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종운(Kim Jong Un),공성화(Kong Sung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 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의 D대학교 학년 400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 진로탐색장애검사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에 대한 설문을 2015년 10월부터 11월에 걸쳐 두 달 간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을 사용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 진로장 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첫째,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있어 자녀가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하는데 있어 부모와의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녀와 부모가 함께하는 긍정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개인과 가족 등에 제공함으로써 진로결정의 장애를 제거하고 어려움을 해소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f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400 university students major in college of humanities, management, and social science from a university in Busan were selecte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5 on a influence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scale, career barriers inventory scal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Finally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SPSS Ver. 21.0 statistical program.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correlation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ffects on career barriers. Thir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other word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has an effect of the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conclusi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effects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college of humanities, management, and social science. To understand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 have to consider not only the variables which effect on it, but also sub-factors of such a variable. Also, this study implies to enha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e need to consider not only parents’ role but also multiple strategie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생의 성인애착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과 학교소속감의 매개효과

        김종운(Kim Jong-Un),공성화(Kong Sung 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생의 성인애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과 학교소속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B특성화고등학교의 남⋅여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020년 11월 2일에서 2021년 1월 7일에 걸쳐 성인애착, 진로준비행동, 그릿, 학교소속감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2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집된 자료 중, 최종 206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Ver. 24.0과 Hayer(2013)의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생의 성인애착, 진로준비행동, 그릿, 학교소속감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생의 성인애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생의 성인애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소속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애착과 그릿, 학교소속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올바른 진로목표를 설정하여 진로준비행동의 증진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sense of school belong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igure these out, students were selected from 1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Busan during November 2, 2020 to January 7, 2021, and a survey measuring adult attachmen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rit, sense of school belonging was conducted. Among 230 copies of questionnaire, 206 out of them were handled and analyzed using SPSS Ver. 24.0 and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 of Hayes(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dult attachmen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rit, and sense of school belonging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in the influenc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dult attach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rit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Third, in the influenc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dult attach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nse of school belonging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These results show that adult attachment, Grit, and sense school belonging are the main variables that influ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provides useful guideline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and to set up the career goal to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