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ithium과 Chlorpromazine 병합치료에 의한 급성 뇌증후군 1례

        고효진,백인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83 신경정신의학 Vol.22 No.4

        The authors have observed one case of acute brain syndrome associated w ith combined administration of lith ium and chlorpromazine. The case was 35 years old male manic patient, who developed acute brain sydrome at the 64th hospital day during lithium and chlorpromazine combined threapy. After the drugs were discontinued these symtoms completely disappeared within a few days.

      • KCI등재

        연구논문 : 전월세 상한정책의 헌법상 권리 침해 여부에 관한 연구; Rosenbloom 등의 헌법상 권리구조 모형 적용

        고효진,정진경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2 정부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2011년 5월 이후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 법률안 발의에 따라 논란이 되었던 ``전월세 상한정책``을 사례로 하여, 본 정책에 의해 개인의 기본권을 침해할 위헌성의 소지가 있는지를 체계적인 진술문(If-then statement)에 따라 정책형성과정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설계된 Rosenbloom 등의 권리구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체적 재산권 침해소지와 관련하여, 정당한 공익적 목적을 취지로 임대인의 재산권에 영향을 미치나 최소한의 제한적 접근이 아닌 직접적 가격규제방식과 재산권 손실에 따른 보상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등으로 헌법상에 보장된 재산권 보호 측면에서는 위헌의 소지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동등보호권 침해소지와 관련하여, 정책대상의 분류의 기초는 지역이며, 이 정책에서 지역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은 합리적 기준에 근거하는 것으로 동등보호 위반으로 의심되지 않는 수준이며, 또 이것이 근본적인 헌법원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판단하기 어려웠다. 정책에 대한 헌법적합성 여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는 본 연구를 통해 전월세 상한제 정책수단 변경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입법을 통한 정책형성과정에서 정책분석가 및 공공행정가로 하여금 헌법적 민감성을 가지고 정책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is an analytical research on whether the ``rent cap proposals`` will infringe the consitutional rights through application of David H.Rosenbloom`s constitutional right structure. As a results, these proposals could be judged unconstitutional by infringing upon one`s substantive property rights, even though it was hard to say it could violate the ``equal protection``. So, we can draw on the implication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licy instrument which regulate the rent cap directly.

      • KCI등재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 뇌파의 시공간적 패턴분석 : Karhunen-Loeve 방법을 통한 뇌파분석의 임상적용을 위한 예비연구

        고효진,김형래,김대진,김수용,박성종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뇌파의 시공간적 패턴분석(spatio-temporal pattern analysis)방법을 이용하여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진단 특히 초기 치매환자의 진단에 대한 예비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방법: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 10명과 정상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Karhunen-Loeve 분해법을 이용한 시공간적 패턴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세가지 주요패턴 중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으뜸패턴에서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는 좌우측 비대 칭성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뚜렷해지는 형태를 보였다. 둘째, 으뜸패턴을 비교하여 뇌의 각 부분에 대한 차이를 보았을 때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주로 좌측 두정부와 측두엽 부위에서 고유값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으뜸패턴 전개계수의 Fourier amplitued spectrum 분석을 통하여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 10명중 6명에서 상당히 큰 진폭의 상승부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정상대조군에서는 이러한 진폭의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알쯔하이머형 치매으 병태생리적 위치가 좌측 측두-두정엽에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앞으로 시공간적 패턴분석 방법이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Objectives: We introduce a novel analysis method of spatio-temporal pattern analysis of EEG. Using it, we presents a results discriminating severe Alzheimer's disease patients from normal subjects. Methods: To the groups of 10 Alzheimer's disease patients and 10 normal aged subjects, we applied the Karhunen-Loeve decomposition method and observed their principal patterns and time-varying dynamics. Results: First, there was a first primaty pattern of the eigenvector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that showed opposite polarities at the left and the right hemispheric regions. Second, the Alzheimer's disease patient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average values of the eigenvector at the left parieto-temporal area than the normal controls did. Third, some Alzheimer's disease patients had one, coherent frequency component in the Fourier amplitude spectrum of the first pattern expansion coefficient.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athophysiologic site of Alzheimer's dementia may be left temporo-parietal area in brain and further studies need to evaluate whether the spatio-temoral pattern analysis could be used to diagnose Alzheimer's dementia patients.

      • KCI등재

        청소년 자살위험성 예측척도의 타당화 연구(1)

        고효진,김대진,이흥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저자들은 Cull과 Gill(1988)이 자살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개발한 Suicide Pro-bability Scale를 모형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청소년 자살위험성 예측척도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대전시내에 위치한 일반 중학교와 일반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녀학생 792명을 대상으로하여 청소년 자살위험성 예측척도를 타당화 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청소년 자살위험성 예측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702였으며 총점 하위척도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구성타당도를 보기 위한 요인분석에서 부정적 자기평가, 절망감, 자살사고, 적대감 등, 4개의 하위요인의 추출되었으며 이들 요인이 전체변량의 53.28%를 설명해 주었다. 자살과 관련된 다른 척도들과의 상관관계를 통한 공존타당도 검증에서는 Rosenberg 자아존중간 척도와 Buss-Durkee 적대감 척도는 청소년 자살위험성 예측척도와 상관관계가 높았으나 소아 절망감 척도와 소아우울척도는 청소년 자살위험성 예측척도의 일부 하위척도 혹은 하위척도 모두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 자살위험성 예측척도는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여 주었다. 또한 성인과 달리 청소년에 있어 절망감이나 우울증상이 자살위험성을 잘 반영해주지 못한다는 특징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Objectives: We aimed to develope the Suicide Probability Scale for Adolescent(SPS-A)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uicide behavior in adolescents. Methods:SPS-A was adminstered to 79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examin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SPS-A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total -subscale score correlations. Factor analysis yielded four factors of negative self-evaluation, hopelessness, suicide idea and hostility, which explained 53.28% of total variables. In the assessment of correlations with other suicide-related scales for the concurrent validity of SPS-A,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d Buss-Durkee hostility scale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PS-A. However,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nd Hopelessness scale for adolescent did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PS-A.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SPS-A had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which is usefull for evaluating suicide idea in adolesc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hopelessness and depressive symptoms are not for evaluating suicide risk in adoescents, unlike adult group.

      • KCI등재

        Templer 죽음불안 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도

        고효진,최지욱,이흥표 한국건강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1 No.2

        Although death anxiety were assumed as one-dimensional concept, but currently is accepted as multi-dimensional concep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ulti-dimensional or one-dimensional concept though factor structure analysis of K-Templer death anxiety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Templer death anxiety scale revealed four factors; pure death anxiety, denial of death thinking, awareness of shortness of time, the fear of matters related to death. Even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tness of the 4 factor structure was higher than other factor structure. Therefore, K-templer death anxiety scale is suggested that not one-dimensional concept but multi-dimensional concept including sub concept of four. But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denial of death thinking factor and awareness of shortness of time factor were low. And factor structure of two factors was unstable as well, accordingly suggested that supplementation of these factors are needed. 죽음불안은 일차원적 개념으로 가정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Templer 죽음불안 척도의 요인구조 분석을 통하여 죽음불안이 일차원적 개념인지 다차원적 개념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죽음 자체에 대한 두려움, 죽음 생각의 부인, 짧은 시간 지각, 죽음과 연관된 사건에 대한 두려움 등의 4개 하위 요인이 도출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4요인 구조의 적합도가 높았다. Templer 죽음불안은 일차원적 개념이 아니라 4개의 하위 개념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시사되었다. 그러나 죽음 생각의 부인과 짧은 시간 지각 등 2, 3 요인은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내적 일치도가 낮았다. 또한 문항수가 적고 요인 구조가 불안정하였는 바, 죽음 자체에 대한 두려움, 죽음과 연관된 사건에 대한 두려움 등 요인 1, 4를 중심으로 척도를 이용하는 것이 타당하며 요인 2, 3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되었다.

      • KCI등재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초등학생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 효과

        고효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4

        이 연구는 U 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 건행동 변화를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여학생인 경우, 불소도포 참여 횟수가 3회인 경우, 이 닦는 방법을 회전법으로 하 는 경우 구강보건지식 점수가 높았다(p<.05). 구강보건지식은 1일 칫솔질 횟수가 1회인 경우 1일 칫솔질 횟수가 2 회 이상인 경우보다 낮았고, 이 닦는 방법을 회전법으로 하는 경우 높았고, 칫솔 사용기간이 12개월 이상인 경우 낮았다(<.05). 따라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은 학교에서의 체계적이고 활발한 구강보건교육과 예방관리 프로그램 운영 등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ffective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operation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changing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4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U metropolitan city. In case of female students and if number of participating in the fluoride application was three times, method of brushing rolling the score of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 (p<.05). Oral health knowledge was high when a method of brushing teeth was chosen as roll technic of toothbrushing. On the contrary, it was low when usage period of tooth brush was more than 12 months (p<.05).. Accordingly, various and active efforts are needed for oral health promotion, including systematic and active oral health education and operation of prevention control program, etc. i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