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음성인식 기반의 카테고리별 데이터 저장 애플리케이션 개발

        고은이(Eun I Ko),오주연(Ju Yeon Oh),박찬(Chan Jung Park)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4 No.2(A)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대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자유로운 카테고리의 생성과 삭제를 통해서 사용자는 입력하는 데이터를 편리하게 분류하여 저장과 검색이 가능하다. 카테고리 내에서는 특정 질문을 던져 사용자가 데이터를 일정한 형식으로 저장하게끔 유도한다. 데이터의 검색 시, 검색된 데이터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질문을 설정했다. 질문의 내용은 사용자의 편의대로 수정할 수 있다.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자판을 사용할 일이 거의 없다. 따라서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자판 사용 능력 및 숙련도에 관계없이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 남성인물의 ‘공감’에 대하여 : 『명행정의록』의 ‘위천유’를 주목하며

        고은임(Ko, Eun-Im)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4 No.-

        한글장편소설은 상층 여성의 고충이 잘 드러나 있는 장르이다. 이때 여성들의 고충은 비슷한 처지의 여성에 의해 공감되고 위로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여성의 내적 고통을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공감하는 남성인물이 있어 흥미롭다. 본고는 한글장편소설의 남성 중심인물의 공감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군자형 인물과 호방형 인물의 유형적 특징, 특히 감성의 측면에 집중하여 그들이 타인의 감성에 대해 어떤 인식과 이해를 지니고 있으며 얼마나 공감하는지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살피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진행하는 가운데 『명행정의록』의 등장인물 ‘위천유’가 여성인물에게 공감하는 상황에 주목하게 될 것이다. 군자형 인물은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도덕적 기준, 감정 절제의 기준이 높아, 타인의 부적절한 욕망과 감정에 대해서는 부정(否定)하고 혐오하여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자신의 감정뿐만 아니라 타인의 감정을 소외시키는 경향이 있다. 반면 호방형 인물은 감정을 표출하고 추구하는 데 적극적이지만 갈등 상황에서는 자신의 감정에만 지나치게 몰입하는 자기중심성이 강하기 때문에 상대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 때문에 특히 갈등 대상이 되는 여성인물에게 질곡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군자형, 호방형 인물 모두 자신과 마주하는 타자의 감성 작용에 대체로 무심하다 할 수 있다. 그런데 『명행정의록』의 군자형 인물 위천유는 공감능력, 특히 인지적 공감능력이 뛰어나 여성인물의 고통을 누구보다도 가장 잘 이해하고 공감한다. 그는 원치 않은 혼인 상황에서 장인에 대한 불만을 아내에게 옮기는 일 없이, 오히려 곤란한 상황에 괴로워하는 아내 문창군주를 위로하고, 지속적인 정신적 외상[trauma]에 시달리다 마비 증세를 겪는 제수(弟嫂) 양현강의 내면을 곡진히 이해하며 그를 치유한다. 여성의 고통이 여성이 아닌 남성에 의해 이해되고 공감된 지점은 특기할 만한데, 이처럼 여성/약자에게 공감하는 남성인물의 등장은, 약자들의 문제에 대한 공감 주체와 공감 영역의 확대를 가져왔다는 데서 의미가 깊다. The Korean classical long novel is the genre which the problem to the upper layer woman is well revealed. At this time, problems are often sympathized and comforted by women in similar situations. However, it is interesting that there are male characters wh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women s inner suffering better than anyone else. This paper aims to consider on the male character ‘Wicheonyu’ of Myeonghaengjeonguirok in which the sympathy ability is excellent. The male protagonist of the Korean classical long novel is classified into the confucian gentlemen type characters and the manly and broad minded characters. As to the confucian gentlemen type characters, the standard about the emotion control is high. So this character dislikes others inappropriate desires and emotions and does not try to understand them. On the other hand, the manly and broad minded characters is active in expressing its own feeling and pursuing. In conflict situations, they are so immersed in themselves that they cannot empathize with their opponents. For this reason, it plays a role in giving pain to female characters who are in conflict. As such, both types of characters do not understand the other s emotional effects properly. However, ‘Wicheonyu’, the confucian gentlemen type characters of Myeonghaengjeonguirok, has excellent empathy, especially cognitive empathy, and understands and empathizes with the pain of female characters better than anyone else. Even in an unmarried marriage, he comforts his wife, Moonchang, who is troubled by a difficult situation, without sending his wife a complaint of father-in-law. And he heals Yanghyeongang by understanding the inside of Yanghyeongang, who suffers from paralysis and suffers from constant trauma. The point where women s sufferings are understood and empathized by men, not women, is remarkable, and the sympathetic ability of Wicheonyu is very unique.

      • KCI등재

        한글장편소설 여성인물의 비혼(非婚)에 대한 희구(希求) - <쌍천기봉>, <보은기우록>, <임화정연>을 중심으로 -

        고은임(Ko, Eun-im)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본고는 <쌍천기봉>, <보은기우록>, <임화정연>의 여성인물에게 나타난 비혼(非婚)에 대한 바람과 그 바람의 실현 양상에 대해 살피고, 작품이 향유되었던 조선사회 비혼의 양태와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의한 연구이다. 유교적 가부장제를 추수하는 경향이 강하고 특히 중심인물 서사를 통해 그러한 지점이 강조된 장르, 한글장편소설에 조선시대 부정되고 불온시된 비혼에 대한 희구(希求)가 드러나 있는데, <쌍천기봉> 중심인물인 장옥경, 소월혜에게서 비혼에 대한 바람이 강하게 간취된다. 이들은 유교적 교양을 함양한 높은 신분의 여성인물로 결과적으로는 혼인제도에 편입되지만, 진지한 태도로 강 렬하게 비혼의 삶을 희망한다. 한편 반동, 보조인물군에서 비혼을 실현한 여성이 있는데 <보은기우록>의 설소아, <임화정연>의 석가월, 조옥연이 그들이다. 이들은 혼인의 삶을 거부하고 도교에 귀의하여 독자적인 삶을 살아갔다. 그런데 조선의 현실은 소설 속 세계와는 달리 비혼을 불운하거나 불온한 것으로만 취급했다. 특히 주체적이며 적극적 태도로 비혼을 선택한 천주교 신자들은 종교적 삶을 살기 위해 순교를 각오해야 했다. 이러한 사회질서 속에서 여성들의 비혼 욕망이 소설에 투영되었던 것이고, 소설에서 그 욕망은 이해되고 공감된다. 혹은 환상적 설정이 가미되어 비혼이 당당하게 인정되기도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ishes for ‘Unmarried’ that appeared in the female characters of Ssangcheongibong, Boeungiurok, and Imhwajungyeon. In addition, this is a study that discusses the mode of unmarried in Joseon society and the meaning of it. The Korean Classical Long Novel reveals the hopes of unmarried being denied and disregarded during the Joseon Dynasty. From the main characters of Ssangcheongibong, Jang Okgyeong and So Wolhye, the desire for unmarried was strongly captur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women who realized unmarried in the group of reactionary and auxiliary characters. They were Seol Soah in Boeungiurok, Shak Gawol in Imhwajungyeon, and Cho Okyeon. They rejected the marriage life and returned to Taoism to live their own lives. However, unlike the world in the novels, Joseon s reality treated unmarried only as unfortunate or rebellious. In particular, Catholics who chose to be single with a proactive and subjective attitude had to be prepared for martyrdom in order to live their lives. In this social atmosphere, women s desire for unmarriage was projected into the novel, and that desire was understood and sympathized in the novel. Or, a fantastic setting was added, and unmarried was admitted proudly.

      • KCI등재
      • KCI등재

        『쌍천기봉』에 나타난 양육 양상과 그 의미

        고은임(Ko, Eun-Im)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동서인문학 Vol.- No.61

        본고는 『쌍천기봉』에 나타난 양육 양상을 살펴 아이가 성장하는 과정 중 맺는 다양한 애착 관계를 조명하고 그 의미를 논의한 연구이다. 『쌍천기봉』에는 친모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체들이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아이를 사랑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여성인물이 출거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바 이때 출거된 친모의 부재 상황 속에서 아이들은 아버지, 숙부, 계모 등의 보살핌을 받으며 정서적 친밀감을 경험한다. 남성인물들이 자식이나 조카를 살뜰히 아끼며 사랑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하는데, 그들은 엄부 혹은 교육자로서 아이를 훈육하기도 하지만 아이를 따뜻하게 달래거나 사랑스러워하며 감정적 교감을 곧잘 한다. 이몽창, 이연성은 각별한 숙질(叔姪) 관계를 형성하는바, 특히 이 관계 서사는 양육 환경이 아이의 성격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사유를 보여준다. 한편 남편의 다른 부인 혹은 전처의 자식을 애휵하는 계모가 등장하기도 한다. 계양공주와 소월혜는 혈육으로 맺어진 관계가 아니더라도, 혹은 원치 않은 혼인 과정에서 혐오하게 된 남편의 자식일지라도, 보살핌이 필요한 순진무구한 아이를 다정하고 살뜰하게 돌보며 혈연 중심의 모성을 탈피해 보살핌의 영역을 확장시킨다. 이처럼 『쌍천기봉』에 등장한 아이들은 친모가 부재한 상황에서 다양한 존재와 애착을 형성한다. 실제로도 확대가족으로 구성된 조선의 상층 가문에서 아이의 양육은 어머니가 전담한 영역이 아니었고 아이를 돌보는 일에는 보다 다양한 존재들이 참여하였다. 『쌍천기봉』에는 바로 그러한 현실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그 서사는 혈연 중심의 모성이데올로기를 타파하고 보살핌, 양육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arenting patterns shown in Ssangcheongibong and discusses its meaning. In Ssangcheongibong, there are frequent scenes where not only the mother but also various subjects spend time with the child and love the child. The mother is often removed from the family. At the time, the children who experience the absence of their mothers who have been evicted form intimate attachments with characters such as father, uncle, and stepmother. In this way, the children in Ssangcheongibong form attachments with the various beings that make up the family. In fact, in the upper-class families of Joseon, raising children was not the sole responsibility of mothers. A wider variety of beings were involved in caring for children. Ssangcheongibong reflects that reality. It renews the awareness of ‘mothering’ trapped in the maternal ideology centered on blood ties.

      • KCI등재
      • KCI등재

        <옥원재합기연>에 나타난 수오지심(羞惡之心)

        고은임 ( Ko Eun-im )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6 No.-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 and meaning of suojisim(羞惡之心), a moral emotion represented in an 18th-century Korean novel, Okwonjaehapkiyeon. Lee Won-eui is a character who betrays and harms his best friend So Song, breaking his marriage promise to him and changing political positions based on self-interest and greed, but Lee Won-eui's daughter Hyeon-young and son Hyeon-yoon prioritize ethical values and feel suojisim― shame and abhorrence ― at their father’s injustice. Lee Hyeon-young runs away from home when her father breaks the marriage contract between her and So Se-gyeong and tries to marry her off to another family, and several times she is on the verge of losing her chastity and breach of etiquette when she attempts to take her own life. After twists and turns, she meets and marries So Se-gyeong, but she suffers from a long-standing marital conflict because she does not have her parents’ permission and her husband still sees her parents as enemies. Lee Hyeon-young’s repeated suicide attempts and severe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re heavily influenced by suojisim. Her suicide attempt becomes an inevitable decision when it seems impossible to lead a humane life adhering to the values of righteousness while her psychological pain after marriage results from the guilt for marrying without informing her parents, shame for what his father had done to her husband’s family, that is the feelings of shame and self-hatred at not being able to live up to the ethical values she pursues. Although she is a character of a strong ethical consciousness who would die to protect her chastity, but after her marriage, she finds herself helpless to do anything to avoid injustice. Meanwhile, Lee Hyeon-yoon returns home after spending a decade away from home and learns more about his father’s past when a reformed Lee Won-eui confesses his wrongdoings while recovering from an illness. But unlike his sister, he is not overwhelmed with shame or psychological suffering due to his father’s wrongdoings. Although he is ashamed of his father’s injustice, he tries to justify his father’s evil deeds through various arguments and actively helps his reformed father to become cultured as a nobleman and restore the family’s honor. He has the opportunity to mitigate his father’s injustice with his own intellectual and moral abilities and shows a highly commendable attitude. To sum up, the suojisim, they felt at their father’s wrongdoings, worked differently for Hyeon-young and Hyeon-yoon: although Hyeon-young is highly self-conscious as a moral subject, more than anyone else, the moral emotion, suojisim, ends up hurting her mental and physical health. Rather than the person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haracter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social order of the time when women were not fully recognized as subjects capable of moral im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