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고효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마음챙김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 마음챙김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만족도는 마음챙김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마음챙김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의 매개역할에 대해 실증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는 점에 학문적․교육적․실용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whether job stress impacts job satisfaction and whether mindfulness mediates this relationship.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as follows: (i) Job stress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ii) mindful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higher job stress was associated with lower job satisfaction. Second, mindfulness exhibi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As lower job stress factors resulted in higher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essential to reduce such job stress factors. Furthermore,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atisfaction. In view of this, mindfulness education is necessary to enabl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critically recognize and accept their current situations.

      • KCI등재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성장 마인드셋이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

        고효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이 전문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인지(metacognition)의 매개효과에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185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변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성장 마인드셋과 메타인지, 전문직 정체성과 메타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성장 마인드셋과 전문직 정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성장 마인드셋은 메타인지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전문직 정체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성장 마인드셋과 전문직 정체성의 관계에서 메타인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 중 성장 마인드셋과 메타인지의 매개역할에대해 실증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는 점에서 학문적⋅실용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how metacogni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s and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18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arameters was verifi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growth mindset and metacogni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rofessional identity. However, growth mindset and professional identit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it was observ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statistically affected metacognition but did not influence professional identity. Third, metacognition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nd professional identity. This study carrie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as it demonstrates the crucial mediating role of growth mindset and metacognition among the cognitive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identity.

      •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고효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4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4 No.4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마음챙김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유아교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문제와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유아교사의 더욱 나은 직무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가 보일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마음챙김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낮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의 향상 방안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마음챙김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사가 자신의 현재 상황을 알아차리고, 비판단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음챙김에 대한 재교육이 요구된다. 또한 마음챙김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The roles of multifunctional protein ErbB3 binding protein 1 (EBP1) isoforms from development to disease

        황인우,고효림,안지인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20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52 No.-

        The roles of the two isoforms of ErbB3-binding protein 1 (Ebp1) in cellular function and its regulation in disease and development is a stimulating area in current fields of biology, such as neuroscience, cancer biology, and structural biology. Over the last two decades, a growing body of studies suggests have suggested different functions for the EBP1 isoforms in various cancers, along with their specific binding partners in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Owing to the specific cellular context or spatial/temporal expression of the EBP1 isoforms, either transcriptional repression or the activation function of EBP1 has been proposed, and epigenetic regulation by p48 EBP1 has also been observed during in the embryo development, including in brain development and neurologic disorders, such as schizophrenia, in using an Ebp1 knockout mouse model. Here, we review recent findings that have shaped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emerging function of EBP1 isoforms in cellular events and gene expression, from development to disease.

      • KCI등재

        ‘식물의 기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인지도 연구

        홍승호,고효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3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misconception correc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erception extent for plant' organ concep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questions for conceptualization were created with the help of 65 elementary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classroom experience. A questionnaire was then given to 845 elementary school pupils. The rate of average wrong answers for all questions was 43.2%. Half of the 20 questions were answered wrong more than 40% of the time, suggesting that learners had many misconceptions of what ‘organs a plant had. There was not much significant variation among participants’ living environments, gender and grade. Urban students, however, had a higher rate of wrong answers than rural students for the four questions, indicating that it is necessary to guide learners’ processes of conceptualization through field study. Male and female students have different misconceptions of different questions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and attention spans,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lso, 6th grade students had a higher rate of wrong answers than 5th grade students for the six questions. This reflects the necessity of sequential learning for introducing the organs of the plant in the 6th science curriculum. Therefore, teachers should study various ways to induce cognition conflic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to conceptualization correction.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식물의 기관’에 대한 개념 인식 정도를 조사하여 오개념 교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년차 이상의 교육 경력을 가진 65명의 교사에게 의뢰하여 초등학생이 가졌던 오개념을 기초로 ‘식물의 기관’에 대한 개념 검사를 위한 문항을 추출한 다음, 845명의 초등학생들에게 설문하였다. 전체 20개 설문 문항의 평균 오답률은 43.2%로 나타나 ‘식물의 기관’에 대한 과학적 개념 정도는 낮음을 알 수 있었고, 10개 문항에서 40% 이상의 오답률을 보였다. 그룹 간의 비교에서 도시와 농촌, 남녀, 학년 간의 전체 문항에 대한 개념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문항별로 분석해 보았을 때 도시학생들이 농촌학생들보다 4개 문항에서 유의하게 높은 오답률을 보여 체험학습을 통한 개념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남녀 간에도 일부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성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학년 간 비교에서는 6학년 학생들이 5학년 학생들보다 6개 문항에서 오히려 더 높은 오답률을 보여 6학년 과학에서 ‘식물의 기관’에 대한 후속학습의 필요함을 느낄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는 ‘식물의 기관’에 대해 개념 교정을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인지갈등을 유발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조직형 플라스미노겐 액티베이터와 관련 변이 단백질들을 발현하는 알팔파 형질전환체

        심준수,이용,고효림,박효경,김형미,임규희,안기성,김용환,한범수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9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6 No.1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t-PA) is a thrombolytic agent important in fibirn clot lysis. T-PA causes fibirn- specific plasminogen activation. Six binary vectors harboring t-PA and its derivative genes were cloned and expressed in transgenic alfalfa plants. The insertion of the t-PA and its derivative genes in genomic DNA of alfalfa plants was confirmed by PCR. The presence of the t-PA and its derivative transcripts in total RNAs of the transgenic alfalfa leaves was verified by RT-PCR. ELISA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the highest level of recombinant t-PA expression was 75.1 µg/ total soluble protein (mg) in alfalfa plants. The amount of recombinant t-PA and its derivative proteins in transgenic plants was estimated to range from 9.7 to 39.5 µg/ total soluble proteins (mg). Western blot analysis of the transformed alfalfa leaves revealed bands of approximately 68-kDa recombinant t-PA and its derivative proteins. The fibrinolysis of recombinant t-PA and its derivative proteins was confirmed by a fibrin plate assay (range from 3.2 to 8.1 cm). The results presented provid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additional production of recombinant human proteins having pharmaceutical applications using transgenic plants. 의료용 단백질로 중요한 인체 혈관 내피세포 유래 t-PA를 알팔 파 식물체를 이용하여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식물체에서 발현된 t-PA는 동물세포에서 생산된 t-PA와 동등한 시험관 내의 인 공 혈전 용해 활성 및 생화학적 특성에서 유사함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체에서 발현되는 t-PA 단백질의 알팔파 코돈 이용에 최적화된 합성 유전자이용 양적 증대, 소포체에 표적에 따 른 발현양 증대, 6개의 histidine의 부착에 따른 정제의 효율성을 고 려하였고 두 종류의 프로모터 (CaMV 35S와 알팔파 Rbcsk-1A)를 이용하여 t-PA 및 파생 단백질들의 발현 효율을 비교 확인하고자 6가지의 식물발현 벡터를 제작하였다. 0.3%의 제초제 살포 후에 저항성을 갖는 알팔파 식물체들의 t-PA 유전자 및 파생 유전자의 genomic DNA내의 삽입 유무는 PCR법을 활용하여 t-PA, 파생 유전 자 및 합성 유전자의 크기에 해당하는 1.6 kb의 PCR 산물을 확인 할 수 있었다. 6가지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알팔파 잎 추출물에서 전체 수용성 단백질내의 t-PA 및 파생 단백질의 평균 발현양은 9.7-39.5 μg/TSP (mg)로 측정되었다. 이중 p221a-t-PAER 발현벡터 로 형질전환된 알팔파의 잎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75.1 μg/TSP (mg)의 발현양을 나타났다. 알팔파 잎에 발현된 재조합 t-PA 분자 량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t-PA와 동일한 68 kDa으로 확인되었다. 형질전환된 알팔파 잎 추출물들의 평균 피브린 용해활성은 3.2-8.1 cm를 나타내었다. 또한 t-PA 및 그의 파생 단백질을 발현하는 알팔 파 식물체는 야생종 알팔파와 비교했을 때 성장에 있어서 별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