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환경보호에 관한 미국의 공공신탁이론의 발전과 전망

        공라경,차철표 한국해사법학회 2005 해사법연구 Vol.17 No.2

        The Public Trust Doctrine In the United States is common law that has been developed and articulated by courts in individual cases. The Public Trust Doctrine, which originated as Roman Civil Code in the sixth century A. D., stated that, "By the law of nature these things are common to mankind--the air, running water, the sea, and consequently the shore of the sea." England adopted the Public Trust Doctrine as common law. The Public Trust Doctrine was imported into the 13 original U.S. colonies. Following independence of the colonies, the Public Trust Doctrine potentially became part of the basic law in each state. It remains valid today as common law in jurisdictions where its principles have been enacted in statutory laws(including the implementation of rules and policies) to manage subject waters and lands. This paper is introduction to the Public Trust Doctrine in the United States which is one of the most unusual, powerful, and potentially useful doctrines for natural resource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legal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낙동강하구역의 주민지원제도 개선방안

        孔羅景 한국해사법학회 2010 해사법연구 Vol.22 No.2

        낙동강하구에 5개나 지정되어 있는 이들 각종 보전 법에서의 생활규제는 다른 환경관련 보전 법령과 거의 별 다를 바 없이 규제를 하고 있으나 자연환경보전법을 제외하고는 주민들에 대한 지원이 거의 없다. 낙동강하구는 동양최고의 철새도래지로 반드시 보전되어야 할 자연환경인데, 이곳의 관리는 정부나 환경단체 등 일부의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이며, 반드시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한 관리가 우선되어야만 제대로 된 관리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대치의 현실적인 충족을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이 자연환경을 솔선해서 관리하고 지켜나가게 하기 위한 지역주민들을 위한 제도적 배려가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낙동강하구의 람사르습지로 등록이 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생태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낙동강하구 근처의 논 습지를 습지보전법상의 습지(인공습지)로 등록하여 보전의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며, 셋째, 5개 법령에서 규제하는 규제만큼의 주민인센티브에 대해서도 명시적인 지원조문을 두어 이들 주민들의 생활불편을 해소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이들 주민들에게 정책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며, 지원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당해지역 또는 주민이 희망하는 사업을 반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are five conservation acts. The regulations on these acts do not differ much from other environment-related conservation acts, but there hardly found any support for local residents aside from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As the best habitate for migratory birds in Asia,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is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has to be definitely preserved. However, since hard works of the government and environmental groups are inadequate to manage the area properly,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s believed to be urgent. To meet such expectations in the real field, there should be institutional consideration for the local people first that makes them volunteer for the preserv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First,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immediately needs to be registered as Ramsar wetlands site. Second, since the flooded agricultural land, near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are valuable from the aspect of the ecology, how to preserve the area will be determined by registering the sites as the wetlands (artificial wetlands) of the Wetlands Conservation Law. Third, to solve the local people's living inconveniences, there has to be an explicit support provision for the residents' incentives according to the five laws. Lastly, policy support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residents. When it comes to starting the support business, it is for sure important to reflect the ideas of the related area and inhabitants. But, what is more appropriate here is to get started with the business which consistently offers practical benefits.

      • 습지보전법의 개정방안 연구

        공라경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2 해양정책연구 Vol.17 No.2

        Tidal flats are an invaluable natural resource with various cultur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values and function. Especially our western sea is acclaimed for its vast tidal flats, which are considered internationally important wetlands. Since the 1970s, industrial plants and farming lands were created through enormous reclamation projects. Around 40% of the total tidal flats were destroyed and lost forever. Fortunately, public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idal flats is gradually growing. Many civic and environmental groups are working to preserve our wetlands. Such activities led to the enactment of the Wetlands Conservation Act in February, 1999.The Wetlands Conservation Act was legislated to effectively preserve and manage tidal flats and pursu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amsar Convention. But this Act is not enough to conserve tidal flats. Because there are some problems of it; substantial regions of the coastal wetlands(§2), designation of the Wetlands Conservation Areas and Specially Managed Wetlands Surrounding Area(§8), permission or prohibition act in wetlands conservation areas(§13), and so on.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describes the problems of the Wetlands Preservation Act and improve the problems of it.

      • KCI등재

        낙동강하구역의 효율적 보전을 위한 법제정비에 관한 연구

        공라경 한국해사법학회 2012 해사법연구 Vol.24 No.2

        낙동강하구는 철새도래지로서 뿐만 아니라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보존가치가 높은 곳이며, 이 때문에 다른 하구에 비해 많은 지역이 보전·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대규모 지역개발 등에 의해 환경에 대한 압력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에 시급한 보전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낙동강하구의 문제점은 첫째, 철새들의 쉼터이자 부산의 허파역할을 하고 있는 논습지가 개발의 논리로 인해 줄어든다는 것이고, 둘째, 관의 생태적 수변구역의 재정비로 인해 오히려 수변구역이 인간의 간섭이 더해져 수변생물이나 철새들에게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부산시는 2001년 ‘부산광역시 낙동강하구 보전관리 조례’를 제정하였는데, 조례에는 하구와 관련된 사업과 계획은 입안단계에서부터 집행·사후관리까지 시민·전문가·시민단체의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나 부산시의 일방적인 정책관조로 인해 낙동강조례가 무용지물인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줄어드는 논습지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법률적 정비가 필요하며, 둘째, 하구보전의 한 방법으로 하구를 생태관광지로 지정을 위한 생태관광 법률의 정비가 필요하고, 친환경농업을 강제하여 환경도 살고 철새도 살고 사람도 같이 상생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Nakdong river estuary is not only a place where migratory birds come over, but a preservation place blessed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compared to other estuaries, many areas of the estuary were designated as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zones. Large-scale local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have harmed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areas. Therefore, coming up with plans for preserving the estuary came to be required. The current problems of Nakdong river estuary are first that paddy fields and swamps, which are a habitate of migratory birds and play a role as a lung for Busan, have shrunk due to development projects, and secondly that the ecological reorganization of buffer zones by the governmental office is added into human beings' interference, giving threats to creatures and migratory birds living in the buffer zones, and thirdly that Busan Municipality established 'Ordinance of Preservation Management of Nakdong River Estuary in Busan' in 2001, under which projects and planning related to the estuary require citizens, experts, and civic groups to engage in all the relevant process ranging from design stage, to execution, and to post-management. Unfortunately, the unilateral policy contemplated by Busan Municipality made the ordinance useless and obstructive. Therefore, to solve the problems, what is needed is first to revise concrete laws to preserve the shrinking paddy fields and swamps, secondly to revise ecological tourism Act to designate the estuary as ecological tourist attraction.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a legislation plan of eco-friendly management for the coexist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migratory birds and human beings in Nakdong River estuary.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의 개발과 주민의견수렴범위에 관한 연구

        공라경(Ra-Gyoung Gong) 한국해사법학회 2009 해사법연구 Vol.21 No.3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함에 있어 사업시행으로 인한 환경피해와 개발 후의 토지이용 등 여러 가지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지역 주민들의 의견수렴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환경영향평가법 제14조에서는 평가서초안의 작성시 대상사업의 시행으로 영향을 받게 되는 지역주민의 의견을 듣고 이를 평가서의 내용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규정하여 주민의견수렴범위를 환경영향 평가영향권 내의 주민으로 한정하고 있다. 그러나 평가서 초안 자체가 전문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역주민들은 평가서를 열람하더라도 사업에 대한 환경적인 영향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 등을 통하여 환경영향평가 과정에 주민 등의 참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환경문제에 대해 적극적이고 전문성을 지니는 환경단체와 전문가 집단을 위원회 형식으로 의견수렴 범위에 포함시켜 운영함을 법정화해야 한다. 환경단체 등의 참여 명문화는 환경영향평가시 하자가 발생한 경우의 소 제기 시 원고적격의 문제에 있어 법률상의 근거규정으로 작용하여 원고적격과 재판적격을 넓혀나가는 데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환경보호나 자연보호의 영역에서는 기존의 소송구조로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에 환경단체에게 단체소송권을 인정함을 환경영향평가법에 명문화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환경단체에게 원고적격 및 재판적격을 인정하는 것이 환경보전을 최우선 순위로 두어야만 하는 현실에 부합하는 결정이 될 것이다. Public participation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prescribed in article 14 of EIA Act. Public participation system ha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environmental significance. According to EIA Act, participant scope of public is defined as residents and group in affected area and they comment opinion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s and mitigation measure. But it is room for improvement. Thus this paper suggested that in order to sustain effectively this system, the scope of public must enlarge residents in affected area as well as other relation group example environmental movement group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