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일본, 네델란드 시설원예단지의 경관 선호도 비교분석 연구

        공민재 ( Kong Minjae ),이시영 ( Lee Siyoung ),강동현 ( Kang Donghyeon ),손진관 ( Shin Yukung ),신유경 ( Son Jinkwan ),김남춘 ( Kim Namch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농업생태계는 인간에게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시설원예 단지 조성은 불투수면적 확장과 생물서식처 단절로 인해 생태계서비스 기능 손실이 야기된다. 경관창출은 농업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 기능 중 높은 중요도로 평가된 항목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논, 밭, 과수원 등의 농업경관이 갖는 순기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시설원예단지 조성이 경관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1차 연구(2016 춘계학술발표, 130명 학생조사) 결과가 있어 국내 일반인의 의식조사를 실시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시설원예단지의 경관창출기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닐하우스 경관은 한국:일본, 유리온실경관은 한국:네델란드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은 슬라이드 쌍대비교(AHP)와 형용사(10개)를 활용한 리커트 척도 질문으로 구성하였으며, 웹페이지를 제작해 국내 일반인 581명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형용사이미지 평가 결과는 넓은, 자연적인, 시원한, 정돈된, 아름다운, 조화로운, 쾌적한. 개방된, 밝은, 좋은으로 총 10개를 1차 연구(15개) 결과를 바탕으로 추출하였다. 형용사 이미지 평가 결과 한국 비닐하우스 경관은 10개모든 형용사가 부정적인 이미지로 분석되었으며, 가장 부정적인 형용사는 자연적인(-)으로 인공적인 이미지로 평가 되었다. 다음으로는 시원한(-갑갑한), 조화로운, 아름다운 등의 순으로 우리나라 비닐하우스 일반 국민들에 있어 경관은 좁고, 인공적이며, 갑갑하고 아름답지않으며, 어둡고 나쁜 경관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일본 비닐하우스경관은 넓고, 시원하고 정돈되고, 아름다우며, 조화롭고 쾌적한 등 대부분 긍정적인 이미지로 분석되었다. 자연적인 이미지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부정이미지인 인공적인 이미지로 분석되었지만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과 네델란드의 유리온실경관에 대한 이미지평가 결과는 자연적인 이미지가 한국은 평균 -0.59/-3.00 이지만 네델란드는 -0.02/-3.00으로 가장 큰 차이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모든 형용사 또한 한국 유리온실이 네델란드 유리온실보다 낮게 평가 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HP 쌍대비교 또한 한국이 일본과 네델란드 경관 보다 선호도가 낮게 분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비닐하우스 경관을 일본을, 유리온실 경관은 네델란드를 지향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경관 내 녹지, 가변요소, 이격거리 등 요소분석을 통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우리나라 시설원예단지의 경관을 위해 개선방안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농촌지역 경관을 아름답게 유지, 개선하고 대규모 시설원예단지 조성시 기존 농업생태계와 조화로운 경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농촌지역 시설원예단지의 경관 개선을 위한 이미지평가

        공민재(Kong Minjae),이시영(Lee Siyoung),강동현(Kang Donghyeon),박민정(Park Minjung),윤성욱(Yun Sungwook),신지훈(Shin Jihoon),손진관(Son Jinkwa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시설원예단지의 경관개선점을 찾아보고 친환경적 조성방법과 생태계 서비스 기능이 최소화로 저감될 수 있는 방안제시를 목표로 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평가요소에서 네덜란드, 일본 경관은 긍정적인 결과였으나 우리나라 경관은 다소 부정적으로 분석되어 비닐하우스는 일본을 유리온실은 네덜란드 경관으로 개선방향을 설정 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미래세대에 지속가능한 농업경관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태계서비스 기능 중 경관창출을 고려한 친환경 온실단지 조성을 제안을 제안하였으며, 앞으로 추진될 대규모 간척지 개발 사업에도 본 연구가 활용되길 기대하였다. Humans are provided with a wide range of public benefits from ecosystems and agricultural ecosystems, but the establishment of the horticulture complex could be a space that hampers the public function of the agricultural ecosystem. In this study, we sought to focus the function of landscape cre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 and tried to analyze the landscape of the horticulture complex.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build a greenhouse complex which is being indiscreetly introduced in the agriculture landscape through environmentallyfriendly manner and minimize the function of the ecosystem service. We divided the greenhouse complex into two categories of Plastic Greenhouse(v) and Glass Greenhouse(g), and compared them to the Netherland and Japan counterparts. Each image of research areas was selected by 3 pics and polled by a total of 101 people.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Landscape Image are as shown in the figure. Netherland Glass Greenhouse scored 1.80 in terms of ‘Neat’ which is one of the given 15 adjectives. Study results shows that Korean Plastic Greenhouse landscapes need to endeavor Japanese vinly greenhouses and Dutch glasshouses. Consequently, an analysis on the elements of landscapes including green area, variant elements, separation distance is essential in order to improve our country’s greenhouse complex landscapes. In this regard, continuous research is required to improve rural landscapes and harmonize large-scale horticultural facilities into the existing agricultural ecosystem.

      • KCI등재

        나비 종 다양성과 전통지식 연계를 통한 정원 조성방안 연구

        공민재(Minjae Kong),남홍식(Hongshik Nam),김광호(Kwang-Ho Kim),전성욱(Sungwook Jeon),김창현(Changhyun Kim),한송희(Songhee Han),손진관(Jinkwan S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8

        곤충 및 나비가 선호하는 식물 대부분은 과거부터 농업, 한방, 약재 등에 활용하였고 식물자원을 활용하는 한방 이용형태는 선조들의 가치 있는 역사로 평가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나비 중 사육과 방사가 가능한 나비를 알아보기 위해 발생 시기별로 분류하고 도입을 인위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문헌고찰 통해 알아보았다. 실제로 나비정원을 운영하고 있는 대상지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각 나비 종에 대한 기주식물과 흡밀식물을 선별하고 선별된 식물을 통해 전통지식 교육 콘텐츠 개발에 우선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식물자원을 도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나비정원 조성과 생태교육 콘텐츠 확보를 위해 나비정원 도입 식물 103종을 순위별로 제안하였다. 103종에 대한 전통지식 분석한 결과 103종의 나비정원 도입식물 중 93.2%에 해당하는 96종에서 전통지식이 확인되었으며, 확인되지 않은 종은 7종에 불과했다. 전통지식이 확인되지 않은 7종은 부들레야, 미스김라일락, 금관화 등 재배를 위해 개량한 종으로 확인되었다. 103종의 식물에 대한 전통지식 내재 여부를 분석결과를 통해 교육 콘텐츠 자료로 활용하길 제안하였다. Most of the plants preferred by insects and butterflies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in agriculture, oriental medicine, medicine , etc. The form of oriental medicine that uses plant resources constitutes a valuable history treasure trove of our ancestors. To discover which species of butterflies could be released into gardens, we classified them by the time of occurrence , and reviewed literature before artificially introducing them in the gardens. We carried out a research study to select the host plants and absorbent plants for each butterfly species through this survey. We analyzed sites that operate butterfly gardens to derive the plant resources that can be used preferentially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nowledge education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103 species of plants were shortlisted for introduction into a butterfly garden that would form a basis for ecological education content. By analyzing these species, a traditional knowledge base was confirmed in 96 species, or 93.2%, of the 103 species introduced into the butterfly garden. Seven species, which did not appear in the traditional knowledge database, were identified as improved species for cultivation, such as budleya, Miss Kim lilac, and gold crown flower. This analysis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on the existence of 103 species of plants in the traditional knowledge database.

      • 국내 나비정원에 식재된 식물분석 연구

        공민재 ( Min Jae Kong ),이시영 ( Si Young Lee ),강동현 ( Dong Hyeon Kang ),손진관 ( Jin Kwan Son ),김남춘 ( Nam Choon Kim ),김창현 ( Chang Hyun Kim ),강방훈 ( Bang Hun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최근 근린공원, 도시공원, 생태공원 등 다양한 공원을 조성, 계획, 복원하여 도시지역의 생물다양성 증진 및 생태적기능 회복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거대한 도시에서 생태적 기능, 생물다양성을 위한 서식처는 현저히 부족한 실정에 이다. 또한 인간의 간섭과 환경오염, 무분별한 살충제의 사용 및 관리 미흡으로 인해 생물공간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많은 생물 중 다른 분류군에 비하여 생태연구가 활발히진행되어 있는 나비는 1차소비자, 2차소비자의 먹이원, 기생벌류의 숙주, 수분매개자, 야생조류의 먹이자원의 역할을하며 생물다양성에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또한 기후변화와 서식지 경관,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지표종으로 활용하기 좋은 대상이다. 또한 나비는 인간에게 다양한 아름다운 이미지 및 체험 교육 자료를 제공하는 종으로, 관찰, 체험교육을 위해 함평, 남해, 양평, 서울숲, 인천나비공원, 예천 곤충생태원 등의 체험관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온실형태로 실내공간에서 사육된 나비를 방사하여 관찰과 체험이 지속적이고 자연친화적으로 이루어지가 힘든 실정이다. 국내에 서식하는 나비는 약 195종으로 알려져 있다. 나비애벌레의 경우 정해진 식물만 먹는 먹이식물이 있고 성충의 경우 식물의 꽃에서 흡밀을 하는 흡밀식물이 있어 식물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식물과 나비의 서식 관계를 분석한 연구에는 김창환(1984), 신유향과 이광원(1988), 김지석과 강현경(2011), 전성재 등(2012), 김도성 등(2012) 등이있으나, 나비와 먹이식물, 흡밀식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빈약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나비가 생활할 수 있는 공간제공과 향후 실외 나비정원을 조성함에 있어 사육, 방사가능한 나비와 각 지역 환경에 맞는 먹이식물과 흡밀식물과의 상호관계성 탐색을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리나라의 설치되어 있는 실내 나비정원을 바탕으로 식물과 나비를 조사, 분석하여 추후 나비정원 조성의 실증 시험자료 및 인간과 생물의 조화로운 환경조성, 교육의 장으로 활용함에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국내 온실형태의 실내 나비정원으로 이용자의 사용빈도가 높고 접근성이 좋은 나비정원으로 관찰,체험, 교육, 행사 등이 매년 진행되고 있는 서울, 인천, 대구,예천, 홍천 등 8곳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8곳에 방문하여 작성된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식물목록은 국내 분포 종을 구분을 위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에서 제공하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확인하였다. 식물목록 중 학명으로 모호하게 거론된 종은 제외하였으며, 생활형 또한 확인되지 않은 것은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확인된 종은 식물 분류학적 구분을 통해 구분하고 Raunkiær(1934)의 생활형 구분, Park(2009)와 Lee et al.(2011)의 귀화식물 등을 분석하였다. 8개 나비정원에서 방사되고 있는 나비를 분석한 결과 총5과 15속 22종으로, 흰나비과(Pieridae)에서 남방노랑나비(Eurema mandarina), 노랑나비(Colias erate), 대만흰나비(Artogeia canidia), 배추흰나비(Pieris rapae), 큰줄흰나비(Pieris melete)로 5종, 호랑나비과(Papilionidae)에서 무늬박이제비나비(Papilio helenus), 산제비나비(Papilio maackii),긴꼬리제비나비(Papilio macilentus), 꼬리명주나비(Sericinusmontela) 등 9종, 네발나비과(Nymphalidae)에서 네발나비(Polygonia caureum), 들신선나비(Nymphalis xanthomelas), 암끝검은표범나비(Argyreus hyperbius) 등 5종, 부전나비과(Lycaenidae)에서 남방부전나비(Pseudozizeeria maha), 큰주홍부전나비(Lycaena dispar) 2종, 팔랑나비아과(Hesperiinae)에서 대왕팔랑나비(Satarupa nymphalis) 1종으로 분류되었다. 연구대상지 8곳의 조사된 식물을 바탕으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총 82과 186속 224종 23변종 2품종으로 총 249종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된 249종에 대해 국내 서식종을 확인하기 위해 산림청 국가표준식물목록을 확인하여 국내 서식 종 246종과 기타 국내 미확인 3종으로 구분하였다. 분석된 식물목록 중 국내 미확인 종을 제외한246종류에 대한 과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국화과 (Compositae)가 가장 많은 24종(9.8%)이었으며, 백합과(Liliaceae) 13종(5.3%), 장미과(Rosaceae) 11종(4.5%), 산형과(Umbelliferae) 9종(3.7%), 돌나무과(Crassulaceae) 8종(3.3%), 운향과(Rutaceae) 8종(3.3%)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246종의 식물 중 귀화식물은 7과11종으로 분석되었다. 귀화식물 11종은 나비정원조성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급적 향후 관리에 있어 좋을 것으로 보이나, 나비의 종에 따른 먹이, 흡밀식물도 있으므로 자생종과 혼합하여 식재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대상지 8곳에서 분석된 249종류(Taxa) 중 국내미확인 종 3종과 귀화종 11종을 제외한 82과 179속 213종20변종 2아종으로 총 235종류(Taxa)를 나비정원 조성 식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235종류(Taxa) 중 먹이식물은 38종,흡밀식물은 167종, 경관식물은 51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나비정원 실증 시험 자료로 활용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국가 생물다양성, 나비 보전 및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증진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생태교육 장소로서 나비정원 조성과 교육자료 제작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생태체험 학습을 위한 나비정원 조성방안 연구

        공민재 ( Min Jae Kong ),손진관 ( Jin Kwan Son ),이시영 ( Si Young Lee ),강동현 ( Dong Hyeon Kang ),한송희 ( Song Hee Han ),강방훈 ( Bang Hun Kang ),김남춘 ( Nam Choo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도시지역은 과밀개발과 녹지감소로 인해 생태적 기능 쇠퇴, 생물다양성 감소 등의 위협에 처해있으며, 이러한 녹지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근린공원 도시공원 등 다양한 공원을조성, 계획, 복원하고 있다. 또한, 도시민에게 자연생태계에서 감상 할 수 있는 생물을 도시공원에서 관찰 할 수 있도록잠자리 연못, 생태습지, 돌무덤 등의 생물서식처를 조성하고있다. 나비는 인간에게 있어 아름다움, 신비로움, 신기함 등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하며, 관찰, 체험 등의 욕구를 해소하기위해 함평, 남해, 양평, 서울숲 등에 체험관이 설치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실내 공간에서 사육되는 나비를 관찰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정원, 인간, 생물 등이 조화로운 환경과는 다소 거리가 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과밀화와 녹지감소로인한 문제와 생물서식 공간 창출, 및 체험교육 장소 제공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나비정원 조성을 위한방안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비정원 조성을 위해 도입 가능한 목표 나비 종을 선정하고, 선정된 나비가 서식, 생활 할 수 있는 식재식물을 알아보았다. 목표 나비 종은 정원조성 초기에 인위적으로 도입가능하고 교란 및 시행착오 시 재방사가 가능할 수 있도록사육되는 종을 선정하였고 기주식물과 흡밀식물은 해당 종에 대한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식물 분류학적구분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총 4과 16속 21종의 정원 도입 나비를 분류하였으며, 선정된 21종은 호랑나비과(Papilionidae)에서 꼬리명주나비(Sericinus montela), 사향제비나비(Atrophaneura alcinous), 호랑나비(Papilio xuthus), 산호랑나비(Papilio machaon), 남방제비나비(Papilio protenor), 긴꼬리제비나비(Papilio macilentus), 제비나비(Papilio bianor) 등 7종, 흰나비과(Pieridae)에서 배추흰나비(Pieris rapae Linnaeus), 남방노랑나비(Eurema hecabe), 노랑나비(Colias erate) 등 3종, 부전나비과(Lycaenidae) 에서 암고운부전나비(Thecla betulae), 남방부전나비(Pseudozizeeria maha), 푸른부전나비(Celastrina argiolus) 등 3종, 네발나비과 (Nymphalidae)에서 암끝검은표범나비(Argyreus hyperbius), 작은 은점선표범나비(Clossiana perryi) , 먹그림나비(Dichorragia nesimachus), 홍점알락나비(Hestina assimilis), 왕오색나비(Sasakia charonda), 작은멋쟁이나비(Vanessa cardui), 멋쟁이나비(Vanessa indica), 네발나비(Polygonia c-aureum) 등 8종이 분류되었다. 이 종들은 환경변화 민감하므로 생활형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 져야 함을 언급하였다. 선정 된 21종의 나비에 대한 문헌고찰 결과 총 22과 77속113종 10변종 1품종으로 총 125종의 식물을 목록화 하고그 중 98종이 국내 서식 종임을 확인하였다. 과별 분포는 십자화과(Cruciferae)가 가장 많고 콩과(Leguminosae), 운향과(Rutaceae),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산형과(Umbelliferae) 등이 주요 종을 이루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국내 미확인 종 17종 또한 비슷한 양상 이었으며, 국내에서서식이 확인 된 종인 고추냉이(Wasabia koreana), 갓(Brassica juncea), 유채(Brassica napus), 배추(Brassica rapa var. glabra), 클레마티티스쥐방울덩굴(Aristolochia clematitis), 데빌리스쥐방울덩굴(Aristolochia debilis), 캠페리쥐방울덩굴(Aristolochia kaempferi), 리토랄리스쥐방울덩굴(Aristolochia littoralis), 마크로필라쥐방울덩굴(Aristolochia macrophylla), 셈페르비렌스 쥐방울덩굴(Aristolochia sempervirens) 자두나무(Prunus salicina), 겨자(Brassica juncea var. crispifolia), 꽃케일(Crambe cordifolia) 등을 사용하여 정원 조성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만, 귀화식물 및 우점(Pest)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에서 분석한 125종의 식물 중귀화식물이 5과 13종으로 가급적 정원조성에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시하고, 국내에서 재배 중인 국화종류 및 나도냉이(Barbarea orthoceras), 봄나도냉이(Barbarea verna), 유채(Brassica napus) 등으로 대체를 모색하였다. 이와 같은분석을 통해 나비정원 조성에 도입 및 식재 가능한 종 22과59속 74종 10변종 1품종을 도출하여 총 85종류를 제시하고 자생, 재배 및 초본, 목본을 구분하여 향후 계획 및 시공에있어 효율적으로 조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나비정원 실증 시험 자료로 활용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국가 생물다양성, 나비 보전 및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증진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생태교육 장소로서 나비정원 조성과 교육자료 제작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