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스트레스와 교사의 직무만족 및 학생의 학교생활만족 간의 관계

        박현진(Park, Hyeonjin),고현국(Ko, Hyunkook),장영수(Jang, Youngsu),정진욱(Jung, Jinwook),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이 시작된 지 1년이 지난 시점에서 교육의 주요 주체인 교사와 학생이 코로나19로부터 스트레스를 얼마나 받고 있는지 알아보고,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와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1년 5월 9일부터 14일까지 초등교사 75명, 초등학생 22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 교사 직무만족, 학생 학교생활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이 느끼는 코로나19 스트레스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로 인한 어려움이 코로나19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교사에서 더 컸다. 둘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교사의 직무만족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 요인들 각각에 대해 분석하였을 때 발전성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업무부담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사이에는 낮은 수준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초등학생보다 코로나19 스트레스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으므로 교사의 업무 고충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정책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초등교사에게 코로나19 상황은 스트레스로 다가오지만, 그들은 그것을 성장의 발판으로 삼고 자기 계발 및 대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새로운 형태로 학교생활에 적응해 나가고 있으므로, 학교와 교사는 학생들의 긍정적인 심리 요인을 유지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OVID-19 str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OVID-19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This study will als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se subjects completed a 5-point scale online questionnaire. All 75 teacher questionnaires and all 222 student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full with no exceptions, and the responses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COVID-19 stress felt by teachers an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degree to which fear of infection and difficulties of social distancing affect COVID-19 stress, in particular, was greater in teacher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However, when analyzing each of the sub-factors of teacher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pportunities for advancement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orkload. Last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COVID-19 stress more so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a specific solution to teacher’s work grievances should be prepared as a policy. Second, the COVID-19 situation comes as a stres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ever, they are using said stress as a stepping stone for growth and making efforts for self-development whilst preparing countermeasures for future COVID-19-related obstacles.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adjusting to school life in a new form despite the COVID-19 situation, so schools and teachers should guide students to maintain a positive mindset.

      • KCI등재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박현진(Hyeonjin Park),고현국(Hyunkook Ko),권동택(Dongtaik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는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 공식 문서에 기재된 이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생태전환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은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atic literature review)이다. 자료 검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이루어졌고 학술지에 등재된 학술논문이 수집되었다. 문헌 선정 기준은 일반교육 범주에서 생태전환교육을 다루고 있는 연구이고, 눈덩이 표집(snow balling) 전략을 사용해 배제되는 논문이 없도록 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 내용은 자체 제작한 코딩 표에 정리하여 코딩 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는 1990년대 말부터 2020년대 초까지 꾸준히 진행되어왔으며, 시기마다 ‘홀리스틱 교육’, ‘지속가능성 교육’ 등 연구의 중점이 조금씩 달랐다. 둘째,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는 중등교육보다 유아교육이나 초등교육에서 상대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었고, 학교 간 연계 연구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는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보다 문헌 연구 방법으로 많이 진행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생태전환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2020년대 이후 발간⋅출판되는 연구 동향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고, ‘지속가능’, ‘변화’, ‘변혁’ 등 대체 주제어를 사용하여 문헌 고찰을 수행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연구 시기와 대상, 연구 방법 기준이 아닌 다른 기준이나 변수를 설정하여 생태전환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다. Objectives Sinc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as used in official documen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the term are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was set with the purpose of systematically identifying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deriving educational implication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Data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of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The literature selection criterion was whether it deals with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general education category, and a snowballing strategy was used to ensure that no papers were excluded. The final selected literature contents were organized in a self-made coding table,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by comparing coding valu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has been steadily progressing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20s, and the focus of research was slightly different for each period, such as ‘holistic education’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Second, studie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relatively more activ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elementary education than in secondary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n linkage between school levels. Third, studie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ere conducted mor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than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studie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derived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it. Second, based on this study,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by focusing on studie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published after the 2020s. Third,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to review literature using alternative keywords such as ‘sustainability’, ‘change’, and ‘transformation’. Fourth, follow-up studies can be conduct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to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by setting new standards or variables.

      • KCI등재

        원격수업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역할 중요도-실행도 분석

        정진욱(Jung, Jinwook),장영수(Jang, Yongsu),유명희(Ryu, Myounghee),고현국(Ko, Hyunkook),박현진(Park, Hyeonji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and conditions of remote learning unprecedented executed by Covid-19. For this, a survey was done by 386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king the importance of a teacher on remote learning. The survey was progressed t-test and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actice to identify the feature of participants through SPSS 19.0 statistic analysis program, differences and importance according to background and implement vari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the implementation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in remote learning.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and teaching career, working areas, and grades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hird, significant roles are focused on learning environments, facilitating interactions, and designing instructions with the efforts to be improved. Some roles of lower order of priority were academic counseling and evaluation, while providing academic information was confirmed as the one that overexertion needs to be rejected.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하여 전례 없이 전면 실시된 원격수업의 운영 실태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5월 20일부터 6월 10일까지 초등학교 교사 386명을 대상으로 원격수업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역할 중요도-실행도를 묻는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는 SPSS 19.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및 중요도, 실행도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t검정 및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원격수업에서 교사역할의 중요도에 비하여 실행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배경변인 중, 연령과 교직경력, 근무지역, 담당 학년의 일부 역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중 지속 유지해야 하는 강점 역할은 학습환경관리자, 상호작용촉진자 역할이었으며, 개선 노력이 집중되어야 하는 역할은 교수설계자 역할이었다. 그리고 낮은 우선순위를 지닌 역할은 학습상담자, 학습평가자 역할이었고, 과잉노력이 지양되어야 하는 역할은 학습정보제공자 역할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