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택영의 한시를 통해 본 망명 전후 의식세계의 변모

        곽미선 열상고전연구회 2009 열상고전연구 Vol.29 No.-

        본고는 창강 김택영의 한시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이다. 김택영은 망명을 전후로 내면세계의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다. 김택영이 망명 이전에 지은 한시에서 진취적이고 幽興적인 생활의지를 보여주었다면, 망명 이후에 지은 시에서는 애원의 정조를 부각시키면서 우국충정과 망국의 한을 표출하였다. 고려의 遺民으로 살아가려던 김택영의 의식은 망명을 계기로 조선의 유민의식으로 승화되었다. 망명지에서 김택영은 조선의 遺民으로 생활하면서 조국광복에 대한 열망이 보다 강해졌으며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문장보국의식을 실천에 옮겨 주목된다. 김택영은 중국으로 망명한 후 중국 지식인들과 교유하면서 그들의 사상에 감화를 받아 근대계몽을 지향하는 의식이 싹트게 되었다. 이를테면 중국의 새로운 학풍을 높이 평가하거나, 신해혁명을 찬성하면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부단히 발전 변화하는 개방된 의식을 드러낸 점을 꼽을 수 있다. 여러 가지 역사적 사건을 경험하면서 김택영의 의식은 많은 변모를 가져왔는데, 우리는 이 변모과정을 김택영 사상의 발전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 김택영이 보여준 의식세계의 변모는 근대계몽기 지식인들이 지닌 사유와 문학의 특징적 면모를 이해하는 데 밑거름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look over poetry of Changgang KimTaekyoung. He had an internal change and improvement during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The poetry in his early period shows progressive and pleasure characteristic, while the poetry during his second period shows his intense patriotism and lamentation over the national ruin with pleading sentiment. His decision to spend his life as a migrant of Goryeo dynasty changed into the consciousness as a migrant of Joshon dynasty. In China, as a migrant of Joshon dynasty, he got stronger passion for the independence and put literal patriotism into practice to overcome his irresistible yearning for Joshon. After he came to China as an exile, he made friends with Chinese intellectuals and became eager for modern enlightenment. For example, he valued Chinese new academic atmosphere and supported Chinese revolution. In conclusion, he got open consciousness in accordance with the dynamic period. By experiencing many historical events, his consciousness had changed a lot and we need to consider this process as his ideological improvement. The transformation which Changgang showed can be a basic step to understand the thinking and literature of intellectuals who lived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 KCI등재후보

        허균의 <東征賦> 연구-정철의 <관동별곡>과 김창협의 <동정부>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곽미선 열상고전연구회 2008 열상고전연구 Vol.27 No.-

        This article considers the relevance of three works such as Heo-Gyun's "Dongjungbu", Jung-Chul's "Gwandongbyulgok" and Kim,ChangHyup's "Dongjungbu(東征賦)". Sabu and Kasa have similarity on the rhetoric using, there are amplification, contraposition and quotation of classics. Because Jung-Chul's Kasa and Heo-Gyun, Kim,Chang-hyup's Bu handle the same subject―Geumgangsan tour, comparison of the three works is possible. Heo-Gyun acquired Jung-Chul's "Gwandongbyulgok" form his friends Gwon-Pil and Lee,An-nul. Heo-Gyun's "Dongjungbu" is similar to Jung-Chul's "Gwandongbyulgok" in style. It appears on expression of one's fun, will of natural affinity and the way of showing the subject. Heo-Gyun's "Dongjungbu" was collected in "Wayurok" and it became a trip indicator book to the writers who went to Geumgangsan. Kim,Chang-hyup felt deep sympathy in Heo-Gyun's "Dongjungbu" when he was 21 years old and made a composition in the same title. This work did the role of references to write a book of travel experience. 이 논문은 허균의 금강산 기행체험을 형상화한 <동정부>를 중심으로 정철의 <관동별곡>, 김창협의 <동정부> 등 세 작품의 관련성을 고찰한 글이다. 辭賦와 歌辭는 수사적인 운용면에서 유사성을 지니는데 敷衍性, 對偶, 그리고 用事를 들 수 있다. 논문의 연구대상으로 설정한 정철의 가사작품과 허균, 김창협의 賦작품은 양식상의 차이를 뛰어넘어 금강산 유람이라는 동일한 주제를 다루고 있기에 비교고찰이 가능한 작품이다. 허균은 친구인 권필과 이안눌을 통하여 당파를 서로 달리 했던 정철의 <관동별곡>을 입수할 수 있었다. 허균의 <동정부>는 정철의 <관동별곡>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주관적 감흥의 표출, 자연친화의 의지, 주제를 드러내는 방식 면에서 구체화되어 드러난다. 허균의 <동정부>는 賦라는 문체적 특성을 잘 살리면서 遊山의 흥취를 장편의 편폭 속에 담아 잘 드러나게 하고 있는데,『와유록』에 수록되어 훗날 금강산여행을 떠나는 문인들에게 여행지침서로 되었다. 김창협은 21세의 나이에 금강산으로 떠날 때,『와유록』을 가지고 올라『와유록』에 수록된 허균의 <동정부>에 깊은 공감을 느끼고, 허균과 같은 제목으로 <동정부>를 지었는데, 이 작품은 김창협에게 기행체험을 적기 위한 참고문헌의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김택영과 중국 문인의 교유

        곽미선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3 No.-

        김택영은 근대 중국 지식인 가운데 중국의 학술계, 문화계 名士들과 교유를 하면서 다양한 형식을 통하여 중한 양국의 문학에 대해 담론하였으며 천애지기의 우정을 쌓아갔다. 이 글에서는 김택영과 중국 문인의 문집에 수록된 기록을 살펴본 기초 상에서 김택영과 중국 문인의 교류양상을 전체적으로 조망해보았다. 김택영과 중국 문인 교류의 양상은 크게 보아 세가지 경향을 지니면서 전개되었다. 시문수창과 교유시를 통한 천애지기로서의 교류, 필담과 서신을 통한 양국 학계의 동향 의논, 서발문과 기문을 통한 문학적 소통이다. 김택영은 중국에서 22년간 망명생활을 하면서 중국의 지식인과 친분을 쌓았고 다양한 형식을 통하여 교유를 이어갔다. 김택영과 중국 지식인들은 유교문화에 기반한 문화적 동질성을 지니고 적극적으로 교유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중국문인의 입장에서 자국중심주의와 중화주의 시각으로 문화적 우월성, 주도성을 중국에 두고 한중 지식인의 교류를 바라본 것과 달리 김택영과 중국 지식인의 교류를 뒷받침할 수 있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상호인식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김택영의 국제교류활동은 개인 차원의 활동에 머물지 않고 시대의 요구를 반영한 결과로서 문화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김택영이 중국 지식인들의 도움으로 남통 한묵림인서국에서 편찬한 서적들은 통감부와 총독부의 검열이 없는 중국에 있었기에 자유롭게 해낼 수 있었으며, 김택영이 출판한 서적들은 민족 문화의 명맥을 유지할 소중한 불씨가 되어 조선 학계에 참신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김택영이 남긴 글과 중국 문인의 기록을 조명해 볼 때 이들의 교유는 매우 이채로우면서도 20세기 한중 문화교류사에서 특기할 만한 양상을 보여준다. When Jin Zerong exiled in China, he met and made friends with a lot of Chinese cultural celebrities through various channels. The deep international friendship was established among them. This paper takes the materials recorded by Jin Zerong and Chinese literati as the research object, and discusses the ways of communication between literati of two countries. They were congenial. They associated with each other by poetry communications and friends poem, written discussion and letters, prefaces and postscripts. During Jin Zerong’s stay in Nantong, he found there were a lot of similarities between them in Confucian cultural factors, and they attracted each other. Jin Zerong’s work published in Nantong, not only played a positive role in preserving our country’s culture, but also provided the new information for Korea’s academic community. Jin Zerong’s contacts with Chinese Literati is a memorable chapter in the history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 KCI등재

        중고령자 특성에 따른 희망 일자리 분석 연구

        곽미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0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vious jobs accumulated by middle and high-aged people before retirement,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job characteristics they hope to have, focusing on individuals, not businesses or society. To this end, 804 people who responded to aging panel data from 1st to 6th were in the state of work-seeker status after losing their jobs or with non-economical people were used as final targets for the study with the sequential analysis method. The study found that first, middle-aged people prefer jobs and employment patterns similar to those of previous major jobs. Second, in the case of men, the proportion of men who were generally trying to move to related jobs linked to former ones was higher, and in the case of women, the range of desired positions was wider than that of men. Third, the pattern of desired job movements appeared different depending on age. The 45-54 age group wanted to move to different job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while those aged 55-64 and 65-74 had a high pattern of experts moving to business positions, which was recently confirmed to have expanded their participation in self-employment after retirement. 이 연구는 중고령자가 퇴직 이전 축적해놓은 이전 일자리의 특성을 바탕으로 기업, 사회 등 수요자 입장이 아닌 개개인에게 초점을 두고 이들이 희망하는 일자리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령화패널(KLoSA) 데이터 중 이전 패널조사 시 경제활동인구였으나 다음 조사 시 실직 후 구직 상태에 있거나 비경제활동인구로 응답한 804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활용하여 순차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고령자는 이전 주요 일자리의 특성과 유사한 직종 및 고용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남성의 경우 대체적으로 이전 일자리 직종과 연계된 유관 직종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희망하는 일자리의 이동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라 희망 일자리 이동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다. 45~54세 세대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다양한 직종으로 이동하고자 하였으며, 55~64세, 65~74세 연령층에서는 전문가 집단이 판매종사자로 이동하는 패턴이 높게 나타나 퇴직 후 자영업 참여가 확대되는 최근 현황과 결을 같이 하는 결과로 확인되었다.

      • D-Amino Acid Aminotransferase 활성보유 고온성미생물의 탐색 및 분류학적 특성 연구

        곽미선,이승구,정상철,서승현,이재흥,전영중,김영호,성문희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1999 藥學論文集 Vol.15 No.-

        To acquire an industrially useful biocatalyst for the enzymatic synthesis and production of various D-amino acids, 1,300 thermophiles isolated from the soil of Korea were analyzed for D-amino acid aminotransferase (D-AAT) activity. The enzyme activity was found from 110 strains of isolated thermophiles revealing its wide occurrence in thermophiles. Enzyme activity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D-AAT producers were compared. Finally we have selected four thermophiles as producers of potent biocatalysts for the D-amino acid production; two therrnophiles, Bacillus sp. LK-I and LK-2, having higher specific activity and two thermophiles, B. stearothermophilus KL-01 and Bacillus sp. KLS-0l, having higher thermal stability than the D-AAT producers. Taxonomic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 isolated thermophiles were described herein.

      • KCI등재

        성인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동기와 성과 관련 변인 간의 메타분석

        곽미선,방윤희,김미정,이주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동기와 성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성인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동기를 주제로 한 45건의 연구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 참여동기는 Houle이 제시한 목표지향, 학습지향, 활동지향의 3가지 유형을 활용하였으며, 관련 성과로는 강사, 교육내용, 교육환경/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포함된 학습성과와 가정생활, 사회적(여가), 신체정서, 인지적 변화와 자아성장, 삶의 만족이 포함된 삶의 질 성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성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는 중간 정도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습 참여동기 유형별 학습성과 및 삶의 질 성과 변인의 관계에서는 학습지향, 활동지향, 목표지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습지향, 활동지향은 중간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목표지향은 중간보다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습 참여동기 유형별 학습성과로 인식된 변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학습자가 학습에 참여하는 동기는 학령기 학생들처럼 획일적이지 않다. 따라서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내용과 목표, 교육방법, 강사, 시설 등을 고려하여 운영의 목적을 달리한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related variable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o do this, we conducted a meta-analysis based on 45 studies o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learning for adult learner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learning was three types of goal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activity orientation proposed by Houle. The related performance was learning achievement including satisfaction with instructor,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environment/facilities, Social, leisure,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self - growth,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related variables is moderate.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and the variables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type, learning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goal orientation were higher in order. Learning orientation, and activity orientation were found to have a medium level of correlation, but the goal orientation was confirmed to be lower than the middle level.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perceived as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The motivation for adult learners to participate in learning is not uniform as school-age students. Therefore, various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 different purpose of operation considering the content and goals of lifelong learning program, education method, lecturer, facilities.

      • KCI등재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교육훈련, 자격 및 직무경력의 관계

        곽미선,나승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9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evelopment level of expertise, education and training, qualifications and work experience for software developer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in four points. First, the expertise development level of software developers was highly influenced by analysis and design, project management, implementation, and testing, with an average of 3.0. Second, although software developers' expertise development ranks were most prominently divided into five classes, the developers of the highest class were extremely rare. Third, the newly measured variables in the level of expertise development, education and training, qualifications, and job career were highly affected by project performance, job experience, school education, and qualifications in that order.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years of employment and the final education level in the standard variables of the unit price of labor varied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method.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only the final educ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determined by the developer's professional development grade, although the variables that could determine the development level of the developer's professionalism were the qualifications for project performance and job experience. 이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전문성 발달수준을 측정하고 교육훈련, 자격 및 직무경력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모집단은 소프트웨어 개발자이며, 유의표집으로 선정된 20개 기업에서 회수된 총 526부를 가지고, 통계는 군집분석, 회귀분석 및 판별분석이 적용되었다. 첫째 결론은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전문성 발달 수준은 ‘보통’ 수준(평균 3.0)이고, 분석 및 설계, 프로젝트 관리, 구현, 테스팅 직무능력 순으로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 둘째,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전문성 발달 등급은 5개로 구분될 수 있으나 최고 등급에 속한 개발자는 소수로 확인되어 전문성 수준은 더 발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전문성 발달 수준과 교육훈련, 자격 및 직무경력의 관계에서 프로젝트 수행 자격, 직무경력, 학교교육, 자격증 소지 자격 순으로 높게 영향을 미쳤다. 이는 전문성 발달에 현장 기반의 다양한 경험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넷째, 개발자의 전문성 발달 등급을 판별하는 변인으로 다차원적으로 측정된 교육훈련, 자격 및 직무경력 변인에서는 프로젝트 수행자격과 직무경력으로 확인되었고, 기술자의 노임단가 활용 변인에서는 최종 학력만이 판별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 진로적응반응도구(K-SCCI) 타당화 연구

        곽미선,홍은선,정지은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K-SCCI) developed by Savickas, Porfeli, Hilton and Savickas(2018)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 adapt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were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4-factor model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1) crystallizing a vocational self-concept, 2) exploring to gather information about occupations, 3) deciding to commit to an occupational choice, 4) preparing to implement that choice.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17 items(after reviewing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e item which was divided into ‘preparing’ not ‘deciding’ was deleted). As a result of the main survey, construct validity has been verified b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has been verifi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CMI(Career Maturity Inventory), CAAS(Career Adapt-Ability Scale), and VISA(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 While Korean students had a high proportion of ‘deciding’, American students had a high proportion of ‘crystallizing’ in career adapting.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areer development processe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ome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본 연구는 Savickas, Porfeli, Hilton과 Savickas(2018)가 개발한 학생진로구성도구(SCCI)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하고, 우리나라 대학생의 진로적응반응 특성을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기존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한 후, 국내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2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결과, 원 도구의 요인구조에 따라 ‘직업적 자아 개념을 명료화하기’ ‘직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탐색하기’, ‘직업 선택에 전념하기로 결정하기’, ‘직업 선택을 실행하기 위한 준비하기’의 4가지 요인으로 구조화되었다. 다만, ‘결정하기’ 구인 중 1개 문항이 ‘준비하기’로 구분되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재검토한 후, 이를 삭제한 17개 문항의 4개 요인 모형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결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활용한 구성타당화가 검증되었으며, 진로성숙도, 진로적응력, 진로정체감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준거타당화도 검증되었다. 이와 함께 진로적응반응을 설명하는데 있어 미국 대학생들은 ‘명료화하기’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한국 대학생들은 ‘결정하기’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 점 등 국가별 진로개발과정의 문화적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내 기업에서의 OJT 특성요인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곽미선,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OJT factors using the meta-analysi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2 master’s thesis,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and 31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is study sets the following questions to be answered. First, how large is the grand mean effect size of independent variable, the effects of primary factors of on-the-job training. Second, how large are the mean effect sizes of each factors of the effects of primary factors of on-the-job training ab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inally, how large is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any size and education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and mean effect siz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effects of primary factors of on-the-job training turned out to be .563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big effect size) and .343 on job satisfaction (the average effect size); second, OJT support and training environment are big effect siz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ability of mentor, OJT plan and OJT support are big effect size on job satisfaction; third, analyzing to the moderate effect, the effects of primary factors of on-the-job training are relative positively to job satisfaction when the company is a big company. And the education level has low nega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이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OJT 특성변인인 훈련환경, 업무특성, 학습자의 학습동기, 지도선배의 능력, OJT 설계, OJT 지원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문제는 첫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효과크기 구명, 둘째, OJT 특성요인에 따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효과크기 구명, 셋째, OJT 특성요인과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기업규모, 학습자 학력의 조절효과 크기 구명에 있다. 이를 토대로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JT 특성요인은 조직몰입에 .563의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에는 .343의 중간정도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에 대해서는 OJT 지원과 훈련환경이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업무특성, 지도선배의 능력, OJT 설계, OJT 지원이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셋째, 기업 규모의 조절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대기업의 경우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 학력이 높아질수록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불확실성, 자기개념명확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통찰력 간의 구조적 관계

        곽미선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uncertain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concept clarity and career insight for university students.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university. A total of 211 out of 23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fter a data clean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by the AMOS version 21.0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causal relationships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uncertain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concept clarity and career insight of university students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career insigh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in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career uncertain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career uncertainty has indirect significant effect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career insigh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utu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change rapidly and it will be difficult to predict, so students' career uncertainty will increase. However, if a self-understanding stage that establishes their own conceptual definition of self is preceded, career uncertainty will be reduced. In addition, even if you are anxious about the uncertain future of career, if you have the insight that you can see the course right away and the efficacy that you can do, you will be able to carry out the final stage of career preparation act successfu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way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uncertainty of university students.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중 진로불확실성, 자기개념 명확성, 진로통찰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구조적인 관계를 설정한 후 이들의 선행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총 238부가 배부되어 211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인과모형을 구명하기 위해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적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의 진로불확실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통찰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간접적인 매개효과가 확인되었고, 자기개념명확성과 진로통찰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불확실성의 매개효과도 구명되었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는 지금보다 더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예측이 어려워 학생들의 진로불확실성은 높아지겠지만 자신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정의해나가는 자기이해 단계가 선행된다면 개개인이 느낄 진로불확실성은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진로에 대한 불확실한 미래로 불안감을 느끼더라도 진로를 바로 볼 줄 아는 통찰력과 할 수 있다는 효능감이 있다면 구직 전 마지막 단계인 진로준비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불확실성의 관계를 제고시키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