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시대의 북한 고고학 비교: 『조선고고연구』 ‘멀리서 읽기’

        고일홍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3 통일과 평화 Vol.15 No.1

        『조선고고연구』는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에서 1986년부터 계간으로 발행해 온 북한고고학의 대표 학술지로, 북한 고고학의 역사를 추적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차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조선고고연구』에 수록된 글들을 분석하여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체제의 북한 고고학 활용 전략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추적하였다. 분석 대상 텍스트가 방대한 관계로, 이번 분석을 위해 ‘디지털 인문학’의 ‘멀리서 읽기’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본 분석에서 사용된 ‘멀리서 읽기’ 기법은 총 3가지였다. 우선,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시대에 게재된 모든 논문의 제목으로 구성된 말뭉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 시대의 주요어를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하였고, 토픽 모델링을 통해 대표 주제 5개 및 연관 주요어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김일성·김정일 시대를 거치면서 ‘발전’의 중요도가 낮아지고, ‘평양’의 중요도가 높아졌음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김정일 시대 ‘조선민족제일주의’의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서는 ‘왕릉’, ‘개성’, ‘문화유산’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만월대’가 새롭게 주요어로 등장하였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문화유산보호법’의 채택 및 ‘사회주의기업 책임관리제’의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판단하였다. 한편, 『조선고고연구』 수록된 ‘교시적’ 글의 제목과 가장 먼저 등장하는 교시의 내용에 대해 주요어 분석과 시맨택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김정일·김정은 시대의 교시 중 가장 중요한 주요어가 ‘력사’에서 ‘민족’으로 전환되었고, 또한 김정은 시대 교시의 시맨틱 네트워크에서 ‘문화유산’의 중심성이 ‘민족’ 다음으로 높게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김정은 시대 ‘민족’ 담론의 변화, 그리고 북한 정권이 고고학 성과를 바탕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의 변화를 반영한 결과라고 판단하였다.

      • KCI등재

        역사적 관점이 결부된 장소성 연구의 필요성: ‘타자’의 역사성 회복을 위하여

        고일홍 한국공간환경학회 2022 공간과 사회 Vol.32 No.2

        This paper argues for the need to adopt a historical point of view in studies on place and placeness. In particular, the need to trace the historicity of place asset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temporal frame and by reconciling the historicity of ‘The Other’ was maintained, and related case studies were presented. In the first case study, by comparing the past and present of the ‘educational migration’ phenomenon at Daejeong, in Jeju Island, the necessity of tracing the historicity of place assests and the need to imbue the perspective of The Other of a specific place with historicity was presented. In the second case study, by tracing the events of foreign exchange and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of foreigners in the Ulsan region, spanning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present, it was proposed that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this place could be defined as ‘the hub of international exchange’. Through this, the author argues that adopting the lens of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study of placeness could be intensified and new types of placeness could be discovered. However, in this paper, rather than using a historical sense of ‘placeness’ as a tool to explain present-day phenomena, it was regarded as a resource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uture visions. 본고는 역사적 관점이 가미된 장소성 연구를 위한 제언을 담고 있다. 특히 시간관의 확대를 통한 장소자산의 역사성 추적, 그리고 장소 속 타자의 역사성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이와 관련된 사례연구들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사례연구에서는 제주도 대정을 배경으로 진행된 ‘교육 이주’ 현상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함으로써, 장소자본의 역사성을 추적해야 하는 필요성과 특정 장소 속에서의 타자를 바라보는 관점에 역사성을 가미해야 하는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두 번째 사례연구에서는 울산지역을 배경으로 일어났던 대외 교류나 이방인의 이주 및 정착의 사건들을 선사시대부터 조망함으로써 이곳이 지니는 ‘국제 교류의 거점’으로서의 장소적 특징을 드러냈다. 이를 통해 필자는 ‘역사적 관점’이라는 렌즈를 추가할 경우, 장소성 연구의 심화뿐만 아니라 새로운 장소성의 발견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다만 본고에서는 이처럼 역사성이 가미된 ‘장소성’을 오늘날의 현상을 설명하는 도구로 인식하기보다는 미래의 비전 구상 및 추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원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전기 옹관묘’ 재고

        고일홍 숭실사학회 2015 숭실사학 Vol.0 No.35

        청동기시대 옹관묘는 일찍이 ‘송국리형묘제’의 범주에 포함되어 청동기시대 중기의 묘제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청동기시대 ‘전기 옹관묘’의 존재 가능성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소위 ‘전기 옹관묘’로 규정된 바 있는 옹관묘의 사례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도하였다. 제Ⅱ장에서는 먼저 ‘전기 옹관묘’로 규정된 바 있는 옹관묘 출토 유적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특히 토기의 형태에만 초점을 맞춘 그간의 시각에서 벗어나 옹관묘의 공반 유구에 대해 자세히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토기형태를 제외하고는 ‘전기 옹관묘’를 청동기시대 전기 무덤으로 비정할만한 근거가 마땅히 없음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전기 옹관묘’를 청동기시대 전기의 문화 요소가 잔존해 있는 청동기시대 중기의 무덤으로 보아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청동기시대 중기의 고고학적 맥락에서 보이는 전기적 토기 요소의 존속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전기 옹관묘’가 분포하는 호남지역에서는 공열토기와 구순각목토기가 중기까지 존속하는 반면, 이중구연토기는 청동기시대 중기에 들어와 대체로 단절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전기 옹관묘’에 주로 사용된 직립구연호의 경우, 호남지역에서는 송국리형주거지의 수용 이후에도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다만, 직립구연호가 청동기시대 전기에 옥내 저장을 담당했던 저장용기인 만큼, 식량저장체계의 혁신적 변화가 일어난 청동기시대 중기에 들어와서 그것이 지속적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청동기시대 중기의 고고학적 맥락에서 등장하는 직립구연호가 전세품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제Ⅳ장에서는 ‘전세품’(傳世品)에 관한 서양 고고학의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전세’ 현상의 실체에 대해 접근하였다. 특히 특정 유물이 어떤 이유에서든지 유난히 오랜 기간 보유되어 그것의 ‘예상되는 시간적 맥락’에서 일탈한 경우를 넓은 의미에서의 ‘전세품’으로 규정하였다. 아울러 저장용 토기와 같은 평범한 유물도 전세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특히 청동기시대 전기의 직립구연호가 실제로 2~3세대에 걸쳐 사용될 수 있었음을 토기 수명에 관한 민족지조사의 연구사례들을 통해 예증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전기 옹관묘’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하고, 또한 고고학 자료의 ‘전세’ 양상에 대한 해석적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The jar burials of the Korean Bronze Age have generally be regarded as ‘Songgukri-type’ burials and have been dated to the Middle Bronze Age (MBA). However, the possibility that some of these jar burials may date to the Early Bronze Age (EBA) has also been suggested, based mainly on the form of the jars, which feature characteristics of EBA pottery. Therefo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evaluate the claims that have been set forth for the ‘EBA jar burials’. The sites from which these ‘EBA jar burials’ have been unearthed are first examined, with focus on the archaeological contexts of the burial which have been overlooked due to excessive focus on pottery for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 ‘EBA jar burials’ are in fact MBA burials which have utilized elements of EBA pottery. A subsequent examination is undertaken on the existence of elements of EBA pottery in definite MBA contexts in the Honam region, where most of the ‘EBA jar burials’ have been found. It is suggested that in the case of the EBA straight-necked jars that were mainly used in the ‘EBA jar burials’, they may have been heirlooms that were maintained into the MBA. Finally, in order to substantiate this suggestion that the ‘EBA jar burials’ were in fact MBA burials that had utilized EBA heirloom jars, the concept of heirlooms and case studies demonstrating the existence of heirloom pottery is presented, along with ethnographic examples concerning pottery use-life.

      • KCI등재

        네트워크 시각화와 고고학 자료의 활용 낙랑고분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일홍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1

        The amount of archaeological data on Nangnang (Lelang) Tombs published since the 1990s has come to exceed the amount of data previously accumulated as a result of large-scale rescue excavations undertaken in Pyeongyang.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of utilizing that data, which is of low resolution. This paper adopts a network approach, which can be useful in dealing with large amounts of low resolution data, to undertake an analysis of the data retrieved from finds lists found in North Korean publications. A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lluminate the usefulness of network vitalization, tombs yielding Chinese Han mirro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s they were deemed suitable for the purpose at hand, as well as being a key topic of research in Nangnang studies. The results of analysis undertaken on the Nangnang tombs revealed that the clustering of tombs did not coincide with pre-established temporal phases, indicating that a rough study of mortuary practices at the tombs c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omb type, without putting too much weight on temporal elements, which could not be ascertained for many of the tombs published from the 1990s. In addition, it was illustrated how the lower resolution nodes could be more useful that higher resolution node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indicating that low resolution data could indeed be useful. 록 평양에서 진행된 대규모 구제발굴로 인해 1990년 이후 북한에서 조사·보고된낙랑고분 자료의 양은 어느덧 그 이전까지 조사되었던 자료의 양을 능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그 정보가 정치하거나 완전하지 않을지라도, 적절히 활용하여 낙랑고분 연구를 진전시킬 방법을 모색할 때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다량의 거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에 기반하여, 1990년 이후 북한에서 출간된자료에 수록된 ‘고분 출토유물 목록’의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 시각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 낙랑고분의 사례를 통한 ‘네트워크 시각화의 유용성 제시’인 관계로, 모든 낙랑고분에서 출토된 유물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지는 않았다. 그 대신 네트워크 시각화의 효용성을 평가하기에 적절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낙랑 고고학의 핵심 연구 주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자료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자 했다. 이에 ‘한경’이 출토되는 낙랑고분들에 주목하였다. 즉, 본고에서는 한경이 부장된 낙랑고분의 출토유물을 분석하여 목곽묘, 귀틀묘, 전실묘 부장품의 공반관계를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였다. 한경이 부장된 낙랑고분의 공반출토유물을 시각화를 한 결과, 시간적 차이 따른 고분 노드의 군집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로써 시간적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목곽묘, 귀틀묘, 전실묘 단위로만 매장행위나 장례의식을 연구하는 다소 거친 접근도 충분히 타당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연구 주제에 따라서는 ‘높은 해상도의 노드’가 아닌 ‘낮은 해상도의 노드’를 설정하는 것이 더 적절한 네트워크 분석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로써 ‘해상도 낮은 다량의 데이터’도 충분히 활용 가치가 있음을 환기시켰다. 낙랑고분의 경향성을 네트워크 그래프의 형태로 나타낸 본 연구의 시도는 고고학에서 있어서 ‘네트워크 시각화’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낙랑고분에 대한 다양한 정보의 효율적 전달 방법을 소개하였다. 후자는 낙랑 고고학에 입문하는 문턱을 낮추어, 연구 저변의 확대, 새로운 연구 주제의 개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의 도입 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인류사 전개 과정에 대한 고고학자 차일드의 역사관 재조명

        고일홍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人文論叢 Vol.65 No.-

        V. Gordon Childe’s understanding of how human history unfolded was based on certain ideas regarding the historical process. However, the dissemination of these ideas amongst the wider public has been accompanied by a mis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intentions and messages contained within. The aim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rectify this unfortunate situation by providing a detailed discussion on Childe’s perception of the historical process. In order to do so, a brief examination of his two revolutions - the Neolithic and Urban - is first carried out since an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se two concepts is thought to have contributed to the inaccurate interpretation of Childe’s original ideas on human history. These ideas are then considered in the following section and three key points are noted. First, Childe's interpretation of human history was based, above all, on a socio-economic perspective. Second,Childe had belief in the progress of humankind, but progress was not taken to mean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social evolutionary sense. Third, the process of social and economic change, which determined the outcome of human history, was dialectical rather than directional.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한반도 해상교류의 새로운 이해— 이론적 검토를 중심으로

        고일홍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2

        Studies on maritime exchange in ancient Korea must also take into account the exchange networks that structured maritime exchange, as well as the human practices that reproduced those networks. In other to do so, Renfrew’s ‘modes of exchange’ were examined in order to examine the various dynamics that are involved in such networks. In addition, the ways in which these ‘modes of exchange’ may appear when applied to the seas were considered using case studies from the Mediterranean region. It was found that ‘down-the-line-trade’ and ‘port of trade’ models were particularly useful when dealing with the issue of maritime exchange in ancient Korea. Examination was also carried out on landing points, a topic that has not been discussed fully in Korean archaeology. Tartaron’s definitions of ‘anchorage’, ‘harbour’, and ‘port’ were introduced as a useful method of bringing to light the diverse nature of such landing points. Finally,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se examinations were used to reconsider the nature of the ‘international trading port’ on Neukdo Island and of the sites found along the southwestern and southern coastal regions were goods that arrived via maritime trade have been found. It was argued that the same types of foreign artifacts found at the two different sites represented two different modes of maritime exchange. 고대 한반도의 해상교류에 관한 연구는 당시에 작동했던 네트워크와 그 네트워크의 재생산을 가져왔던 인간의 행위에 대한 이해까지 포함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해상교류 네트워크의 형성 및 작동에 개입했던 다양한 역학 관계들을 파악하기 위해 렌프류가 제시했던 10가지‘교환방식’(modes of exchange)으로부터 시사점을 얻었다. 또한 이러한교환방식들이 해상교류의 차원에서는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유럽 고고학의 실제 사례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노선하향식 교역’ 과 ‘역소’에서 진행된 교역이 고대 한반도에서의 해상교류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일 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한편, 해상교류와 관련된 인간의 행위에 접근하기 위해 그간 간과되었던 주제인 ‘항구’에 대해 검토하고, 선박과 육지가 만나는 지점들의 형태적 및 기능적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배후에 ‘항구 취락’이 존재하는 ‘항구’(port)와 해상교통로 상에서 선박들이 주기적으로 정박하는 지점인 ‘하버’(harbor)를 구분하여, 후자의 범주에 포함되는 다양한 지점들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수 있는 길을 열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새롭게 확보된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그간 한국 연구자들에 의해 ‘해상교류’로 동일하게만 이해되었던 현상들의 다양성에 주목했다. 그러기 위해 ‘국제무역항’로 이해되고 있는 사천 늑도 유적의 외래 유물들과 해남 군곡리를 비롯한 한반도 서남해 지역의 여러 유적들에서 발견된 외래 유물들이 사실은 서로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확보되었을 가능성을 주장하고, 이로써 늑도와그 외의 유적들의 고대 해양교류망에서의 위치와 역할이 서로 달랐음을 환기시켰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