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해 제 3광구 1724 측선 탄성파자료의 중합전 심도 구조보정

        고진석,장성형,김영완 한국자원공학회 200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6 No.5

        For prestack depth migration, we need high performance computers and parallelizing technique. Split-Step-Fourier (SSF) is one of the useful methods for migration, since it has less computing time. In addition, SSF has intrinsically parallelizing characteristic. We conducted conventional data processing to line 1724 seismic data of the Block 3 in the Yellow Sea and applied prestack depth migration using SSF parallelized by Message-Passing-Interface_Local-Area-Multicomputers (MPI_LAM). We estimated a velocity model from interval velocities which were obtained from stack velocities. The geological model is 15 km × 4 km with a grid size 10 m × 10 m. When we extrapolated wavefields to the shot gathers, 1st and 2nd phase shift were conducted at each computing node after distributing shot gathers to each computing node. The results of wavefield extrapolation are sent to a master node. Finally, we get a subsurface image in depth domain after summation of each single image gather. The result image shows shallow sediment stratigraphic structures around 600 m depth and small scale syncline below central part (8 km, 1 km). 탄성파 반사자료에 중합전 심도 구조보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터와 병렬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Split-Step-Fourier(SSF)법은 적은 계산량으로 구조적으로 병렬화가 용이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구조보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국내 대륙붕 황해 제 3광구 탄성파자료 1724 측선에 대해 일반 자료처리와 함께 Message-Passing-Interface_Local-Area-Multicomputers(MPI_LAM)으로 병렬 코드화된 SSF를 이용하여 중합전 심도 구조보정을 적용하였다. 구조보정에 필요한 속도모델은 중합속도로부터 구한 구간속도를 이용하였으며 속도모델의 크기는 15 km × 4 km, 격자간격은 10 m × 10 m로 하였다. SSF 중합전 구조보정에서 음원 모음도에 대한 파동장 외삽을 실시할 때 1차 및 2차 위상이동을 모든 계산노드에 분산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마스터 노드에서 취합하여 각 음원 모음도에 대한 영상을 모두 합하여 심도영역 지층 단면도를 제작하였다. 구조보정 결과 심도 600 m 전후에 천부 퇴적 층서구조와 중앙하부(8 km, 1 km) 전후에 소규모 향사구조가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지하매설물 탐지를 위한 GPR탐사 자료처리 연구

        고진석,모상칠 조선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3 生産技術硏究 Vol.25 No.2

        GPR exploration is widely used for the application to various fields. Thus, the factors which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GPR response to different subsurface conditions must be understood. A controlled test site was constructed to study the factors. Artificial barriers were buried containing irregular-sized pipes. We treated the data in several ways to find out a better method for processing the data from the site.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proper frequency selection and data processing were necessary for successful analyses.

      • KCI등재

        영교차율과 가우시안 혼합모델을 이용한 박막증착장비의 세라믹 히터 결함 검출

        고진석,임재열,무향빈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13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12 No.2

        Temperature is a critical parameter in yield improvement for wafer manufacturing. In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equipment, crack defect in ceramic heater leads to yield reduction, however, there is no suitable ceramic heater fault detection system for conventional CVD equipment. This paper proposes a short-time zero-crossing rate based fault detection method for the ceramic heater in CVD equipment. The proposed method measures the output signal (Vpp) of RF filter and extracts the zero-crossing rate (ZCR) as feature vector. The extracted feature vectors have a discriminant power and Gaussian mixture model (GMM) based fault detection method can detect fault in ceramic heater. Experimental results, carried out by measured signals provided by a CVD equipment manufacturer,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detects effectively faults in various process conditions.

      • KCI등재
      • 2次元 水平面地層構造의 屈折走時에서 深度計算 比較

        高進碩 조선대학교 동력자원연구소 1989 動力資源硏究所誌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compares two methods of calculating depth where the subsurface consists of a series of horizontal layers with velocities V_0<V_1<V_2. Equations are derived for calculating depth from cross over distances of the various segments of the time-distance graph. Models are worked out to show that the error in calculated depth due to neglecting the weathered layer is less where the cross over distance method is used instead of the intercept-time method.

      • KCI등재

        전기비저항 탐사를 이용한 가축사체 매몰지 특성 분석

        고진석,박천영,김봉주,최낙철,김성배,박정안 대한지질공학회 2013 지질공학 Vol.22 No.4

        In this study, an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nd a drilling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at an animal carcass disposal site. Chemical analysis of leachate collected from the site was also performed (sampling times: May 2011 and June 2012). Five lines of dipole?dipol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re carried out, along with drilling investigations at 3 points within the disposal areas and 11 points near the disposal site. Two-dimensional inverse modeling of the collected resistivity data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operties (size, depth, and form) of the disposal site. Leachate analysis showed that pH of leachate decreased from 7.4 to 6.7, while Eh changed from -358mV to -48mV over time. In addition, dissolved ions increased due to the progression of carcass decomposition. Results of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ndicated that low resistivity zones (minimum value, 0.64Ωm) existed at a depth of 8 m from the surface. Considering the bedrock location and carcass disposal depth, there was no evidence of bedrock contamination by leachate. The results of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drilling investigation, which indicates that electrical resistivity effectively depicted the properties of the disposal sit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s a suitable technique for investigation of animal carcass disposal sites. 가축사체 매몰지로부터 유출되는 침출수는 환경적으로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고농도 오염폐수의 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가축사체 매몰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 탐사와 함께 시추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가축사체 매몰지에서 샘플링한 침출수의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몰지 내부에서 5측선의 쌍극자 전기비저항 탐사와 3지점의 시추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매몰지 주변의 11지점에서 시추조사를 수행하였다. 전기 비저항 탐사에 의하여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2차원 역산 모델링을 수행하여 매몰지의 특성(크기, 심도, 형태 등)을 평가하였다. 침출수 분석결과, pH는 7.4에서 6.7로 감소하였고, Eh는 –358 mV에서 –48mV로 변화하였다. 또한, 가축사체 부패에 의하여 용존 이온이 증가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 자료의 해석결과, 지표에서 심도 8 m 이내에서 최소 0.64 Ωm의 낮은 비저항값을 가지는 영역이 나타났다. 이 지역의 기반암 위치와 가축사체의 매립 깊이를 고려할 때, 매립지 내부에서는 침출수에 의한 기반암의 오염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비저항 탐사의 결과는 시추조사의 결과와 잘일치 하였으며, 이는 전기비저항 탐사가 가축매몰지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묘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전기비저항 탐사가 가축사체 매몰지의 현황을 조사하는데 적합한 기술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