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T 적용 추적성 개선을 위한 시공관리 프로세스 모델

        고태용,임태경,이동은 한국건설관리학회 201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0 No.1

        ICT를 적용한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건설 생산 프로세스를 시각정보모델로 정의하여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해당 프로세스 상에서 ICT가 담당(혹은 실행)하는 작업의 내용 및 절차를 이해할 수 있어야한다. 기존 IDEF0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보 시스템 등을 시각화 및 분석하는 대표적 모델링 방법이다. 반면, 조직(혹은 기업)이 수행하는 작업들에 대해서만 표현할 뿐 프로세스 상의 ICT가 적용되는 작업들 간의 순서, 정보전달 및 실행 방법에 대한 구체적 설계기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ICT 적용 추적가능성을 향상시킨 업무 모델링(IAMB) 기법을 개발하여, 업무프로세스에 적용되는 ICT의 특징을 명확하게 인식 및 정의할 수 있는 체제를 제공한다. IAMB 모델은 관리, 시공, 정보 등 3개 부분으로 구분되며, 육하원칙에 의거 누가, 언제, 어떤 ICT기법을 적용하여, 어떤 순서로 프로세스 정보를 처리하는지 규명하게 한다.

      • KCI등재

        시공단계 ICT 도입 효과분석 및 최적화 방안

        고태용,김율희,이동은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9 No.2

        This paper presents a modeling prototype that optimizes construction processes implementing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ICT). Using "IAMB", each and every actual steps of the construction process may bedefined visually and explicitly by elaborating ICT to improve productivity and management efficiency. It contributes toidentify the features on what parts of construction task are covered by ICT, and the effects of ICT on processperformance. After analyzing 10 real project cases, ICT application type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to ICT type, job functions that ICT applied, and the project phase in which ICT used. As a reuslt, it was confirmedthat the positive outcomes on the construction process were beneficial to mostly the general contractors and mainlyobtained by automated information processing, external consignment and consistent information use. Negative effects,which were occurred by mainly manual manipulation and duplication of information handling, were accrued to generalcontractors minimally, but to subcontractors maximally. Expert focus group commends that several important issuesshould be considered when implementing ICT. 본 연구는 시공 및 관리 프로세스의 생산성 및 효율성향상을 위해 ICT를 적용한 실제 프로세스 사례들을“IAMB”모델링 기법으로 명시하여, 시공업무의 어떤 단계를 ICT가 대체하며 ICT 도입 특징 및 ICT 도입이 업무 프로세스에 끼친 결과를 분석하였다. 10가지 실제 사례를 분석한 결과, ICT 도입 특징은 ICT의 종류, ICT에 관계하는 주체, ICT가 적용되는 단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을 분석한 결과, 업무 프로세스에 끼친 긍정적 효과는 주로 정보처리업무의 자동화, 외부위탁 및 일관성 있는 정보취급이었으며, 그 대상은 대부분 원청업체로 규명되었다. 반대로 부정적 결과는 주로 정보의 입력및 집계 등에 대한 수작업 및 이중 작업의 발생으로 인한번거로움이었고, 그 대상은 간헐적으로 원청업자 및 빈번히 하청업자가 분포되었다. 정보처리업무의 외부위탁 등으로 주로 원청업체가 긍정적 효과를 수혜하는 반면, 하청업체는 비용과 번거로움을 편무적으로 부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시공업무에 ICT 도입 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첫째, ICT 적용 패키지를 명시적으로 정의할 필요성. 둘째, 비용 등에 관해서 ICT 적용 시 주 수혜자인원청업자가 정당하게 비용을 부담하는 것을 명시하는 것의필요성. 셋째, ICT의 실행기능을 향상시켜, 실제 편익을극대화하여 부담을 상쇄할 필요성. 넷째, 업무 프로세스에서 일관성 있는 정보활용의 필요성 등이 제기되었다.

      • 복숭아순나방 먹이트랩 활용을 위한 천연식물 효과 검증

        전우영,고태용,정병진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최근 지속가능한 농업을 모태로 한 친환경농업(무농약·유기농)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증대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해충 방제를 위하여 제충국제등의 독성물질을 무작위로 사용함으로 해충은 물론 천적까지 그 수가 감소하고 있다. 유 기농의 4대 원칙 중 생태의 원칙에 모순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외 부투입에 의한 무작위적인 해충방제에서 천적을 활용할 수 있는 지역순환에 기초 한 물리적 방제의 일환으로 먹이트랩을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농업을 구현하고자, 농가에서 자체제작이 가능한 먹이트랩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게 되었다. 트랩의 외부 골격은 펫트병을 활용하였고, 충진 내용물은 황설탕 : 물 = 1:3과 열 대과일 카다멈(소두구)을 12~15개를 투입하여 먹이트랩을 만들었고, 실험사과원 은 예천군 감천면 벌방리 149번지외 4개필지에 효과검증을 위하여 1차로 10a에 자 체제작 먹이트랩 10개를 4월 1일에 설치하여, 10일 후에 전체 포획수를 조사하였 고, 2차로 4월 11일에 10개를 설치하여 10일 후에 전체 포획수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1차 설치구는 복숭아 순나방 54마리가, 2차 설치구에는 복숭아 순나방 20마 리가 포획이 되었고, 먹이트랩의 암컷 비율은 36~66%이고, 복숭아순나방 포획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이 되며, 복숭아 순나방외 사과에 직접피해를 주는 풍뎅이 등도 포획됨으로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판명 되었다. 다만, 위 실험결과의 효과극대화를 위하여 교미교란제 설치와 병용하여 사용한 다면, 무농약·유기농 농가에서의 무분별한 독성있는 천연자재의 살포를 경감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천적의 생태순환을 보호함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실현에 이바지 할 것으로 사료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이대용,류동희,김인환,고태용 한국취업진로학회 2011 취업진로연구 Vol.1 No.2

        대학 졸업생의 극심한 취업난과 진로지도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대학 재학생들의 진로의식을 알아보기 위한 이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진로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 식정도를 분석하고자, 지방에 소재한 4년제 국립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 한 4개 지방 국립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 답을 제외한 74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진로의식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에 대한 결정 수준은 69.6%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은 남학생들에게서 진로를 결정한 비율이 높았고, 진로결 정 여부와 상관없이 ‘전공 분야의 기업’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 시기를 묻는 질문에 3학년 때 진로를 결정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직업 선택 시 적성과 흥미(46.1%)가 가장 중요한 결정 기준으로 나타났고, 본격적으로 취업 준비를 시작한 시기는 3학년 때(33.9%), 4학년 때(33.6%)였으며, 전공 이외에 취업을 위해 주력하고 있는 분야에 대한 질문에 어학능력이 38.1%, 자격증 취득이 26.2%, 다양한 경력 획득이 20.8%로 나타나 주로 스펙 위주 의 취업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문제에 대한 상담 경험을 묻는 질문에 59.9%가 ‘없다’고 응답하여 진로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다양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진로(취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 67.2%가 참여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 (취업) 프로그램의 참여 효과와 필요성에 대한 다양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며, 향후 참가를 희망하는 진로(취업)관련 프로그램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면접 등 취업스킬교육(22.4%), 경 력개발관련 교육(20.4%), 동기부여 및 자신감 향상 과정(19.6%), 어학교육(17.2%), 업종 및 직무관련 교육(16.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3~4학년이 되어서 진로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성과 흥미를 고 려하여 진로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 결정 시기가 늦어지게 되면서 소위 스펙 중심의 취업준비 활동에 많은 제한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기에 자신의 진로에 관심을 가지고 정보 를 수집하여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1~2학년 시기의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무엇보다 절실한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직업과 직무를 설정하고 이를 체험해 보도록 함으로써 보다 만족 스러운 진로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활용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학생들은 직업관련 심리결과를 진로상담과 연계시키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이를 기초로 개개인의 진로방향과 수준에 맞는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현재 취업관련 업체들을 중심으로 제시되는 획일적이고 일회성 중심의 진로교육의 단점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 내 취 업관련 부서의 교육 및 상담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전문 인력을 의무적으로 확보하도록 강제화 해야 한 다. 취업을 포함한 진로문제는 대학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잣대가 결코 아니다. 취업을 성공과 실패의 관 점이 아닌 개인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근원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신의 이상과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직업을 찾도록 보다 많은 경험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을 개발하고 제공하 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reer consciousness and the recognition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s in local national university, focusing career decisions, the grade of career decision, career consulting experiences, experiences about career aptitude tests, number of participants in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major, student grades, and gender. The sample consist of 740 survey data drawn from local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in located in Young-nam and Ho-nam area. The data are analyzed by statical package, SPSS 19.0 for windows. To test Frequence analysis,  analysis a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we can see that the quality of career decisions made by students is high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aptitude and interest when they make career decisions. And the grade of career decisions is junior and senior mostly. So they need to make career decision and have various career development program early stage of collage. Therefore, it must be placed on the motivation and encouragement of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Many students have experience of career aptitude tests. But it seems to be lack of efforts to explore career information and have consulting with career professionals consistently. Career education should work in balance with major courses studied by students to enable the optimum career path choice and perhaps, more importantly, career security for students after graduation. Career indecision(female 34.4%, male 26.5%), lack of career information(female 25.9%, male 19.9%), lack of career preparation(female 28.5%, male 16.3%) appear to have more difficulties for female than male.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career program and training for girls. Finally, lack of preparation for employment is 34.1% and no preparation for employment is 9.3%.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al counseling and various program of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