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강도 격일 운동과 매일 운동이 쥐 뒷다리근에 미치는 근 비대 효과 비교

        최명애,고종진,곽현경,백지현,정진영,송연정,안경주 기초간호학회 2011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3 No.1

        장기간의 부동에 의해 전신적으로 최대 산소소모량, 심박출량, 정맥환류, 심근수축력 및 혈액용적이 감소하며 국소적으로 근위축이 초래된다. 부동에 의한 근위축으로 근력이 매일 약 5%씩 저하되고 근용적 및 근지구력의 감소가 동반된다(Kasper, 2003). 또한 활동저하 상태가 되면 근육의 단백질 합성 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근위축이 발생하며 처음 1주일 동안 가장 급격히 나타나고 1-2개월 경과하면 근육 크기가 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근위축은 주로 Type I 근섬유로 구성된 하지의 항중력근에 나타난다(Choe, 1998). 특히 불용성 근위축 과정에서 근섬유 횡단면적과 Type I 근섬유 비율이 모두 감소하므로 Type I 근섬유에 많이 함유된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농도와 활성을 저하시켜 근육의 산화능력을 감소시킨다 (Jakobsson, Borg, Edstrom, & Grimby, 1988).

      • 단위 역률을 갖는 3상 강압형 다이오드 정류기에서 고조파 주입에 의한 DC 리플전압 저감 기법

        최주엽(Ju-Yeop Choi),고종진(Jong-Jin Ko),송중호(Joong-Ho Song),최익(Ick Choy) 전력전자학회 2000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00 No.11

        A technique to suppress the low frequency ripple voltage of the DC output in three phase buck diode rectifiers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pulse frequency modulation methods and duty ratio modulation methods are employed to regulate the output voltage of the buck diode rectifiers and guarantee zero-current -switching(ZCS) of the switch over the wide load range<br/> The proposed control methods used in this paper provide generally good performance such as low THD of the input line current and unity power factor. In addition, control methods can be effectively used to suppress the low frequency ripple voltage appeared in the dc output voltage. The harmonic injection technique illustrates its validity and effectiveness through the simulations.

      • KCI등재

        정형외과 수술에서 정맥 주사를 통한 환자 자가 통증 조절법의 효용성과 조기 중단의 원인

        이봉주(Bong-Ju Lee),이철형(Chul-Hyung Lee),고종진(Jongjin G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1

        목적: 본 연구는 정형외과 수술 후 사용되는 정맥 주사를 통한 환자 자가 통증 조절법(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IV-PCA)의 조기중단 빈도를 구하고, 수술 부위 및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여 조기 중단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0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정형외과 수술 후 IV-PCA를 사용한 2,915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성별, 연령, 흡연 상태, 수술 부위, 수술명, 마취 방법, PCA 사용 시간, 만족도, 부작용, 조기 중단 및 조기 중단 이유를 확인하였다. 정형외과 수술은 대수술과 소수술로 분류되었고 수술 부위는 상지, 하지, 척추로 분류되었다. 조기 중단 사유는 부작용, 환자의 단순거부, 퇴원으로 분류하였다. 단변수 분석을 통해 조기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조기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정도를 확인 하였다. 결과: IV-PCA의 조기 중단률은 6% (상지 8.3 %, 하지 5.7 %)였다. 단변수 분석에서 연령, 수술 부위, 수술 분류, 마취 방법, PCA사용 시간, 만족도 및 부작용이 조기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상지 수술의 조기 중단이 하지 수술보다 높았고(p=0.005, odds ratio [OR]=1.78), 소수술이 대수술보다 높았다(p=0.002, OR=2.029). 하지 수술에서 조기 중단의 가장 흔한 이유는 부작용(71.5%)이고, 상지 수술에서는 환자의 단순 거부(41.7 %)로 확인되었다. 결론: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한 IV-PCA의 조기 중단이 하지 수술보다 상지 수술에서 더 빈번하며, 상지 수술의 경우 환자의 단순거부 또는 퇴원으로 인한 조기중단의 비율이 하지 수술보다 더 높았다. 상지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IV-PCA 외에 더 적절한 신경차단(neuroaxial anesthesia)와 같은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of early cessation of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after orthopedic surgery, and the difference in frequency according to the surgical site and type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early cessation of IVPCA. Materials and Methods: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of 2,915 patients using PCA after orthopedic surgery from October 2018 to February 2020, sex, age, smoking status, surgical site, operation name, anesthesia method, PCA usage time, satisfaction, side effects, early discontinuation and the reason of early discontinuation were assessed. Orthopedic surgery was classified into major surgery and minor surgery, and the surgical site was classified into the upper limb, lower limb, and spine. The reasons for discontinuation were side effects, patient rejection, and discharge. The factors affecting early discontinuation were identified by univariate analysis, and the degree of each factor affecting early discontinuation was confirm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early discontinuation rate of IV-PCA was 6% (upper limb: 8.3%, lower limb: 5.7%). Univariate analysis identified, age, surgical site, surgical classification, anesthesia method, PCA usage time, satisfaction, and side effects as factors affecting early discontinua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arly discontinuation of the upper limb surgery was higher than the lower extremity surgery (p=0.005, odds ratio [OR]=1.78). Moreover, that the early discontinuation of minority surgery was higher than that of major surgery (p=0.002, OR=2.029). The most common reason for early discontinuation in lower extremity surgery is the side effects (71.5%), whereas patient rejection was the major reason in upper limb surgery (41.7%). Conclusion: Early cessation of IV-PCA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was more frequent in upper extremity surgery than lower extremity surgery. The rate of early discontinuation due to simple rejection or discharge of patients was higher in the upper extremity surgery than lower extremity surgery. Therefore, methods such as neuroaxial anesthesia should be considered for pain control after upper limb surgery rather than IV-P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