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국어과 듣기 말하기 영역 성취기준의 수행수준

        고진복 ( Jin Bok K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학생의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어과 듣기 및 말하기 영역의 수행수준의 실태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국어과 듣기 및 말하기 영역의 학년군별 수행수준과 성취기준별 수행수준이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신지체 특수학교 2곳의 초등학생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를 직접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게 학생들의 수행수준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학생의 듣기와 말하기의 수행수준은 학년군이 올라감에 따라 수행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학년군의 수행수준을 살펴보면, 수행이 곤란한 학생이 10%∼20% 이하인 반면, 3-4 학년군과 5-6 학년군은 1-2 학년군 보다 수행이 곤란한 학생의 비율이 높고 학년군 내의 수행수준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수행수준을 비교하여 보면, 학년군이 올라감에 따라 말하기가 듣기보다 낮은 수행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교육과정에 제시된 각 학년군별 성취기준의 위계와 수행수준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듣기와 말하기 영역의 성취기준별 수행수준을 살펴보면, 같은 학년군의 중핵요소에 제시된 성취기준 간 수행수준 차이보다 하나의 중핵요소에 제시된 성취기준 간 수행수준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각 학년군 간 성취기준 수행수준과도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performance level of Korean language art listening and speaking area in 2011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students at the mental retardation special elementary school. Following this study purpose, the study selected ``how are the performance level by grades and performance level by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art listening and speaking area are?`` as a study problem. To solve this study problem, author let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of instructing 126 students from 2 mental retardation special elementary schools evaluate their performance level by use of questionnaire. The summary of study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level of listening and speaking of students at the mental retardation special elementary school became low as their grade increased. Looking into the performance level of first-second grade students, while the students who had trouble in performing were under 10%∼20%, the rate of third-fourth grade and fifth-sixth grade students having trouble in performance was higher than one of first-second grade students and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level in the grade appeared big. Second, comparing the performance level of listening and speaking area, the more they rose to upper grade, the lower the performance level of speaking appeared than listening. As well, it was shown that the hierarchy and performance level of achievement standard by each grades suggested in curriculum did not conform. Third, looking into the performance level by achievement standards of listening and speaking area,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level among achievement standards suggested in one core element appeared bigger than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level among achievement standards suggested in the core element of the same grade. As well, there were many differences from the achievement standard performance level among each grade.

      • KCI등재

        KIDS VOICE를 활용한 AAC 중재가 뇌성마비아동의 어휘표현에 미치는 효과

        고진복(Jin-Bok Koh),전병운(Byung-Un J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구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초등부 뇌성마비 학생 3명을 대상으로 다이나믹 디스플레이(Dynamic Display), 음성합성 그리고 음성출력 지원 의사소통 프로그램인 키즈보이스(KIDS VOICE)키즈보이스(KIDS VOICE) : 정보통신문화진흥원, 국립특수교육원의 연구사업 지원으로 이화여대 특수교육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AIST, (주)유비큐 및 본 연구자가 참여하여 개발한 국내 최초 하이테크 AAC 프로그램. 사용훈련을 실시하였다. 키즈보이스를 활용한 중재는 다이나믹 디스플레이기능을 통해 그림상징과 문자를 동시에 제공하며 상징 배열을 바꾸지 않고 어휘 확장이 가능하다. 또 음성합성을 통해 문자를 전자적 음성으로 합성하여 음성출력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키즈보이스를 가게 놀이, 장난감 놀이, 간식 놀이 활동 중심으로 중재에 활용한 연구 결과, 대상 학생의 어휘 표현의 길이가 핵심어휘 1개를 표현하는 수준에서 3개의 어휘를 조합하는 수준으로 증가 되었다. 또 어휘표현의 적절성은 어휘 습득에 따라 매 회기마다 제공되는 기회에 적절한 어휘 표현이 점차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모든 대상 학생들의 어순의 적절성 표현은 어순이 발생하는 두개의 어휘 표현이 나타나는 시점에서 점차적으로 나타나다가 3개의 어휘 표현이 나타나는 중재 후반부에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재를 통해 습득된 어휘 확장 표현, 어휘표현의 적절성, 표현된 어순의 적절성이 중재단계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공작놀이 활동에서도 일반화 되었으며, 중재가 종료된 3주 이후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도 유지되었다. As cerebral palsy children generally cannot interact effectively and are only able to partially communicate, they require a vehicle of communication based on functional language, used by normal speakers, in order to express their basic thinking and needs, join activities, and interact with persons living in a place or belonging to a group. To solve the problem of a vehicle based on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to develop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ids for use in schools, basic systematic research is needed to ensure educational achievement through communication interven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using KIDS VOICE along with Dynamic Display, voice-synthesis and voice output can ensure nonverbal, cerebral palsy, linguistic expression independently and functionally. From the review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The word expression range of all child subjects was increased by AAC intervention using KIDS VOICE along with Dynamic Display, voice-synthesis and voice output; (2) The word expression adjustment was accomplished by AAC intervention using KIDS VOICE along with Dynamic Display, voice-synthesis and voice output; (3) The word expression range and word expression adjustment were generalized at other places by AAC intervention using KIDS VOICE along with Dynamic Display, voice-synthesis and voice output; (4) The word expression range and word expression adjustment by AAC intervention using KIDS VOICE along with Dynamic Display, voice-synthesis and voice output were maintained until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 KCI등재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학생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쓰기 영역의 수행수준 실태

        고진복 ( Jin Bok Koh ),전병운 ( Byun Gun Je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학생의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및 쓰기 영역의 수행수준의 실태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국어과 읽기 및 쓰기 영역의 학년군별 수행수준과 성취기준별 수행수준이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신지체 특수학교 7곳의 초등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학생의 읽기와 쓰기성취기준의 수행수준은 학년군이 올라감에 따라 수행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와 쓰기 영역의 수행수준을 비교하여 보면, 학년군이 올라감에 따라 쓰기가 읽기보다 낮은 수행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같은 학년군의 중핵요소에 제시된 성취기준 간 수행수준의 차이가 크고, 하나의 중핵요소에 제시된 성취기준 간 수행수준의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이 어려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초등학교 보다 어려운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중도·중복 장애 학생들이 많은 특수학교에서 교육과정의 적용이 어려울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고려한 교육과정 운영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al state of performance level shown in reading and writing areas in language art of 2011`s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students in mentally retarded elementary special school.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o investigate propriety of the level of performance according to each. grade reading and writing areas in language art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shown in each accomplishment standards and implemented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27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7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erformance of the students in mentally retarded elementary special school at the accomplishment standards in reading and writing areas grew lower as students advance the school. Second, when compared with the level of performance in reading and writing area, the writing level of the performance showed lower than the reading level of the performance as the grade grew higher. Third, looking into the performance level of accomplishment standards in reading and writing areas,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level between accomplishment standards in the core element of the same grade group were great, and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level were great between the accomplishment standards in the same core elemen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redicted that the application of language art in 2011`s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school would have difficulties. As well, the application of curriculum might be difficult in midd many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refore, through any review as to the actual accomplishment standards of the students attending in a special school, qualification alternative for operating curriculum might be necessary.

      • KCI등재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진복 ( Jin Bok Koh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2 No.4

        이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을 위하여 문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이야기 중재에 활용하였다.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는 문자를 해득한 뇌성마비 학생들이 읽기와 쓰기 같은 문해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학습 도구로써의 기능과 의사표현을 위한 수단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의사소통 보조기기의 고유한 기능에 한정되어 있었던 것과는 차별화된다. 이러한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는 뇌성마비 학생의 언어와 문해 학습을 위해 자연적인 맥락을 제공하는 이야기 읽기와 다시 말하기 방법으로 뇌성마비 학생 3명에게 적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를 통해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력(사실적 이해, 문맥적 이해, 빠진 정보 추론적 이해)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야기 표현(C-unit, 어절 수)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를 통해 향상된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이 중재가 종료되어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uggested a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the Speech Generation Program(SGP) designed to help student with cerebral palsy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nd story-telling ability.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ment of an AAC system and application of the story-telling instruction to improve student with cerebral palsy`s literacy ability and linguistic expression. It is expected that the SGD developed by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instrument corresponding to student with cerebral palsy`s and teachers` needs, and therefore, that it would conduce to improvement of the literacy and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 with cerebral palsy. Furthermore, the program can be adapted to student with cerebral palsy because it provides for reading comprehension and story-retelling methods conducive to their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contexts essential within their language and literac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AC intervention using the SGP on student with cerebral palsy reading and expressions, this study used the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e participants.

      • KCI등재

        특수교육보조원의 초기 경험: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탐색적 서술 연구

        고진복 ( Jin Bok K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들이 특수학교에 적응하기까지의 경험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실체이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징적상호주의 인식론 관점에 기반을 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특수교육보조원의 경험에서 나타난 개념의 범주는 무엇인가? 특수교육보조원이 겪은 경험의 중심현상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를 야기한 것은 무엇인가? 이것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중재적 조건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결과는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수교육보조원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특수교육보조원 경험의 개념은 모두 136개이며, 35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고, 20개의 범주로 통합되었다. 또한, 특수학교에서 특수교육보조원이 경험하는 갈등이라는 핵심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핵심범주의 중심현상이 ``소극적 의사소통``, ``수동적 행동``, ``표면적 관계의 형성``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experiences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have from the position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pplying Grounded theory. Specifically, what is category of concept appeared in th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ho work in Special school for physical disability?; What is central phenomenon of experiences which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had?; And what is the cause for the phenomenon?; What is the strategy to overcome this phenomenon?; What is contextual and interventional condition which affects the strategy?; And to explore what this results mean. As the results of analyzing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concept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experiences are all 136 in number, the concepts were classified to 35 sub-categories, and integrated to 20 categories. Also, as the core category, conflict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orking in Special school for physical disability could be found. It was also known that central phenomenon of such a core category are ``passive communication``, passive behavior``, ``formation of superficial relationship``.

      • SCOPUSKCI등재

        오리기름이 성숙쥐의 혈청 및 장기의 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고진복(Jin-Bog Koh),정복미(Bok-Mi Jung),김재영(Jai-Young Kim),노민희(Min-Hee R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6

        본 연구는 오리고기로 부터 추출한 오리기름을 사용하여 성숙(52주령)된 흰쥐의 혈청과 장기의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대조군으로 식물성 유지인 대두유군, 동물성 유지인 오리기름군, 오리기름에 1% 콜레스테롤을 첨가한군 등 3군으로 나누어 각각 8주간 사육한 후 각군의 혈청과 장기의 지질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오리기름군, 오리기름에 1%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인지질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과 오리기름군에 비하여 오리기름에 1%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HDL-콜레스테롤함량은 유의하게 낮았다(p<0.05). HDL-cholesterol/Total-cholesterol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오리기름군과 오리기름에 1%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군이 각각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오리기름에 1%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군이 더 낮게 나타났다(p<0.05). 장기의 지질 함량에서 간의 총 지질, 중성지질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과 오리기름군에 비하여 오리기름에 1%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대조군과 오리기름군은 차이가 없었고, 인지질 함량은 세군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오리기름의 혈청과 간의 중성지질은 대두유에 비하여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두유군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오리그림에 1% 콜레스테롤을 첨가군에서는 hypercholesterolemic 개선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lipid component of serum and organ in matured rats fed oil extract from duck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595g(52-week-old)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fed experimental diets for 8 weeks. Rats were fed soybean oil(control group) diet, duck oil (DO group) diet and duck oil supplemented with 1% cholesterol(DOC group) diet.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DO and DOC groups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Serum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OC group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while serum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DOC group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Hepatic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DOC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These studies indicate that the duck oil decreases the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shows almost sam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compared to the soybean oil supplemented group in serum and liver. But hypercholesterolemic effect of duck oil was not improved.

      • SCOPUSKCI등재

        飮水中 銅의 水準에 따른 흰쥐臟器內 銅, 鐵 및 亞鉛의 濃度에 미치는 영향

        고진복(Jin-Bog Koh),정복미(Bok-Mi Jeung),김재영(Jae-Young Kim),최도점(Do-Jeom Choi),양차범(Cha-Bum Y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6 No.2

        The effects of various levels of copper(Cu) intake on the concentrations of copper, iron (Fe) and zinc(Zn) in rat tissues were studied in growing rats. For different groups the drinking water was supplemented with O(control). 25. 50. 100 and 200ppm Cu(as copper sulphate) for 1 day respectively. All animal groups were fed with the control diet (Cu contents, 12.8r㎎/㎏ diet) during the experiment.<br/> At the end of the 4 week experiment, body weight gain was slightly lower in the Cu supply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Liver and serum Cu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50, 100 and 200ppm Cu of male and in 200ppm Cu of female than in control groups. Spleen Cu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supplementation of Cu.<br/> Liver and heart Fe of male and heart Fe of female were increased by incresing supplementary Cu levels. In 50ppm Cu group, liver, spleen and kidney Fe of female increased but the others did not. Fe of tissues was different in male and female rats according to Cu levels supplied.<br/> Serum Zn of male and fem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50, 100 and 200ppm Cu groups than in control and 25ppm Cu groups. When supplemented with Cu leve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for liver, kidney, spleen and heart Zn as well as heart and kidney Cu.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알콜섭취가 성장기 닭의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고진복(Jin-Bog Koh),오형근(Hyong-Kun Oh),정복미(Bok-Mi Jung),김재영(Jae-Young Kim),고영두(Young-Du K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7 No.4

        알콜이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숫병아리를 사용하여 대조군, 음료수에 1, 2 및 3% 알콜첨가군 등 4군으로 나누어 7주간 사육하였다.<br/> 알콜섭취에 따른 결과는 체중은 1% 알콜군이 가장 증가되었고, 간중량은 3% 알콜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br/> 적혈구수, hemoglobin, hematocrit 및 혈청단백질 농도는 알콜섭취에 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중 GOT 및 γ-GTP 활성은 2 및 3% 알콜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GPT 활성은 알콜섭취군들이 다소 감소되는 경향이었다.<br/> 혈청중 LDH 활성은 알콜섭취군들에서 유의한 차이는 아니나 증가되었으며,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대조군과 알콜군이 비슷한 경향이었다. 포도당 농도는 3% 알콜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ixtures of 0(control), 1, 2 and 3% ethanol and water respectively on growth and various blood parameters of growing broiler chicks. At the end of the 7 weeks’ experiment, body weight gain in 1% ethanol group and liver weight in 3% ethano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red blood cell, hemoglobin, hematocrit, and serum protein were within normal ranges.<br/> Serum GOT and r-GTP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2 and 3% ethanol groups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 group. But serum GPT activity was slightly decreased in all ethanol groups. Serum LDH activity was increased in all ethanol groups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group. Serum alkaline phosphatase was not affected by the ethanol. Serum glucose concentration in 3% ethano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 SCOPUSKCI등재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에서 단백질 섭취수준이 단백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고진복(Jin-Bog Koh),정복미(Bok-Mi J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1 No.4

        에탄올섭취 수준을 5%로 고정하고 식이 단백질의 급여수준을 8%, 16%, 24%로 달리한 흰쥐의 혈액 및 간, 분, 뇨중의 단백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후 15주된 Sprague-Dawley계 숫쥐를 모두 8군으로 나누어 4주 및 10주로 실험기간을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체중증가량, 혈당농도 및 간중 단백질 농도는 에탄올과 단백질섭취 수준에 따른 영향은 없었으며, 장기의 무게는 10주 급식군에서 폐의 경우 대조군과 에탄올 섭취군 (16PE)사이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에탄올 투여 시 단백질 수준이 가장 높은 24PE군에서 유의하게(p<0.05) 증가되었다. 혈청중 총단백질은 10주 급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을 첨가한 16PE, 24PE군에서 유의적으로 (p<0.05) 증가하였으며, 알부민농도는 10주 급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을 첨가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p<0.05) 높았으며 단백질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분과 뇨중 질소대사에서는 에탄올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ethanol and dietary protein levels on protein metabolism in 15-week-old male rats given a normal diet. Rats were divided into 8 groups : control group (16% protein, 16PC) and 8% (8PE), 16% (16PE) and 24% protein groups (24PE) to which was given 5% ethanol mixed into their drinking water after 4 weeks and 10 weeks. Body weight gain, organ weight, serum glucose concentration and liver protein concentrations were not affected by either ethanol or dietary protein levels. Serum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after 10 week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6PE and 24PE group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Serum albumin concentrations after 10 week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he ethanol-administered groups than that of control group. Fecal and urinary nitrogen metabolism were not affected by ethan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