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2019년 국내 과수 화상병 발생

        함현희(Hyeonheui Ham),이영기(Young-Kee Lee),공현기(Hyun Gi Kong),홍성준(Seong Jun Hong),이경재(Kyong Jae Lee),오가람(Ga-Ram Oh),이미현(Mi-Hyun Lee),이용환(Yong Hwan Lee) 한국식물병리학회 2020 식물병연구 Vol.26 No.4

        과수 화상병을 일으키는 Erwinia amylovora는 국내에서 금지병원균으로 지정되어 화상병 발생 시, 중앙 정부의 진단을 근거로 기주를 매몰하는 공적 방제가 실시되고 있다. 국내 과수 화상병은 2015년 안성, 천안 및 제천의 43농가에서 발생하여 42.9 ha를 매몰한 것을 시작으로, 2019년 발생 지역이 11개 시군으로확산되었으며, 총 348농가 260.4 ha가 매몰되었다. 배나무 화상병은 주로 경기남부와 충남에서 발생되었고, 발생 건수가 연평균 29±9.2건으로 매년 비교적 고르게 발생되었으며 20-30년생 과수에서 발병 비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사과나무 화상병은 주로 경기북부, 강원, 충북에서 발생되었고, 발생 건수가 연평균 41±57.6건으로 2018‒2019년 발생건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20년 이하의 과수의 발병 비율이 높았다. 국내 과수 화상병은 어린 사과나무에서 병의 확산이 빠르므로, 특히 미성숙과수가 식재된 과원에서는 화상병이 발병하지 않도록 약제를적기에 살포하는 등 예방을 철저히 하고, 발병 시 신속히 방제해야 한다. Erwinia amylovora, a causal bacterium of fire blight disease, is registered as a prohibited quarantine pathogen in Korea. To control the disease, the government should diagnose the disease, dig and bury the host trees when fire blight occurs. Fire blight was the first reported in 43 orchards of Anseong, Cheonan, and Jecheon in 2015, and 42.9 ha of host trees were eradicated. However, the disease spread to eleven cities, so that 348 orchards and 260.4 ha of host trees were eradicated until 2019. Fire blight of Asian pear occurred mainly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 and Chungnam province, on average of 29±9.2 orchards per year. And the age of the infected trees were mostly 20–30 years old. In apple trees, the disease occurred mainly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Gangwon, and Chungbuk province, on average of 41±57.6 orchards per year, increased highly in 2018 and 2019. The age of infected apple trees were under 20 years old. Therefore, because the disease spread rapidly in young apple trees, spraying control agents to the trees in a timely manner and removing infected trees quickly are important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light in the orchard of immature trees.

      • KCI등재SCOPUS

        한국식물병명목록 6.1판(2023 개정본)

        김선희,최재혁,최영준,박병용,이수헌,김경희,공현기,김동근,김순옥,김영호,백창기,변희성,서장균,유준명,윤주연,이동현,이승열,임승모,전용호,전재용,최인수,최인영,최효원,홍진성,홍승범,Seon-Hee Kim,Jaehyuk Choi,Young-Joon Choi,Byeong-Yong Park,Su-Heon Lee,Gyoung Hee Kim,Hyun Gi Kong,D 한국식물병리학회 2023 식물병연구 Vol.29 No.4

        한국식물병명목록 6판이 2022년 4월에 발행된 이후에 1년이 경과하였다. 목록 6판에서 발견된 오류사항을 수정하고 6판 이후에 보고된 병을 추가하여 한국식물병명목록 6.1판(2023)을 작성하였다. 기존 6판의 수정사항은 397건으로 대부분은 단순 오탈자나 경미한 사항이었으나, 12개의 병은 중복이나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삭제하였고, 2개의 병은 병명을 바꾸었다. 2021년 이전에 보고되었으나 6판에 수록되지 않았거나, 6판 발행 이후에 보고된 158개의 병을 추가하였다. 결국 목록 6.1판에는 6판에 보고된 병 6,534개에 146개 병이 추가되어 총 6,680개의 병이 수록되었다. 기주 분류군도 30개가 더해져 목록 6판의 1,390개에서 6.1판에는 1,420개가 되었다. 병원체는 목록 6판의 2,400개에서 62개가 더해져 6.1판에는 2,462 분류군이 되었다. 결국 한국식물병명목록 6.1판(2023)은 1,420개의 기주에, 2,462 분류군의 병원체가 일으키는 6,680개의 병을 수록하고 있다. 목록 6.1판은 책으로 인쇄되지는 않고 온라인 한국식물병명목록(https://genebank.rda.go.kr/kplantdisease.do)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More than a year has passed after the 6th edition of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LPDK)' was published in April 2022. The 6.1st edition (2023) of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was made by correcting errors found in the 6th edition of list and adding new diseases reported after the 6th edition. There were 397 corrections from the 6th edition, most of which were simple spelling errors or minor issues. However, 12 diseases were deleted due to duplication or unclear literature proof, and 2 diseases had their diseases' common names changed. We added 158 diseases that were reported before 2021 but not included in the 6th edition, or reported after the 6th edition. After all, 146 diseases were added to the 6,534 diseases in the 6th edition, resulting in a total of 6,680 diseases in the 6.1st edition. Thirty host taxa were also added, increasing the number from 1,390 in the 6th edition to 1,420 in the 6.1st edition. Pathogens were also added to 62 taxa, from 2,400 in the 6th edition, bringing the total to 2,462 taxa in the 6.1st edition. Ultimately, the 6.1st edition (2023) of 'The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contains 6,680 diseases caused by pathogens of 2,462 taxa on 1,420 hosts. The 6.1st edition is not printed as a book, but is provided through the online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https://genebank. rda.go.kr/kplantdisease.do).

      • SCIEKCI등재SCOPUS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of Erwinia amylovora and Erwinia pyrifoliae with a Single Primer Set

        함현희(Hyeonheui Ham),Kyongnim Kim,양수인(Suin Yang),공현기(Hyun Gi Kong),이미현(Mi-Hyun Lee),Yong Ju Jin,박동석(Dong Suk Park) 한국식물병리학회 2022 Plant Pathology Journal Vol.38 No.3

        Erwinia amylovora and Erwinia pyrifoliae cause fire blight and black-shoot blight, respectively, in apples and pears. E. pyrifoliae is less pathogenic and has a narrower host range than that of E. amylovora. Fire blight and black-shoot blight exhibit similar symptoms,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one bacterial disease from the other. Molecular tools that differentiate fire blight from black-shoot blight could guide in the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to control both diseases. In this study, a primer set was developed to detect and distinguish E. amylovora from E. pyrifoliae by 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primers produced amplicons of different sizes that were specific to each bacterial species. PCR products from E. amylovora and E. pyrifoliae cells at concentrations of 104 cfu/ml and 107 cfu/ml, respectively, were amplified, which demonstrated sufficient primer detection sensitivity. This primer set provides a simple molecular tool to distinguish between two types of bacterial diseases with similar symptoms.

      • KCI등재

        2019년 국내 사과와 배 화상병 대발생과 그 특징

        함현희(Hyeonheui Ham),이경재(Kyong Jae Lee),홍성준(Seong Jun Hong),공현기(Hyun Gi Kong),이미현(Mi-Hyun Lee),김현란(Hyun-Ran Kim),이용환(Yong Hwan Lee) 한국식물병리학회 2020 식물병연구 Vol.26 No.4

        2019년 국내의 사과와 배에 화상병이 크게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상병 발생한 30개 과원을 대상으로 각각의 발생 상황과 농가 면담을 통해 경종적 특징 등을 조사하였다. 화상병은 이미 감염된 지 2년 이상 오래 된 과원에서 대부분 발생하였는데, 이런 원인은 (1) 농가가 병 증상을 정확히 알지 못하여 농작업과 방화곤충 등을 통해 과원 내에서 퍼지게 되고, (2) 방화곤충이나 농작업자 등에 의해 처음 발생 과원에서 주변과수원으로 확산되었고, (3) 동일 경작자 또는 공동 농작업자에 의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확산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4) 이런 일련의 과정이 새롭게 확산된 지역에서 반복되다가 농가들이 화상병을 알게 되면서 신고가 증가한 것이 2019년 화상병 대발생의 일련의 원인이라고 추정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 화상병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기진단을 위한 철저한 농업인 교육과 무병징 식물체에서도 화상병균 진단이 가능한 정량적 검출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큰 열매를 주로 생산하는국내 재배법에 적합한 약제방제 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화상병방제에서 가장 중요한 가지의 궤양 증상, 묘목, 양봉장 등의 전염원 관리를 위해서 과원별 병원균의 분자역학연구를 통해 정확한 확산경로를 구명할 것을 제안한다.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fire blight outbreak in apples and pears of Korea in 2019, we investigated disease appearing situation of thirty fire blight infected orchards, and interviewed farmers to determine the cultivation characteristics. Fire blight occurred mostly in orchards that had infected more than 2 years before. The cause of this were as follows: farmers did not know the symptoms of the disease properly. It is presumed that it has spread from the first occurrence to the surrounding orchards by flower-visiting insects or farmers and to a short distance or a long distance by the same cultivator or co-farmer. These series of processes repeated in the newly spreading area, and then disease reports increased as farmers became aware of fire blight. To minimize the spread of fire blight in Korea, it suggested that thorough education of farmers for early diagnosis and quantitative detection technology that can diagnose even in no symptom showing plants. And chemical or biological spraying systems suitable for domestic cultivation methods, which are producing large fruits, and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ies of pathog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