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거시환경요인과 복합제품시스템의 기술진화: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곽기호,김원준,김민기,조창연,Kwak, Kiho,Kim, Wonjoon,Kim, Minki,Cho, Chang Yeon 기술경영경제학회 2017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5 No.2

        복합제품시스템이란 고도의 엔지니어링과 설계 기술이 집약되어 있는 복잡한 시스템 형태의 제품으로 국가 경제 발전 및 에너지, 교통, 통신 등 사회 인프라 구축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합제품시스템의 기술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주체의 기술진보 노력을 넘어서 복합제품시스템을 둘러싼 거시환경요인이 기술진화에 미친 영향을 복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 플랜트 사례를 중심으로 복합제품시스템 기술진화에 대한 정책, 경제, 그리고 사회적 요인의 영향을 종단적으로 서술하였다. 인터뷰에 기반한 1차 자료와 다양한 참고 문헌에 기반한 2차 자료를 복합적으로 활용한 결과, 원전 기술의 진화는 "원자력의 평화적 활용을 위한 응용연구"(1950년대~1960년대), "원자력 발전 시장 확산 - 1차 르네상스"(1970년대), "원자력 발전 안전성 제고와 후발국의 추격"(1980년대~2000년대 후반), 그리고 "원자력 발전 시장 2차 르네상스를 위한 안전성의 최우선화와 차세대 원자로 기술 개발"(2010년대 후반~현재)의 4단계에 걸쳐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단계별 기술진화에 있어 각국의 에너지 정책과 원자력 발전 연구개발 투자와 같은 정책적 요인, 경기 사이클에 의한 전력 수요의 변화, 전력원 간 경쟁과 같은 경제적 요인, 그리고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 등의 사회적 요인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본 사례 연구는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복합제품시스템의 기술진화를 고찰할 수 있는 이론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복합제품시스템을 육성하고자 하는 국가들은 기술개발 투자와 노력뿐 아니라 정책과 경제, 사회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를 기술진화에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Complex product systems (CoPs) is a engineering-intensive products with high-ended design technology, which are closely linked with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social infrastructures. According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CoP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macro-environmental drivers surrounding the CoPs and their impact on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the CoPS. Therefore,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icy, economic and social drivers on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CoPS by implementing the longitudinal case study on nuclear power plant during the periods between 1950 and 2010s.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sources of secondary data and primary data through interviews, we found that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nuclear power plant is progressed as "Phase 1: Application research for peaceful utilization of nuclear energy" between 1950s and 1960s, "Phase 2: The first renaissance of nuclear energy" during 1970s, "Phase 3: Enhancement of safety and the catch-up of latecomers in nuclear energy" between 1990s and 2000s, and "Phase 4: Top prioritization of safety and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reactors for the second renaissance of nuclear energy" since 2010s. We also found that various kinds of policy, economic and social drivers, such as energy policy, investment in technology development, economic growth and energy demand, social acceptability and environmental concern, have affected the technology evolution of nuclear power plant at each phase. We emphasize the role of macroenvironmental drivers in the technological evolution of CoPS. We also suggest that countries that endeavor to develop CoPs need to utilize those driver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and sustaining leadership.

      • 기술현황분석 - 기계산업 R&D 스톡 국제 비교와 시사점

        곽기호,김재윤,Gwak, Gi-Ho,Kim, Jae-Yun 재료연구소 2011 機械와 材料 Vol.23 No.3

        R&D 투자 스톡은 요소 투입 주도의 산업 경제 성장에서 총요소생산성 증가에 의한 기술혁신 주도의 성장으로 전환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로, 그간 학계에서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국내 최초로 기계산업의 R&D 투자 스톡을 주요국과 비교 분석하고, R&D 투자 스톡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계산업의 R&D 투자 스톡은 2008년 현재 약 44.6억 달러로 추계되어 기계산업 수출 상위 10대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미국, 독일, 일본 등 기계산업 세계 수출 시장 상위 3개국과의 R&D 투자 스톡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산업의 R&D 투자 스톡을 증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계분야의 국가 R&D 사업 확대와 함께, 보유 기술 및 특허의 활용 촉진 지원 R&D 시차를 단축하기 위한 시제품 테스트 베드 구축 및 관련 제도 개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기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곽기호,박주형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산업연관표와 기계산업의 생산액 통계를 연계하여, 한국 기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산업연관표 상의 기본부문 중 기계산업에 해당하는 60개의 기본부문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결과, 기계산업의 국가 경제에 대한 생산유발효과는 약 565조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약 183조원, 고용유발효과는 약 285만 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중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상위 16개 기본부문을 도출하여 해당 기본부문별 생산유발계수 및 부가가치유발계수 크기를 분석하고 각 기판부문별 현황 파악과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계산업 기본부문 간 전후방연쇄효과 분석을 통해 각 연쇄효과가 큰 기본부문을 파악하고 기본부문의 전략적 육성을 통한 기계산업 발전을 모색하였다. We analyze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s of the Korean machinery industry on Korea economy through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s,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quantity of production inducement, quantity of value added inducement from Input-Output Analysis of Korean economy by BOK (Bank of Korea) and production statistics by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here are 60 basic sectors in the Korean machinery industry. And 16 of them have relatively huge economic spill over effects. We group the high-ranked basic sector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2 economic inducement coefficients. Similarly, we report forward and backward economic linkage effects, which derive 10 high-ranked basic sectors, respo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customized strategies and policies for each basic sector. This paper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conomic role of the machinery industry in the Korea economy, and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R&D programs.

      • KCI등재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성과: 기술 역량과 실증 역량 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곽기호,김경민 한국혁신학회 2023 한국혁신학회지 Vol.18 No.1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Korea have experienced declining commercialization success rates, despite the substantial R&D investment as input. Regarding the challenge, scholars and policymakers have started to devote attention to the role of demonstration that links R&D and commercialization in the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Based on the phenomena and discourse, we aim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Es’ technological capabilities, demonstration capabilities, and thei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with the pooled data of 「Survey on Technology of SMEs」 2018-2020. Specifically, we conceptualize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s technological novelty and patent grants and demonstration capabilities as the ability to conduct prototype evaluation and test internally, respectively. And then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chnological and demonstration capabilities positively relates to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We also observed that the findings are more significant for the technological novelty of ‘Korea-first’ and Mid-High Tech. and High Tech. sectors in the domestic market. We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that demonstration capabi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ME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We also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chnological and demonstration capabilities is not sufficient for the performance under the circumstances characterized as the novelty of ‘World-first’ and overseas market and correspondingly, propose relevant marketing activities for the market. 중소기업은 자체 투자뿐 아니라 상당한 수준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에도 불구하고 사업화 성공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관련하여 최근 연구개발과 기술사업화를 연결하는 다리로서 실증 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8년~2020년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에 기반하여 중소기업의 기술 역량과 실증 역량, 그리고 기술사업화(기술개발에 따른 매출 및 수출) 성과 간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술 역량을 기술적 성능의 우수성을 의미하는 기술 신규성과 사업화 관련 법적 우수성을 의미하는 특허 등록으로 나누고 실증 역량은 상용화 촉진을 위한 시제품 신뢰성 테스트, 성능 평가・개선 및 스케일 업 관련 실험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역량으로 상정하였다. 연구결과 실증 역량은 기술 역량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사업화 성과와 긍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관계는 ‘국내 최초 기술’ 기반 국내시장 개발 기술사업화(기술사업화 매출 성과)인 경우와 혁신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중고 및 고기술 산업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반면 기술사업화 수출 성과의 경우, 기술 역량과 실증 역량 간 상호작용 효과가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실증 역량을 개념화하고, 기술 역량과 실증 역량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에 중요함을 확인함으로써 기술사업화 과정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또한 해외 시장 진출의 경우, 실증 역량을 넘어 마케팅 활동 등 별도의 시장 개발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