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학교도서관의 지역개방현황과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공순구,박지훈,신한솔,Kong, Soon-Ku,Park, Ji-Hun,Shin, Han-Sol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지역사회에 개방하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개방과 배치유형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로서 학교내 설치되어 있는 학교도서관을 여러 가지 대안으로 개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접근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시민의 정보접근환경을 개선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본의 경우 1953년에 학교도서관법의 단일법령을 세계 최초로 제정하였을 정도로 학교교육에서 차지하는 도서관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힘입어 학교도서관의 설치율이 100%에 이르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이런 도서관이 지역에 개방되어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을 증진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체 소 중 고교 중 11.6%에 달하는 학교도서관이 주민에게 개방되었다. 점차 노령화되고 초등학교 시설내의 이용이 저감되는 시점에서 학교교사의 활용방안을 도서관의 확장과 개방화를 통해 이용대안을 모색하고 학교와 지역마다의 특성을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는 여러 대안이 제시된다면 학교도서관 개방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정보화시대에 국민의 평등한 정보접근환경제공과 평생교육의 제공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학교도서관이 지역사회와 적합한 규모와 형태로 설치되기 위한 유형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이 개방되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is a study on types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in japan that are open to public. it aims to increase library access and further improvement of accessible information environment by opening the libraries within schools. In case of Japan, libraries' importance to school education enacted world's first School library act by 1953 and installation rate of school libraries is achieved up to 100%. These libraries opened to its local community is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library usage and now in total of 11.6% of lower, middle, and upper school are already opened to their local community. Considering decreasing usage of facilities in schools, teacher vacant time, expanding libraries, and other various alternative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t will lead to equal access to information environment and lifelong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ways of installing school libraries in appropriate sizes and forms within their local societies. It also propose possible ways to open school libraries to perform their own functions.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공순구,김형석,이승근,Kong, Soon-Ku,Kim, Hyeong-Seok,Lee, Sung-Ge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1 No.4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은 한 사회의 문화와 사회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던 도서관은 현대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게 되었다. 최근 공공도서관 신축 또는 리모델링 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도서관의 유형과 서비스 규모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 도서관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공간운영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과 사례를 검토하고 공간구성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대안이 될 수 있는 공간요소의 재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도서관의 조립과 리모델링 사업계획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특성과 서비스 규모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공간운영 표준모델의 개발을 위해,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둘째, 국내 및 해외의 도서관 건축물 공간구성 사례 수집분석하며, 셋째, 향후 신축할 국내 공공도서관 건축물을 유형별로 정의하여 공간구성에 대한 합리적인 권장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a tremendous impact on culture and communication. Therefore a library that typically serves to collect, arrange and provide information is required to perform more diversified roles to stay abreast with changing modern society. Recent surge in demand for public library construction or remodeling is expected, but we still are in an actual condition that there is no model about the library spatial operation which considers the type and a service size of libr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s for the rational and systematic spatial management of public library in today`s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to make a case study on the state of spatial management,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rearrangement of spatial component as a solution. In this study, for rapid assembly and remodeling business plan of the library can be referred to, we should do following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which has a rational space operations that correspond to the library features and services size. Firstly, analyze the space configuration of our nation's public libraries. Secondly, collect and analyze the libraries' spatial configuration in our nation and at abroad. Thirdly, define the next stretch of public library buildings by their types and develop a reasonable model as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present it.

      • KCI등재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공순구,박지훈,신한솔,Kong, Soon-Ku,Park, Ji-Hun,Shin, Han-Sol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 개방형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교도서관으로 이용하던 시설일부를 개방하여 지역주민에게 공공도서관의 소분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접근성 향상 및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제공에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통해 국민생활의 정보이용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공공도서관의 분관에 속하는 소규모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 거점도서관의 소분관 설치 증가도 의미는 있겠지만 지역주민의 접근이 용이한 학교도서관에 같은 기능을 접목시켜 설치할 경우 도서관 조성시 대지 및 공간확보에 대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도서관 자체의 질적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은 기능과 성격이 공공도서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을 지역개방하여 활용할 경우에 대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한 배치와 규모 그리고 공간구성에 지향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개방형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for a small sized library to expand the fun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utilizing information and public libraries by opening parted facilities to public and naming it a substitut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icher welfare system. In detail, the study discusses progression of the small sized library as well as budgeting and hiring staffs in Committee on Library and Policy. However, there is limitations in terms of capabilities because school library is different from public library target users, space, unit pla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 small sized library as a function to find out type, plan, and space availability and size of ideal open school library.

      • KCI등재

        국립민속박물관 권역별 수장센터의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공순구 ( Kong¸ Soonku ),이원구 ( Lee¸ Wong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박물관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물의 양적, 질적 증대가 이루어졌으며, 관리와 분석에 대한 중요도가 한층 더 높아지게 되었다. 여러 종류의 박물관 중 특히 민속계 박물관은 유물의 수와 종류가 다양하며, 유물 특성상 마을의 공동체와 지역 중심의 문화가 전승되는 것이 특징이다. 국가 발전으로 인한 산업화, 도시와 및 인구의 대규모 이동으로 인하여 민속유물과 민속문화자료에 대한 소실이 크다. 이것은 단순히 민속자료와 유물을 잃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전통과 우리민족의 삶과 지혜를 잃어버리는 것과 같다. 현제 국립민속박물관의 확장을 통하여 규모와 시설이 확대될 수 있겠지만 각 지역에서 발굴되는 민속유물을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유물이 원적지를 떠나 다른 지역의 시설에서 관리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국내에 적합한 인프라의 정립을 위하여 민속계 박물관의 상호협력체계를 제안하고 권역별 국립민속박물관 수장센터의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 최근 5년이내에 건립된 수장보존센터나 수장센터형 박물관 3관과 일본의 박물관 중 수장보존영역이 특화되어 있으며 10년 이내 새롭게 리뉴얼된 박물관 3관을 선정하여 상호협력체계의 필요와 구성, 민속계 박물관 유물의 정의와 분류, 박물관의 수장환경 및 유사사례의 현황 및 시설배치, 프로그램, 면적구성비 동선체계를 통해 공간구성 체계를 도출한다. 각 기관들에서 제공되어지는 연보와 문헌조사를 통해 전반적인 내용 및 도면 수집을 통해 시설의 공간의 구성 및 면적 등을 파악하였으며, 문헌을 통하여 분석이 어려운 세부사항의 경우 현장답사와 담당자와의 서신 및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사례관들의 각 기능별 영역과 공간구성체계 및 면적구성비를 분석한 결과 수장보존영역의 면적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물을 관리하고 수집 및 보존, 연구하는 업무가 중요함에 따라 다른 기능의 영역보다 큰 비율을 차지하고, 과거의 비공개영역이었던 부분을 일부 개방화하여 전시 및 체험, 교육영역에 있어 기능을 더해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례관들의 공통점으로는 수장보존영역의 공간구성이 유물과 관리자의 동선에 적합하게 구성되었으며 대학원이나 연구시설이 설치 되어있는 규모있는 박물관의 경우 수장보존영역 내에 있거나 각 독립된 동으로 인접배치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민속유물 관리와 발전을 위하여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2장 20조, 33조에 근거하여 민속계 박물관 상호협력체계로 국내의 6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권역별 수장센터 설치 제안을 통해 원적지 유물관리를 실현하고 민속 유물의 체계적인 분류를 통해 발전된 유물의 관리 및 보존,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며, 향후 대한민국의 수장센터 및 수장센터형 박물관을 계획 시 중앙관으로부터 지역대표관, 지역분관까지 연결되어지는 협력체계와 수장보존영역이 특화되고 보존과학실의 부분 개방화 및 개방형 수장고를 활용한 계획에 실직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본 연구가 국립민속박물관의 권역별 수장 센터 공간구성체계에 관련된 선행연구의 개념의 거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되어 수장보존영역의 공간구성에 집중되었다. 향후 민속계 박물관에 알맞은 협력체계와 세부적인 유물관리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and type of museum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artifacts have increased, as ha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and analysis. Among the various museums, the folk museum, with a variety, and types of relics, is characterized by the transmission of local culture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relics. The loss of folk relics is large because of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population movement. This loss is akin to losing our country's tradition, the lives, and the wisdom of our ancestors. Currently, the scale of accommodating such relics can be expand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owever, there is a limit to accommodate folk relics excavated from each region; further, they are managed by facilities in other regions. Therefore, to build infrastructure suitable for Korea, we propose a cooperation system for folk museums and a space composition system for the main building of the National Folk Museum, by region. (Method) In Korea, three preservation centers or storage-type museums built within the last five years and three newly built museums within ten years, will be selected to derive a space composition system through cooperation systems,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folk museum relics, museum status, and facilities and programs. The composition and the area of facility space were identified through annual reports and literature surveys by each institution, and detailed matters that are difficult to analyze in the literature were studied through field trips, and communic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person in charge. (Results) Analyzing the area, spatial composition system, and area composition ratio of case halls, remarkably, we found that the preservation area occupies a larger proportion than other functional areas, adding functions to exhibitions and experiences. What the case halls have in common is tha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torage area is suitable for the movement of relics and managers. In the case of large museums with graduate schools and research facilities, these are within the storage area or adjacent to each independent building. (Conclusions) In this study, based on the Museum and Art Museum Promotion Act, six region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cooperation systems for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artifacts through systematic classif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concept of a prior research perspective relat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system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focusing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nservation area.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the cooperative system suitable for the folk museum and detailed relics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의 운영형식 및 소요공간구성 프로그램 분석에 관한 연구

        공순구 ( Soonku Kong ),이영규 ( Youngkyu Lee ),황룽씬 ( Longxin Hu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21세기 사회경제적 흐름이 더욱 가속화되어감에 따라 사회 전반적으로 문화 수준 및 생활이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는 지식정보가 일상생활, 사회활동, 경제발전, 국가경쟁력에 동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모든 구성원이 지식정보 해득력을 구비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지식정보시대에 있어 장애인은 도서관 이용과 정보의 접근 및 취득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제한요소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세계 주요 선진국들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운영형식를 보면 보편적으로 우선 고려해야 할 대상은 장애인으로 인식하고 그중 시각장애인을 주요 이용대상으로 고려하고 별도의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을 설립 및 운영하고 있고 또 그에 따른 시각장애인 시설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는 복지관이나 종교단체에서 점자도서관을 운영하고 있고 또 국가의 예산 지원이나 장애인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상호연계도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시각장애인도서관 시설기준에 관하여서도 국내는 규정하고 있지만 더욱 만족스러운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 (연구방법)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인도서관과 장애인복지나 장애인서비스 정책면에서 앞서 나아가고 있는 국외 선진국들의 시각장애인도서관들을 사례대상으로 지정하고 국외의 실정과 국내의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국내, 외 시각장애인도서관에 대한 방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사서 및 담당자에 대한 이메일 및 인터뷰 등 서면을 통한 조사방법으로 실증적 분석을 진행하였고 연감 및 문헌조사, 웹 조사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국내의 시각장애인도서관 운영형식은 국가주도형인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을 마련하여 국가의 정책과 예산을 수립하고, 주 기능으로 대체자료 제작, 수집, 보존 및 배포로 하고 보조기능으로 대출열람서비스 지원을 수행하여야 한다.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 공간구성에 있어서 단순히 시각장애인 대체자료만 대출하는 업무에서 벗어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문화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해야 할 역할의 필요성이 있다. (결론)본 연구는 국내, 외 시각장애인도서관의 운영형식 및 소요공간구성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국내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운영형식 및 소요공간구성 프로그램에 있어 합리적인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 신설을 계획 시 이러한 소요공간구성 프로그램의 재구성을 통하여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운영형식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반면,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외 기타 지역 시각장애인도서관은 그 지역의 실정에 맞도록 계획되어야 하기에, 연구대상을 선정함에 있어, 범위를 제한함과 해당 시각장애인도서관의 공간구성의 자료 수집에 한계가 있음을 밝히며, 향후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As the social current continues to accelerate, cultural and living standards in society are improving. In these times, information acts as a motivator for daily life, social activities, economic growth,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us, every member of the community should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information. However, those with disability may have difficulty meeting this requirement, as they face many limitations in accessing information, including physical access to information-related facilities. In developed countries, library services are run in accordance with these changes, as they perceive persons with disability (PWDs) as priorities. Particularly, those with visual impairment are a top priority; many countries have initiated special national libraries for the blind, each with certain facility regulations. In Korea, only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religious groups operate braille-enabled libraries, and budge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interconnections between libraries for PWDs and public libraries are weak. Thus, even if there are facility regulations for libraries for the blind, improvements need to be undertaken to provide more satisfying service. (Methods) This study designated domestic visually handicapped libraries and their counterparts in developed countries, which are characterized for their advancement of PWDs` welfare and disability as service policy, as case examples. The actual circumstances abroad and the domestic situation were likewise examine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ases, and then presented measures for improvement. (Results)Domestic operation is represented by the government-run National Library for Disabled Persons, which takes the policy and budget mandated by the government, and which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preparing, collecting, conserving, and distributing materials, while also providing book lending and reading services. There is need for this institution to perform roles of not only lending alternative books for PWDs but also providing various cultural and educational services. (Conclusions)This study is aimed at the examination of the operation system and space composition program of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First, it identifies the domestic status and its problems. Second, it proposes reasonable suggestions. When planning a new construction on the National Library of the Blind, this research may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creating an effective and reasonable operation system, especially the findings on the space composition program. Meanwhile, local libraries should be programmed to fit its own situation. The current work was limited by the data collect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corresponding libraries in selecting the research subjects. Future studies should complement this gap in research.

      • KCI등재

        지역중앙 지방기록물보존관의 공간구성체계 및 공간모형에 관한 연구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공순구 ( Kong Soonku ),권혁진 ( Kwon Hyukj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서 생산된 유의미한 지식과 정보를 지역 내에 전문인력과 기록보존을 위한 시설을 갖춘 ‘지방기록물보존관’을 설립하여 지방기록물 관리 원칙에 따라 자주적으로 생산관리하고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향후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의 기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행정의 책임성과 투명성 강화’, ‘주민 참여 정치 활성화’, ‘지역사회에 유의미한 지식 및 정보 축적’,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개발 능력 강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하며 기록물 관리체계에 따른 지역중앙 지방기록물보존관의 공간 구성체계 및 공간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일본의 공문서관은 기록물관리 인프라 형성이 지방기록관리에서 발현하여 그 역사와 관리체계가 잘 형성되어 있다. 국내 법률상의 분류에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속하는 일본 지방 공문서관을 사례 대상관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립주체에 따라 세부적으로 도도부현 2개, 시정촌 4개를 분석하였다. 각 기관에서 발행하는 연보 및 문헌조사를 통해 시설의 일반현황, 도면수집, 공간구성, 소요공간, 면적구성 등을 분석하였으며 문헌에서 분석하기 어려운 세부 사항은 담당자와의 서신 인터뷰 등의 방법을 통해 실증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사례대상관의 분석을 통하여 위계에 따라 지방기록물보존관의 역할이 구분되며 이에 따라 공간구성체계가 다름을 도출했다. 현립 공문서관과 시립 공문서관은 정립 공문 서관에 비하여 기록보존의 업무가 중요함에 따라 더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정립 공문서관은 현립 공무서관과 시립 공무서관보다 기록물 활용 및 공공서비스에 대한 면적대비 공간 할애가 더 높았다. 특히 공용영역이 정립 공문서관에서는 월등하게 높게 나오는데 이는 공공서비스 제공측면에서 시설의 복합화여부에 따라 면적구성비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형 공문서관의 경우에는 이용자의 방문목적에 따라 시설의 영역을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여도 시설 운영에 차질이 없게 하였다. 서고의 배치 및 운영은 보존하는 기록물의 증가량을 고려하여 저층에는 고문서 및 귀중기록물 서고를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기록물 증가량이 많은 일반기록물 서고를 고층에 배치하였다. 상대적으로 현립 공문서관 대비 공간 및 예산적인 제약사항이 더 많은 시급과 정급 공문서관에서 보존처리 및 인수등록 공간은 결합하여 활용했으며 서고내부공간을 구분하여 기록물의 유형에 따라 관리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앞서 국내의 사례는 서울기록원과 경상남도기록원에 그치며 아직 지방기록물보존관의 상호협력체계가 전무한 시점에서 국내의 기록물관리체계와 지방행정체계가 유사한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했다. 하지만 연구의 시간적 범위에서 사례대상관보다 기록물관리체계가 발전한 시점에서 연구를 진행한 점을 감안하여 다소 거시적인 관점에서 기초적인 단계의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이후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기록물관리체계 및 기록물 전문요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록물보존에 이바지하며 기록자치문화의 정착을 위해 향후 기록물활용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regional archive professional facility by creating a network system that produces, manages, and utilizes regional archive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fundamental role in balancing national development and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n the future. Additionally, transparency in administration, particip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accumulating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enhancing the ability of local governments to develop policy were expected. This study further aimed to propose a space composition and spatial model planning for local central regional archive considering the regional archive network system. (Method) In Japan's regional archive infrastructure started from local records management and its history and management system are well formed. The archives of two prefectures and four basic units of local governm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annuals and literature surveys issued by the respective institutions; general status of the facility, architecture plans, space composition, required space, and area composition were also examined. Details that were difficult to analyze from the literature were obtained via emails. (Results)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the spatial composition result from the local archives varied depending on their role. Prefectural archives and municipal archives occupied a larger proportion in preserving records than town archives, as the task of record keeping was important. However, town archives had a higher space proportion for the use of records and public services than prefectural and municipal archives. In particular, the common area was much higher in town archives, which is thought to be a difference in the area composition ratio depending on whether the facility is complexed in terms of public service. Layout of the storage space for regional archive is important considering future expansion. It is ideal to have regional archives that are expected to have a steep increase rate on the higher level to adjacent future storage areas with the existing storage. (Conclusion) Cases in Korea were preceded only by the Seoul Archives and the Gyeongsangnam-do Archives. At the time when there were no networking systems between archives,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similar to domestic records management systems and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Considering the timeline of when the study was conducted and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developed compared to the cases, it proceeded from the somewhat macroscopic viewpoint to the basic stag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records through an ongoing research on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records specialist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in terms of utilization to establish a culture of local-government rec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