시를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하여 지도서, 정의에 대한 윤리학적 접근, 안목을 갖춘 수업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물 등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의는 관점에 따라 외재적 혹은 내재적인 의미로 구성될 수있다. 도덕과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다양하고 폭넓은 정의의 의미에 대한 이해이다. 이를 토대로 3∼4학년군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은 ‘공공장소에서 지켜야 할 규칙과 공익의 중요성을 알고, 공익에 기여하고자 하는 실천 의지를 기른다.’라는 성취기준을 기본 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다. 해당 성취기준의 1차시 수업은 학생 경험에 근거한 상황을 직접 역할놀이하고 토론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은 학생들의 도덕과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교사의 지적탐구와 안목 정립의 대표적 예시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교육 내용을 몸으로 직접구현하는 교사는 지식에 대한 탐구와 올바른 안목 정립 과정을 실천함으로써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 이상의 근원적 의미를 학생에게 전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Social and Community Relations in the revised 2015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design the lesson. This area is based on various academic and social meanings of justice, and it is based on the social needs considering current situation. Thus, this area presents the problem of educating contents in a very wide range of fields. Teachers difficulties with academic understanding and planning for lessons at school come from the lack of representative examples of judgment for moral lessons. The study focused on overcoming these problems and presenting typical examples. So I will be based on the 2015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 intend to utilize the guidance, and ethical approaches to the justice, and importance of a thoughtful lesson pla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justice may consist of an external or an internal meaning,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In moral lesson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various and wide the justice. ‘Social and Community Relations area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s is based on an achievement criterion of ‘Know the rules and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interest in public places and raise the will to contribute to the public good.’ The first lesson in the achievement criteria will be given in encourage students to role-play and discuss in situations based on their experiences to achieve the goal. Work on such a process would be a classic example about teacher s intellectual research and perspective for achieving students moral education objectives. Furthermore, the teacher who implements the education contents directly will give the student more than basic meaning of the goals set forth in the curriculum by exploring knowledge and practicing the correct judgment process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곽영근(Young Kuen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법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이솝우화』의 개별 우화와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연결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시 주의해야 할 우화 정보와 이유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도덕교육에서 도덕 발달의 형식성을 추구하기 위해 『이솝우화』를 통한 주요 학습 질문과 간략한 활용 방안을 예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이솝우화』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자신과의 관계 영역’에서 202편, ‘타인과의 관계 영역’에서 85편,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에서 46편, ‘자연과의 관계 영역’에서 25편의 관련을 보였으며, 세부적으로 19가지 내용 체계 질문과 성취기준에 연결될 수 있었다. 또한 『이솝우화』에서 도덕과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인 ‘성실’, ‘배려’, ‘정의’, ‘책임’과 이에 더해 ‘성윤리’의 측면에서 주의해야 할 192개의 우화를 추출하고 이유를 밝힐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도덕교육의 도덕 발달 형식에 관한 접근을 위해 우화별로 도덕적 질문을 제안하고, ‘늑대와 개’ 우화를 선정하여 도덕 발달의 형식적 접근으로 활용한 일부 예시를 제시할 수 있었다. 결론 오랜 기간 도덕 이야기 자료로 활용되어 온 『이솝우화』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에 의한 접근, 도덕 발달 형식에 관한 접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지, 비도덕적 요소에 대해 주의를 가져야 할 것이며, 향후 구체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논의를 전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tilization of Aesop's Fables in moral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revised 2022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I would like to present the individual fables of Aesop’s Fables by linking the content system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reasons for fables to be careful when using Aesop’s Fables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pursue the formality of moral development in moral education, I tried to illustrate major learning questions and simple utilization measures through Aesop’s Fables. Results Aesop’s Fables were related to 202 in the “Relationship with oneself” section, 85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46 in the “Relation with Society and Community” section, and 25 in the “Relation with Nature” section, which is the content system for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detail, Aesop’s Fables could be linked to 19 content systems of question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from Aesop's fables, I was able to extract 192 fables to be careful about in terms of “sincerity”, “consideration”, “justice”, “responsibility”, which are the core values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exual ethics”. And, moral questions for each fable were proposed for an approach to the formality of moral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Finally, I was able to select ‘Wolf and Dog’ fable and present some examples of using them as a formal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Conclusions Aesop's Fables, which has been used as a moral story resource for a long tim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a story material for the revised 2022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s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approaches to moral development forms. However, caution should be taken regarding non-moral elements, and further detailed discussions on specific utilization strategies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