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특정 에너지의 γ(X)선이 특정원소에 입사할때, 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전자계산
고정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1979 과학교육 Vol.14 No.-
γ선이나 x선이 원소와 상호작용하여 반응을 일으키는 종류에는 크게 absorption 반응과 scattering반응의 두가지가 있다. absorption반응에는 대표적으로 photoelectric effect와 Electron- positronpair production in field of nucleus andelectron이 있고 이외에 photonuclear reaction와 Nucleon- antinucleon pair production이 있다. scattering 반응에는coherent 반응과 incoherent 반응의 두가지가있는데 coherent반응은 Rayleigh scattering반응이 대표적이고 incoherent 반응은compton scattering이 대표적이다. 단편적을 계산하는데 사용된 반응은 대표적반응으로 pnotoelectric effect와 coherentscattering, incoheren scattering 그리고pair production in field of nucleus andelectron 이다. photoelectric effect와 scattering은1 MeV이하에서 McMaster등의 3차 loglog fitting 식을 사용했고 1MeV∼10MeV영역에서는 오차를 없애기 위해 incoherentscatting의 단면적을 Hastings의 실험식을이용하여 계산하고 photoelectric effect 는J·H·Hubbell 의 K 각 광전단면적과 McMaster와 Del Grande에 의한 τpe와 τk의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했다. pair production에서는 핵장에서의 쌍생성의 경우, Born unscreened cross section의 E≤2 MeV, E≥2 MeV영역에서의 두식을 사용했고 전자장에서의 쌍생성은 Borsellino - Ghizzetti 의 전개식과 Mork 보정 및1 %의 일정한 방사보정을 사용하였다. 이리하여 나온 결과는 핵장에서의 쌍생성에서 큰 원자에 1∼4 MeV에너지의 γ선에 대한 단면적의 오차를 초래했다. 이 보정은coulomb보정 및 방사보정을 이용하면 된다. 이렇게 얻어진 실험식들을 전자계산용어로바꾸어 놓은 material은 특정에너지의 γ선이 특정원소에 입사할 때의 단면적 계산을 용이하게 한다.
일개 간호대학교 학생의 감성지능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고정미 한국학교보건학회 2015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8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tress on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burnou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tudy is a cross-sectional survey and the participants were 363 students attending a nursing college locat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emotional intelligence, perceived stress and burnout.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ndings of the multiple regression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effect on stress.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urnout. Third,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effect on burnout and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burnout. Conclusion: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as a way to reduce nursing college students' stress and burnout, programs which help improve nursing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actors Related to Korean Nurses’ Willingness to Report Suspected Elder Abuse
고정미,고진강 한국간호과학회 2012 Asian Nursing Research Vol.6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Korean nurses’ willingness to report suspected elder abuse and examine its related factor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A convenience sample of 365 nurses from a hospital completed our questionnaires.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predictors of willingness to report. Results: Sixty-eight nurses (18.6%) were not willing to report suspected elder abuse. In the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ewer years in clinical work, a higher level of knowledge on elder abuse law, and the perception of more severe abus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willingness to report elder abuse. Conclusion: As the Welfare of the Aged Act included a clause on mandated reporters, nurses’ role in intervening in elder abuse cases has become more critical. In order to increase nurses’ reporting, education on elder abuse should be provided to all nurses, and support programs should be designed for nurses to effectively involve them in reporting elder abuse.
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S OF CHILD SEXUAL ABUSE: VIGNETTE STUDY FINDINGS
고정미,Ko, Chung-Mee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99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0 No.2
This paper is a review of findings from studies that have used vignettes to identify salient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found to influence individuals' perceptions of child sexual abuse. Vignette studies finding avoid to unreliable and biased self-repor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ed that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proces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of factors relates to the details of the abuse situation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sexual act (intrusiveness of the sexual act and the frequency of acts), characteristics of victim (age of victim, the gender of victim and victim resistance), and characteristics of perpetrator (age of perpetrator, gender of perpetrator and the relationship of the perpetrator to the child). The other group of factors focused on in research reflects individuals background variables that affect personal interpretations of the abuse situation. These factors include professional affiliation of the respondent and various other. demographics (e.g., gender of respondents,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paren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the length of experience, etc.), along with respondents own child sexual victimization experiences. Based on theses findings vignette studies have allowed researchers to learn how individuals vary their perceptions of various situational aspects of child sexual abuse situations, and how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s observers may influence these perceptions.
의료처치 및 환자 비밀유지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윤리적 갈등 경험 비교연구
고정미,고진강,Ko, Chungmee,Koh, Chin-Kang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18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1 No.3
Purpose : This study compares experiences of ethical dilemma between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and those in general units under specific situations of treatment decisions and confidentiality. Method :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utilizes the self-report survey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50 and 52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and general units, respectively. The instrument, which consisted of 16 items of ethical dilemma situations about treatment decision and confidentiality, was used. The mean scores for each item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study found no differences in terms of age, gender, education level, clinical experience in years, and being educated on healthcare ethics. For 9 out of 16 items, the mean scores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urses in general units. Conclusions :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experienced ethical dilemmas regarding treatment decisions and confidentiality more often than those in general unit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ethical competence of critical care nurses.
고정미,Ko, Chung-Mee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성폭력의 정의에 대한 한국간호사들의 인식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호교사와 병원간호사 간의 인식의 일치정도를 밝히고, 간호사들이 아동성폭력의 심각도를 판단함에 있어, 아동성폭력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503명의 병원 간호사와 526명의 양호교사를 대상으로 한 vignette디자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동성폭력 상황을 구성하는 일곱 개의 변수 (성폭력 행위 성폭력 빈도, 피해자의 연령, 피해자의 저항, 가해자의 연령, 가해자와 피해자의 교차성별,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의 조합을 통해 64개의 vignettes를 만들었는데, 이는 1/4 factorial 디자인의 결과이다. 각 설문 대상자에 대해 64개의 vignettes가운데 16개의 vignettes를 무작위로 추출하고, 그 vignettes에 나타난 각 성폭력상황들의 심각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양호교사와 병원간호사는 아동성폭력의 심각도 인식에 있어 일치를 나타냈다. 각 상황변수들이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양호교사와 병원간호사 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성폭력 상황을 정의함에 있어서는 근본적인 인식에 일치를 보였다 두 집단 모두에서 성폭력행위 피해자의 저항, 가해자와 피해자의 교차성별, 성폭력 빈도, 가해자의 연령이 아동성폭력 인식에 영향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는 주요 영향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의 연령은 양호교사 집단에서는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병원간호사 집단에서는 별다른 영향이 없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양호교사와 병원간호사는 잠재되어 있는 아동성폭력의 심각도에 대해 동일하게 판단한다. 본 연구결과는 법적, 전문가적 의미에서 아동성폭력 신고자로서의 의무를 지닌 한국간호사들의 아동성폭력에 대한 인식일치가, 그 역할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근무하는 어느 지적장애인 바리스타의 하루
고정미,임경원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학연구 Vol.5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ccupational life of a perso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who works as a barista in a Special School’s School-Based Enterprise (SBE) café. . Here, an insider perspective and study on this person’s experience in the SBE will be conducted using the ethnography method. This study collected data and interviews from a female participant who works as a café barista, as well as from other participants around her, research journals, non-observational data, and photographs. This data will then be repeatedly disbanded and categorized with accordance to “Spradley's developmental research procedure.” The results depict three cultural themes within the occupational life area of the female barista according to the working schedule and five cultural themes drawn by the members of the café. The members conveyed that the female barista used comprehensive vocational skills and had received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upports. They also recognized this space as a venue for many different elements: alienation of the opinions of the disabled, cooperation through the division of labor, competition and protection, repeated job guidance, and improvement of awareness for the disability.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possible alternatives of practical vocational education regarding the running of the SBE project. This data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바리스타로 근무하고 있는 어느 지적장애인의 직업 생활과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라는 공간을 내부자적인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인 바리스타와 그를 둘러싼 주변인을 중심으로 3E(면담, 참여관찰, 현지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프래들리의 발전식 연구절차에 따라 반복적인 자료 해체 및 범주화로 특수학교 학교기업 바리스타의 직업생활 영역(3가지)과 특수학교 학교기업 카페에서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문화영역(5가지)에 대한 문화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바리스타 직원은 직장에서 포괄적인 직업 관련 기술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물리적 지원과 심리적 지원을 함께 제공받고 있었다. 둘째, 카페 구성원 및 주변인은 이 공간에 대하여 ‘장애인 당사자의 의견이 소외’된 측면이 있지만, ‘분업을 통한 협력’, ‘경쟁과 보호’, ‘반복적인 직무지도’가 이루어지는 곳이자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의 장(場)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운영과 직업교육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림책을 활용한 5-7세 유아 음악 개념 지도 방안 연구
고정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목적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개념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음악교육 매체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 그림책이 더욱폭넓게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그림책이 가진 문학적 요소와 음악적 요소 간 상관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그림책을 활용한음악 지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일선 교사들의 그림책 활용도를 높이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음악 지도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조사를 통해 유아의 음악능력발달단계, 그림책과 음악교육 활동영역 및 음악 개념과의 연관성 등을 고찰하였다. 그림책 선정은 그림책 추천목록과 그림책 수상작목록을 참고하여 5~7세에 적합한 그림책을 1차 선정하고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에 의해 마련한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37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음악 개념 지도에 그림책을 활용하는 교수법적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일반적인 그림책을 음악교육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음악적 개념과 그림책을 연결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음악교육 활동영역별로 활용 가능한 그림책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그림책을 음악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과예시를 제시함으로써 교사들의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지도를 가능하게 하는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결론 그림책은 음악지도에 다양한 시도를 가능하게 한다. 교사의 접근방법에 따라 다른 어떤 매체보다도 유아에게 적합한 다양한시도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교사들은 그림책을 통해 유아가 음악적 경험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음악교육의 가치있는 교육매체로서 그림책에 대한 인식과 탐구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고정미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5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4 No.-
배 경 자궁 경관의 용종은 선상피(원주상피)로 덮혀있는 유경성 양성 증식물(pedunculated benign growth)이다. 주로 폐경기 이후 여성(postmenopausal women)에게서 더욱 흔하게 발생하고 모양은 선형(glandular type) 또는 섬유형(fibrous type)으로 구분된다. 급성 또는 만성 외상성 자극의 결과로 생기며, 용종의 표면이 가끔 편평 화생(squamous metaplasia)이나 궤양(ulceration) 부위를 나타낸다. 느슨한 기질(loose stroma)인 중심부는 가끔 부종(edema)이 있고, 염증성 세포들이 침윤되어 있다. 특히 용종의 모양이 섬유형(fibrous type)이면 세포학적으로 진단하기가 어렵다. 도말은 일반적으로 염증세포들이 증가되어 호중구(neutropils), 림프구(lymphocytes), 형질 세포(plasma cells) 및 조직구(histiocytes) 들과 간혹 이물체 거대세포(foreign-body giant cell)들이 관찰된다. 또한 용종은 악성 변화를 일으키는 일이 거의 없다고는 하나 매우 드물게 경부 암종의 시발점이 된다고 추측하기도 한다.흔히 세포학적 진단을 할 수 없는 양성 종양이라 생각되어 쉽게 간과되거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본원에서 조직 결과로 확인된 자궁 경부 용종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증 례 환자는 48세 된 여자로 기능성 부정출혈(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을 주소로 Pap smear를 시행하였다. 전체적으로 혈성 도말의 배경에 내경부 상피 세포들은 정상보다 매우 길쭉해지고 커져있었고 핵은 진하게 보였다. 또한 화생성 편평 상피세포들이 군데군데 관찰되었으며 내경부 상피세포들과 마찬가지로 핵이 진하게 보였으나 균일하였다. 이상의 세포학적 소견으로 atypical glandular cells (AGC), favor reactive endocervical cells 으로 진단하였으며 조직학적 진단은 Endocervical polyp 으로 확인되었다. 고 찰 경관 용종의 도말상 배경은 과립상의 혈청 단백 침전물 (granular serum protein precipitates) 때문에 지저분하게 나타난다. 또한 내경부 및 내막 세포들은 화생성 호산성 편평세포(metaplastic eosinophilic squamous cells)와 함께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다. 이 세포들은 단독으로, 선(glandular) 또는 용종양 선방(Polypoid acini)을 형성하면서 커다란 판상으로 탈락한다. 세포들의 세포질은 풍부하고 핵은 원형 내지 난원형으로서 양성으로 보인다. 핵의 크기와 모양은 다양한 변이를 나타내며 염색질은 굵고 균일하게 분포하고 핵막은 평탄하다. 이들 활동성이 강한 endocervical cells 이외에, 도말에는 상당수의 작은 과각화 세포(hyperkeratinized cell)들이 출현하는데, 이 과각화 세포들은 비교적 크고, 진한 농축 핵(pyknotic nuclei)을 갖는다. 이로 인해 편평상피이상 (ASCUS)으로 진단되는 경우도 있으나 도말상의 이상 세포들은 용종의 압력에 의해 표면이 각화된 비정형 편평 화생(atypical squamous metaplasia)으로 생각된다. 이 세포들은 보통 판상으로 출현하여 용종들이 제거된 후에는 경부 질 도말에서 더 이상 관찰되지 않는다. 결 론 경관 용종의 세포학적 확진은 일반적으로 용이하지 않으나 작은 용종이 경관의 소파(curettage)와 같은 시술적 조작(surgical intervention)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탈락되었을때는 세포학적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자궁 경부에 발생하는 용종은 양성 종양이니만큼 자궁경부 질 도말 검사에서 간과되기 쉬우나 위의 증례에서처럼 상피 세포들의 특징을 고려하여 주의깊게 관찰한다면 세포학적 진단의 한계를 한층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